종합(흡연 1).jpg

흡연으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질병 범위도 늘어나면서 현재의 흡연 경고 문구가 바뀌어야 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호주는 지난 2012년부터 ‘Plain Cigarette Packaging’을 의무화하여 모든 브랜드의 담배갑을 동일한 디자인으로 하되 브랜드만 표기하도록 했다.

 

‘Cancer Council Victoria’, 담배 케이스의 흡연 경고문 바뀌어야...

 

“담배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흡연 위험 경고 라벨이 바뀌어야 할 수도 있다.”

흡연이 폐암과 심장질환의 주요 원인이라는 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다. 이외에도 흡연으로 인한 폐해는 여러 질병에 두루 관계하고 있지만, 급성 백혈병과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크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이에 따라 현재 담배 포장의 경고 라벨 문구가 바뀌어야 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고 금주 월요일(9일) ABC 방송이 전했다.

이는 빅토리아 주 암 위원회(Cancer Council Victoria)가 호주인 1천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으로, 빅토리아 암 위원회는 흡연이 폐암, 뇌졸중, 당뇨 유발 등 이미 밝혀진 23가지 질병의 위험 상태를 증가시켰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10명 중 8명이 폐, 목, 구강암, 심장질환, 폐기종 등이 흡연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고 있었지만 발기부전, 여성 불임, 당뇨, 간암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이들은 상당히 적었다.

이번 조사를 실시한 빅토리아 암 위원회의 미셸 스콜로(Michelle Scollo) 박사는 “담배에 부착되어 있는 경고 라벨이 그 목적을 달성한 것이며, 이제는 그 내용을 더 확대할 때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스콜로 박사는 이어 “담배의 경고 문구와 미디어 캠페인에서 강조하는 담배의 유해성에 대해 흡연자가 주지하고 있다는 것은 다행”이라고 언급한 뒤 “하지만 흡연이 여성 임신율을 절반가량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알려주지 못한다면 이는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이외에도 흡연으로 인한 폐해에 대해 사람들이 알아야 할 사실이 많다”고 강조했다.

흡연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주요 질병 외에도 여러 폐해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담배에 경고 문구를 삽입하기 시작한 이후에도 지속적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질병을 유발한다는 연구가 나왔기 때문이라는 게 스콜로 박사의 설명이다.

현재 판매되는 담배의 경고 문구는 2012년부터 시행된 것으로, 이 문구에는 일부 질병에 대한 경고만 담겨 있는 상태이다.

스콜로 박사는 지난 2014년 미국 외과의사회의 보고서를 인용하면서 “흡연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질병들이 더 많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그 이전인 2011년 흡연이 간암과 결장암, 당뇨, 발기부전의 원인이라는 점이 분명하게 밝혀졌다는 것이다.

스콜로 박사는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담배에 부착하는 새로운 경고문구와 함께 이의 캠페인 확대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흡연으로 인한 질병 위험이 더 많이 표기되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종합(흡연 2).jpg

담배 표장에 부착되어 있는 경고 문구와 그림.

 

담배의 경구문구 효과에 대해 맨 처음 조사를 수행한 바 있는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인류학자인 시몬느 드니스(Simone Dennis) 교수는 흡연 경고문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그녀는 보다 생생한 그래픽 경고가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는 의견이다.

이번 스콜로 박사의 조사에 관여하지 않은 드니스 교수는 “담배의 경고 문구가 특정 중산층 버전, 그리고 지식인 계층의 행동을 변화시킬 것이라는 가정 하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즉 현재의 그래픽 경고는 중산층 사람들 사이에서 흡연을 줄이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보다 다양한 경고를 통해 금연 캠페인을 하는 것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는 것이다.

드니스 교수는 “담배의 경고 문구에도 불구하고 행동이 바뀌지 않는 이들의 경우 소외 계층인 경향이 있다”며 “보다 심각한 경고 라벨을 부착할 경우에는 이들 스스로가 자신을 더 하찮은 존재로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위험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 흡연 폐해 중 사람들의 인식이 부족한 질병

-류머티스성 관절염

-급성 백혈병

-자궁 외 임신

-당뇨

-방광암

-실명

-발기부전

-소화성 궤양

-신장암

-여성 불임

 

■ 호주의 흡연 경고 표기는...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담배에 건강과 관련한 경고 문구가 들어간 것은 1973년부터이다. 당시 정부는 ‘경고- 흡연은 건강을 해친다’(Warning- Smoking is a health hazard)라는 문구를 담을 것을 의무화했다.

현재와 같이 담배갑에 섬뜩한 그래픽이 삽입된 것은 2006년 3월부터로, 관련 규정에 따르면 담배갑 앞면에는 30%가, 뒷면에는 90% 부분이 그래픽과 함께 경고 문구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경고’가 표기되지 않는 10%에는 ‘미성년자에게 판매 금지’라는 표기를 담도록 했다.

이어 2012년부터는 모든 담배 브랜드에 ‘Plain Cigarette Packaging’을 의무화했다. 이는 모든 브랜드의 담배갑을 동일하게 디자인하되(생상도 통일) 하되 브랜드 이름만 표기해 제조회사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외 앞면 30%, 뒷면 90%의 경고 문구와 그래픽은 이전 규정 그대로 적용된다.

한편 담배포장에 가장 먼저 경고문과 그래픽을 함께 사용한 국가는 캐나다로 지난 2000년부터 시행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흡연 1).jpg (File Size:80.5KB/Download:20)
  2. 종합(흡연 2).jpg (File Size:50.6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51 뉴질랜드 뉴질랜드 보험 업계, 무법천지 NZ코리아포.. 18.09.13.
3550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약세, 관광산업 호황 예상돼 NZ코리아포.. 18.09.13.
3549 뉴질랜드 노인들, 고위험군 약물 사용에 대한 경고 NZ코리아포.. 18.09.12.
3548 뉴질랜드 해변 주택들 위협하는 집채만한 파도들 NZ코리아포.. 18.09.11.
3547 뉴질랜드 해양보존구역에서 전복 채취하다 주민신고로 붙잡힌 남성들 NZ코리아포.. 18.09.11.
3546 뉴질랜드 발리 휴가 중 혼수 상태 빠진 키위여성, 결국 숨져 NZ코리아포.. 18.09.11.
3545 뉴질랜드 서쎅스 공작인 해리 왕자 부부, 다음달 뉴질랜드 방문 NZ코리아포.. 18.09.11.
3544 뉴질랜드 뉴질랜드 민물고기 어종, 멸종위기 NZ코리아포.. 18.09.10.
3543 뉴질랜드 가정 폭력과 자해 또는 자살은 깊은 관계있어 NZ코리아포.. 18.09.10.
3542 뉴질랜드 지진으로 훼손된 CHCH 대성당 “지금은 고양이 가족의 보금자리” NZ코리아포.. 18.09.09.
3541 뉴질랜드 호주 숲에서 하이킹했던 키위 남성 "귀국하니 귓속에서 진드기가..." NZ코리아포.. 18.09.09.
3540 뉴질랜드 납치 테러위험 ,키위들 태국 방문에 경고 NZ코리아포.. 18.09.09.
3539 뉴질랜드 뉴질랜드 해안 바닷물 80%, 미세 플라스틱 입자 발견돼 NZ코리아포.. 18.09.08.
3538 뉴질랜드 NZ정찰기 “유엔의 북한 제재 감시활동 협조차 일본에 파견” NZ코리아포.. 18.09.08.
3537 뉴질랜드 얼음 호수 위에 등장한 환상의 캠핑장 NZ코리아포.. 18.09.08.
3536 뉴질랜드 키위 여성 유방암 사망, 다른 나라보다 2배 빨라 NZ코리아포.. 18.09.08.
3535 호주 연방정부, “가뭄 피해 농가 돕기 우유 소비세 도입 바람직하지 않다” 톱뉴스 18.09.06.
3534 호주 노인 펜션 수급 기준 연령 상향조정 계획 ‘백지화’ 톱뉴스 18.09.06.
3533 호주 RBA 기준금리1.50% 유지 결정…25개월 째 동결 톱뉴스 18.09.06.
3532 호주 집권 여당에 대한 유권자 불신, 70년대 이후 ‘계속’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31 호주 집권 여당의 리더십 부재, 10년 사이 6차례 총리 바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30 호주 스콧 모리슨, 고령연금 수령 연령 ‘70세 변경안’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9 호주 “미국의 ‘소득공유’, HECS 문제의 대안일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8 호주 응급 차량 비상등 보이면 운행속도 늦추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7 호주 Old town near Sydney, 14 things to do in Berrima(1)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6 호주 CBD의 늘어나는 소규모 바(bar), 시드니 ‘night-life’ 변화 조짐?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5 호주 퍼스 조폐국, 호주 역사상 최고가 희귀동전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4 호주 오피오이드 과다복용 증가... 사망자 수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3 호주 타스마니아 관광 붐... 한 해 여행자 140만 명으로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2 호주 봄 시즌, 시드니 주택 가격 상승 예상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1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25개월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0 호주 웬트워스 포인트 대규모 주택단지 ‘생츄어리’ 개발 허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1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노스 윌로비 주택, 잠정 가격서 153달러 높은 가격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18 뉴질랜드 항만 사고로 숨진 20대 “6명에게 새로운 삶을 선물하고 떠났다” NZ코리아포.. 18.09.06.
3517 뉴질랜드 경마업계 “승부조작으로 여럿 체포돼, 관련 산업계에 큰 파문” NZ코리아포.. 18.09.06.
3516 뉴질랜드 재무국 “순이민자 감소 추세, 예상보다 빨라 경제 우려된다” NZ코리아포.. 18.09.05.
3515 뉴질랜드 고등학교 졸업 전 취업하는 젊은 키위 수 증가 NZ코리아포.. 18.09.05.
3514 뉴질랜드 10년 연속 ‘대양주 최고 항공사’로 선정된 Air NZ NZ코리아포.. 18.09.04.
3513 뉴질랜드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전자제품 수명, 가장 짧아 NZ코리아포.. 18.09.04.
3512 뉴질랜드 호주 정당인, NZ 출신 의원에게 뉴질랜드 돌아가라고 말해 NZ코리아포.. 18.09.04.
3511 뉴질랜드 한 캐나다 연금재단, 오클랜드 경전철 사업 참여 의사 표해 NZ코리아포.. 18.09.04.
3510 뉴질랜드 호수로 돌진해 다친 운전자 구해낸 주민들 NZ코리아포.. 18.08.31.
3509 뉴질랜드 고양이 문제로 갈등 겪는 사우스랜드의 작은 마을 NZ코리아포.. 18.08.31.
3508 뉴질랜드 공중수송 경연대회에서 호주와 캐나다 이긴 NZ 공군 NZ코리아포.. 18.08.31.
3507 호주 웨스트팩, 주택대출금리 전격 인상...정부 "이유를 설명하라" 톱뉴스 18.08.30.
3506 호주 경전철 피해 시드니 시내 사업자 “뿔났다”…집단 소송 착수 톱뉴스 18.08.30.
3505 호주 콜스 미니어처 열풍 …패키지 제품 1천달러 호가 톱뉴스 18.08.30.
3504 호주 연방 창설 117년 30명의 연방총리 13일 단명에서 18년 장수 총리까지 톱뉴스 18.08.30.
3503 호주 NSW 긴급차량 통행시 시속 40km 단속.... 9월 1일부터 적용 톱뉴스 18.08.30.
3502 뉴질랜드 오클랜드 수술 대기 환자 40여 명, 대기자 명단에서 누락돼 NZ코리아포.. 18.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