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피몬트 다리 1).jpg

시드니 CBD에서 도심 서부 피어몬트를 연결하는 피어몬트 다리(Pyrmont Bridge). 지난 1981년 자동차 운행이 전면 금지된 이후 철거 대신 보행자 전용도로로 남아 있는 이 도로의 보수 작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이 다리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달링하버의 산업 유산이자 시드니 도심의 랜드마크 중 하나

하루 평균 이용자 1만6천 명... 보다 바람직한 개선 방향은?

 

시드니 도심에서 달랑하버(Darling Harbour) 건너편, 피어몬트를 연결하는 피어몬트 브릿지(Pyrmont Bridge)는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들만 사용 가능한, 시드니 도심의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

도심(CBD)과 피어몬트를 연결하는 이 다리는 지난 2013년 6월 시드니 모노레일이 운행을 완전히 중단한 이후 보행자들이 더욱 늘어난 상황으로, 하루 평균 1만6천 명이 이 다리를 이용하고 있다. 한 해 이곳을 통과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가 600만 명에 이르는 것이다.

아울러 피어몬트 다리는 전기로 작동하는 스윙스팬 다리(swingspan bridge. 다리 아래로 대형 선박이 지나갈 수 있도록 다리 중간 부분이 한쪽으로 열리는 다리)로는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 가운데 하나이자 연말의 화려한 불꽃쇼 등 달링하버 이벤트를 관람할 수 있는 명소이기도 하다.

특히 시드니 도심의 중요 문화유산 중 하나로, 지난 1981년 자동차 운행이 전면 금지된 이후 다리를 철거하기로 결정하자 수많은 시민들이 이에 반대하며 시위를 벌였고 마침내 보행자 전용 다리로 남아 달링하버의 명물이 됐다.

NSW 주 정부 자산관리 기관인 ‘Property NSW’의 산업 고고학자(industrial archaeologist) 웨인 존슨(Wayne Johnson) 박사에 따르면 이 다리는 1902년, 시드니 서부(western Sydney) 개발을 위한 다리로 건설되었으며, 대형 선박이 코클베이(Cockle Bay)의 선박 및 철도 야적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 중간 부분을 옆으로 회전시켜 뱃길을 열 수 있도록 했다.

존슨 박사는 “피어몬트 다리는 시드니 도심에서 피어몬트 및 글리브(Glebe)로 가는 지름길이었다”며 “다리를 건너 피어몬트 인근의 글리브에서 시드니 주요 간선도로인 파라마타 로드(Parramatta Road)와 만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주 정부는 2,300만 달러의 복구비용을 책정하고 향후 5년에 걸쳐 수면 아래 부분의 손상된 철제 교각을 보수하고 있다.

 

종합(피몬트 다리 2).jpg

피어몬트 다리는 1902년 시드니 서부(western Sydney) 개발을 위한 연결로로 건설되었으며 대형 선박이 코클베이(Cockle Bay)의 선박 및 철도 야적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 중간 부분을 옆으로 회전시켜 뱃길을 열 수 있도록 했다. 사진은 이 다리를 오가는 마차들. 1904년 풍경이다.

 

정부 인프라 자문회사로, 이번 보수 프로젝트를 맡은 ‘Broockmann Water Advisory’의 칼 브룩만(Carl Broockmann) 대표는 “우리가 하는 것은 향후에도 안전한 교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최근 피어몬트 다리의 보수 상황을 전하면서 “교각 엔지니어가 이 다리의 안전성을 보장한다면, 다음으로 궁금한 사항은 매일 이 다리를 이용하는 사람들, 즉 보행자와 쇼핑객, 학생, 자전거 이용자, 여행자들에게 어떤 환경을 제공할 것인지 여부”라고 전했다. 이어 “매년 피어몬트 다리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 사이의 긴장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한 뒤 “이를 위한 적절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제시했다. 시드니 도심에서 피어몬트를 잇는 빠른 지름길로써의 활용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새 개선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한 것이다.

아울러 신문은 피어몬트 다리와 관련, 4명의 전문가-시민단체 관계자를 통해 각각의 의견을 정리했다.

이에 따르면 한 명은 보행자를 위한 용도에 치중해야 한다는 반응이었으며 다른 이들은 피어몬트 다리 이용자 모두에게 적합한 혁신적 아이디어로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건축가 티모시 호튼(Timothy Horton)씨는 “쉽게 잊혀질 수도 있는 도시의 위대한 유산 중 하나이자 중요한 인프라의 일부였다”며 “산업시설이 들어서 있던 달링하버 일대가 오락-쇼핑-관광지로 대대적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피어몬트 다리 또한 제2의 생명을 얻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다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재탄생시킬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 보행자 전용 방안= NRMA와 RTA가 공동투자로 설립한 보행자 안전활동 법인 ‘Pedestrian Council Australia’(PCA)의 해롤드 스크러비(Harold Scruby) 대표는 이 다리 상의 자전거 이용자를 비난한다. 10km/h의 제한 속도를 무시하는 이들로 인해 보행자들을 위험에 빠뜨린다는 것이다.

“제한속도보다 3배나 빠른 속도로 자전거를 달리는 이들이 보행자와 함께 피어몬트 다리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스크러비 대표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들의 경우 피어몬트 다리 위에서는 자전거에서 내려 보행자와 똑같이 자전거를 끌고 건너도록 하거나, 다리 가운데에 전용 이용로를 표시해 10km/h의 제한 속도를 설정하는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그는 “문화유산으로 인해 불가능할 수도 있지만, 가장 좋은 해결 방안은 어쩌면 자전거 전용 고가도로(elevated bike path)를 만든 것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종합(피몬트 다리 3).JPG

현재 피어몬트 다리는 보행자와 자전거만 이용이 가능하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자전거 이용자로 인한 위험을 들어 보행자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한다.

 

 

▲ Cyclists를 위한 제안= 도심에서의 자전거 이용을 권장하는 사회단체 ‘BIKESydney’의 데이빗 보렐라(David Borella) 대표는 보행자와 사이클리스트들 모두 이용할 수 있지만 정부 당국은 하루 1만7천 명 이상이 이 다리를 이용하도록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다.

이어 그는 코펜하겐(Copenhagen) 도심의 하버 위에 설치된 자전거 전용도로 ‘Bicycle Snake’나 오클랜드(Auckland)의 넬슨 스트리트 자전거 도로(Nelson Street Cycleway)인 ‘Lightpath’처럼 현재의 달링하버를 가로지르는 전용 도로를 만들어 시드니사이더들의 자전거 이용을 늘리면서 새로운 관광명소로 만드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피어몬트에서 도심을 향해 북쪽으로 구부러진 다음 아쿠아리움 옆에서 다시 뱀처럼 휘어져 자전거 이용자들을 켄트 스트리트(Kent Street) 또는 마켓 스트리트(Market Street)에 이르도록 한다면 이는 ‘S’자 모양의 아주 단순하면서도 우아한 자전거 도로가 될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아울러 “이렇게 만들어진 새 자전거 전용 도로에 카페 및 코클베이(Cockle Bay) 관람 포인트를 갖출 수 있을 것”이라며, “로즈(Rhodes)와 웬트워스포인트(Wentworth Point)를 잇는 베넬롱 브릿지(Bennelong Bridge)처럼 다리 위의 추가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댓가로 개발회사로부터 건설 자금을 지원받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

 

종합(피몬트 다리 4).jpg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시(Auckland)에 있는 명물 ‘Lightpath’. 피어몬트 다리 또한 이처럼 조성해 새로운 관광명소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 거주민, 여행자, 출퇴근 직장인 우선 방안= 건축가 티모시 호튼(Timothy Horton)씨는 자전거 이용자 및 보행자가 이 다리를 공유하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다만 그는 피어몬트 다리를 도심과 이너웨스트 사이의 새로운 공원으로 조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는 폐쇄된 고가 철도를 공원 및 갖가지 야외 공연 장소로 조성한 뉴욕의 ‘하이라인’(High Line), 런던 테임즈 강 다리에 만든 ‘가든브릿지’(Garden Bridge)를 언급하면서 다리가 단순히 특정 지역을 연결하는 것 이상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처럼 피어몬트 다리 또한 보행자나 사이클리스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예술 공간, 도시민들의 산책로, 야외 공연 장소 등으로 조성할 수 있다는 제안이다. 여기에다 도서, 기념품, 대중예술 관련 제품을 판매하는 소규모 매점을 두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종합(피몬트 다리 5).jpg

차량 운행이 중단된 만큼 이 공간을 도심의 또 다른 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도 제기된다. 뉴욕의 ‘하이라인’(High Line), 런던 테임즈 강 다리에 만든 ‘가든브릿지’(Garden Bridge. 사진)처럼 피어몬트 다리 또한 멋진 도시공원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 문화유산 지지 측면= 호주 조경사협회(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s) 전국 회장인 린다 코커리(Linda Corkery)씨는 보행자와 사이클리스트들이 이용하는 것도 좋지만 이 다리가 달링하버의 산업 유산을 기념하는 데 있어 활용도가 높다고 보고 있다.

그는 영국 브리스톨(Bristol)의 클리프턴(Clifton)과 노스 섬머셋(North Somerset)의 레이우드(Leigh Wood)를 잇는 아본 협곡(Avon Gorge) 위 ‘클리프턴 현수교’(Clifton Suspension Bridge)처럼 달링하버와 피어몬트 다리의 역사, 산업적 측면에서의 역할 등을 소개하는 방문객 센터를 조성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코커리 회장은 “이는 다리 구조 자체를 훼손하지 않고 충분히 추진할 수 있다”며 “다리 이용자들은 이를 통해 산업화 과정에서의 달링하버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산책을 즐기는 거주민은 물론 여행자들에게 쉼터로서의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피몬트 다리 1).jpg (File Size:88.2KB/Download:29)
  2. 종합(피몬트 다리 2).jpg (File Size:90.8KB/Download:34)
  3. 종합(피몬트 다리 3).JPG (File Size:99.9KB/Download:20)
  4. 종합(피몬트 다리 4).jpg (File Size:85.1KB/Download:23)
  5. 종합(피몬트 다리 5).jpg (File Size:91.8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51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휘발유세, 슬그머니 남섬에까지... NZ코리아포.. 18.08.20.
3350 뉴질랜드 넘쳐나는 쓰레기 대책, 분담금 징수 계획은 "타이어 세"? NZ코리아포.. 18.08.20.
3349 뉴질랜드 어제 남태평양 지역, 8.2와 6.2 지진 발생해 NZ코리아포.. 18.08.20.
3348 뉴질랜드 태풍 피해 본 ‘아벨 타스만 국립공원’ “수리비 100만불 이상, 일부 시설은 영구 폐 NZ코리아포.. 18.08.20.
3347 뉴질랜드 뉴질래드 중앙은행, 대출 고정 금리 인하 NZ코리아포.. 18.08.20.
3346 뉴질랜드 의사의 실수로 암 키워, 죽어가는 여성 NZ코리아포.. 18.08.21.
3345 뉴질랜드 NZ국회의원 연봉, 정부 방침에 따라 동결 NZ코리아포.. 18.08.21.
3344 뉴질랜드 미분양 오클랜드 아파트 매매 공급량, 20%줄어들어 NZ코리아포.. 18.08.23.
3343 뉴질랜드 NZ공군의 헬기 조종사 부부 “부부가 같은 헬기 조종은 안 돼” NZ코리아포.. 18.08.23.
3342 뉴질랜드 NZ해군 “잠수지원함, 중고로 구입한다” NZ코리아포.. 18.08.23.
3341 뉴질랜드 수 십년만에 환국한 파병 군인들의 유해 NZ코리아포.. 18.08.23.
3340 뉴질랜드 7월까지 순이민자 6만4000여명, 전년보다 12% 감소해 NZ코리아포.. 18.08.23.
333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주택 시장 지속 침체 에상, 예비 구매자들, ‘눈치보기’...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38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페스티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37 호주 “올해 Father's Day, 온 가족 함께 즐기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36 호주 도시별 미세먼지 수준, 흡연자 담배 개수를 기준으로 보면...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35 호주 NSW 주 도로교통 위반 범칙금, 호주 전역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34 호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시리즈 화가, 찰스 블랙맨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33 호주 Enjoying weekend... The Best Picnic Spots in Sydney(1)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32 호주 Y세대 범죄 비율, 청소년(Z세대)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31 호주 2016-17년도 호주 이민자, 아시아 지역 절반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30 호주 자유당 지지도 하락 속, 또 다시 ‘당권 대결’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29 호주 호주 시민권 승인 대기자 24만 명 넘어... 3년 사이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3328 호주 호주 시민권 대기자 수 19만명 육박…이민 심사 적체 심화 톱뉴스 18.08.23.
3327 호주 말콤 턴불, 당권•정권 수성…당권 도전 패배 피터 더튼, 장관직 사퇴 톱뉴스 18.08.23.
3326 호주 연방정치권 당권 파동 소용돌이…11년 동안 연방총리 5명 탄생되나? 톱뉴스 18.08.23.
3325 호주 금융권 로열커미션 조사, 대출 심사 강화 촉발 톱뉴스 18.08.23.
3324 뉴질랜드 뉴질랜드 사람들, 중국과의 관계에 긍정적 입장이지만... NZ코리아포.. 18.08.27.
3323 뉴질랜드 이민부, 당분간 불법 체류자들 추방 중단 NZ코리아포.. 18.08.27.
3322 뉴질랜드 주민과 갈등 중인 생수공장, 자원동의서 어겨 운영 중단 NZ코리아포.. 18.08.27.
3321 뉴질랜드 웰링턴 해변에서 발견된 자이언트 오징어 NZ코리아포.. 18.08.27.
3320 뉴질랜드 사이버 괴롭힘에 시달리는 키위 어린이들 NZ코리아포.. 18.08.27.
3319 뉴질랜드 천둥 소리 내면서 긴 꼬리 끌고 낙하했던 불덩어리 유성 NZ코리아포.. 18.08.28.
3318 뉴질랜드 오클랜드 세계적 도시 지수, 호주 시드니와 멜버른에 앞서지만... NZ코리아포.. 18.08.28.
3317 뉴질랜드 외국 휴가 중 위중한 병에 걸린 키위 여성 “NZ 정부, 귀국 비용 지불할 수 없다” NZ코리아포.. 18.08.28.
3316 뉴질랜드 외국인•이민자 탓–경제 성장율 하락–국채 인상'현정부 악순환의 연속 일요시사 18.08.28.
3315 뉴질랜드 싸움이나 폭력 행위로 정학 또는 퇴학 학생 점점 늘어나 NZ코리아포.. 18.08.29.
3314 뉴질랜드 청혼차 NZ찾았다 큰 사고당한 호주 커플 “목숨 걸고 구조 나선 소방관들 없었다 NZ코리아포.. 18.08.29.
3313 뉴질랜드 한국 방문 젊은 키위, 증가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8.08.29.
331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0여년 방치돼 온 그린위치 소재 주택, 고가에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11 호주 캔터테리-뱅스타운, 부동산 개발 허가 거절 건수 급격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10 호주 NSW 주 정부, 다문화 프로그램 지원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09 호주 우려되는 전기료, 일반 가계지출의 가장 큰 부담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08 호주 시드니 도심 스몰비즈니스, 주 정부 상대로 ‘집단 소송’ 착수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07 호주 진화론에 대한 호주 생물학교 학생들의 생각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06 호주 올해 호주에서 인력 수요 가장 많은 일자리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05 호주 Enjoying weekend... The Best Picnic Spots in Sydney(2)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04 호주 “토니 애보트와 루퍼트 머독, 호주 민주주의 훼손시키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03 호주 30대 호주 총리 스콧 모리슨, 그는 어떤 지도자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
3302 호주 모리슨 총리, 새 내각 발표... ‘자유당 내전’ 수습 의지 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8.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