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징용자 유골 어디에?” 서경덕교수팀

 

뉴스로=정진숙기자 newsroh@gmail.com

 

 

공양탑폐쇄-1.jpg

 

 

조선인 강제징용자의 유골이 묻힌 일본 다카시마 공양탑 가는 길이 완전 폐쇄(完全閉鎖) 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1월 나가사키시에서 임시 폐쇄한 사실을 처음 알렸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3일 공양탑 가는 길이 완전히 폐쇄됐다고 알려왔다.

 

서경덕 교수는 "네티즌의 제보로 확인해 본 결과 큰 나무막대 3개를 단단히 설치해 아예 사람들이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놨고, 급조해서 만든 안내판 2개를 아예 동판(銅板)으로 바꾸어 영구적으로 폐쇄한 상황이라"라고 밝혔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공양탑 가는 길 입구는 긴 밧줄로 느슨하게 묶어 '위험'이라는 안내판을 가운데 걸어놨고, 여러개 나무토막으로 급조한 안내판 2개를 설치해 임시로 폐쇄해 놓았었다.

 

서 교수는 "나가사키시에 누구나 다 공양탑을 방문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했지만, 인근 사찰인 금송사(金松寺)로 모든 유골을 다 이전했다고만 하더라"고 설명했다.

 

그는 "금송사측에도 연락을 해서 ‘모든 유골이 다 이전된게 맞느냐?’고 물었더니 ‘미쓰비시측이 정확히 알고 있다’고만 했다. 미쓰비시측에 연락하면 ‘나가사키시에서 알지 우리들은 잘 모른다’는 답변만 반복했다"고 어이없어 했다.

 

 

공양탑폐쇄-2.jpg

다카시마 공양탑 주변에 동판으로 만든 안내판엔 강제징용자 유골을 금송사로 모두 이전했다는 역사왜곡 문장을 넣었다

 

 

서 교수는 "다카시마 공양탑에 묻힌 유골은 다카시마 탄광에서 죽은 징용자들이다. 그리고 분명한 것은 하시마(군함도) 탄광 조선인 사망자의 유골을 공양탑으로 옮겨왔다는 건 숨길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2015년 무한도전 방송이후 공양탑을 찾는 한국인 관광객들이 늘어나고 자연스럽게 강제징용 사실이 확산되는 것이 두려워 나가사키시에서 공양탑 가는 길을 폐쇄한 것"이라고 분석하고 "이는 강제징용 사실을 숨기려는 또 하나의 역사왜곡(歷史歪曲)이다"라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일본 정부는 올해 말까지 강제징용에 대한 사실을 안내판 등을 통해 알리고 있다는 것을 세계유산센터에 보고해야만 하는데 유네스코 등재후 지금까지 하시마 및 다카시마를 관광지로만 널리 홍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서교수는 총 7차례의 하시마 및 다카시마의 방문을 통해 강제징용의 역사왜곡 현장을 사진과 영상으로 담았고 올해안으로 일본 정부에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을 경우 모든 자료를 유네스코에 전달할 예정이다.

 

MBC 무한도전팀과 서경덕 교수는 지난 광복 70주년을 맞아 '하시마섬의 비밀'을 제작해 일제의 강제징용 사실을 널리 알렸고 이후 서 교수팀은 네티즌들과 함께 공양탑 가는길을 재정비 한 바 있다.

 

 

공양탑폐쇄-5.jpg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다카시마 탄갱에 관련한 모바일 홍보 자료. 4개국어로 서비스가 되지만 강제징용 언급은 전혀 없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강제징용’ 한 서린 공양탑 가는길, 日 나가사키시 폐쇄 파문 (2016.1.4.)

서경덕교수"일본, 강제징용 인정후 길 개통 해야"비판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4805

 

 

  • |
  1. 공양탑폐쇄-1.jpg (File Size:225.3KB/Download:43)
  2. 공양탑폐쇄-2.jpg (File Size:177.6KB/Download:43)
  3. 공양탑폐쇄-5.jpg (File Size:106.9KB/Download:4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4 필리핀 PCUP-CS글로벌-DAMATA-KADIMA 빈민주택건설 양해각서 체결 file 마닐라서울 17.08.29.
593 필리핀 文대통령, 11월 13•14일 ASEAN+3•EAS 참석차 필리핀 방문 file 마닐라서울 17.08.29.
592 몽골 본지 몽골 특파원, 몽골 울란바토르 복귀 완료(2017. 08. 27) GWBizNews 17.08.28.
591 몽골 [몽골 특파원] 남양주몽골장학회-남양주시 소유권 분쟁 2라운드 file GWBizNews 17.08.26.
590 일본 日내각관방 ‘엉터리 독도 포스터’ SNS에 '반박 포스터' 등장 file 뉴스로_USA 17.08.25.
589 몽골 World News-WATK [몽골 특파원] 김명희 캐나다 맥길대학교 교수 KBS 대담(2017. 08. 23) file GWBizNews 17.08.23.
588 필리핀 “줄리아나에게 새 생명을” 연합뉴스 방송에 소개돼 file 마닐라서울 17.08.21.
587 필리핀 한국 여자배구, 중국 꺾고 아시아선수권 3위 file 마닐라서울 17.08.21.
586 필리핀 ‘제98회 충주 전국체전 후원골프대회’ 성황리에 마쳐 file 마닐라서울 17.08.21.
585 필리핀 한인회, 체육회 공동으로 한국여자배구선수단 환영만찬 file 마닐라서울 17.08.21.
584 몽골 [몽골 특파원] (미국 라디오 한국) 여익환 세계한인언론인협회 사무총장 인터뷰(20170802) file GWBizNews 17.08.19.
583 몽골 [몽골 특파원] (KBS_WA) 여익환 세계한인언론인협회 미국 시애틀 방문(20170807) file GWBizNews 17.08.19.
582 몽골 KBS 한민족 하나로 몽골 소식 제45탄(2017. 08. 18) [1] file GWBizNews 17.08.19.
581 태국 새롭게 열리는 한류, 제2의 도약(2) 태국교민잡지 17.08.16.
580 몽골 [몽골 특파원] 미국 최연홍 박사, 제10회 캐나다 민초해외문학상 수상 file GWBizNews 17.08.16.
579 필리핀 제26회 한필문화교류축제 예선전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08.14.
578 필리핀 필리핀한국국제학교 병설유치원 재개원 및 입학식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08.14.
577 필리핀 KEPCO 한-필 청소년 DoDream캠프 행사 열려 file 마닐라서울 17.08.14.
576 필리핀 대한민국 여자배구팀의 선전을 기원합니다!!! file 마닐라서울 17.08.14.
575 몽골 [몽골 특파원] 광복 72돌 여름 일본 나가사키(Nagasaki) 입성 file GWBizNews 17.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