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의 주요 내용.jpg

 

국회에서 노동법 개정안이 처음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몽골에서 일하는 180만 명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법 초안이 대중의 주목을 받고 있다. 
개정된 노동법은 미래 직업의 변화와 시간제 고용, 재택근무, 이중 고용 및 재택근무 분야의 많은 새로운 규정을 반영하여 청소년 고용 기회를 증가한다. 초안은 또한 "비경쟁적 역할"을 정의한다. 직원이 퇴사하면 일정 기간 유사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경쟁사 채용이 금지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고용주는 특별한 조건을 가진 고용계약을 체결한 직원과 협상하여 생산이나 사업의 기밀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고용 관계 종료 후 일정 기간 고용주와 경쟁하는 기업, 단체 또는 개인과 함께 일할 수 없다. 고용계약에 의무의 추가 조건을 포함하거나 이와 관련하여 수반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경쟁 금지 사유, 적용대상 활동의 종류, 제한구역, 유효기간 및 그 기간 사업주가 지급해야 할 보상금은 고용계약서 또는 비경쟁계약서에 명시하여야 한다. 고용계약서 또는 동반계약서의 추가 비경쟁 조건은 1년을 초과할 수 없다. 
현행법상 기본휴가 기간은 15일이다. 새 법은 총 일수를 20일로 하되 장기근속 등과 관련된 기본 일수에서 줄인다. 다시 말해, 지금 6년 동안 일했다면 3일의 추가 휴가가 있는 것이다. 개정안은 기준일을 20일로 늘리고 추가 연차를 없애고 단체협약, 단체교섭 계약, 고용계약 등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법 초안은 또한 시간제 근로자들에게 1년 동안 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연차를 허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회계위원회는 장기근속자는 교대당 14일, 휴직 14일을 가져야 한다는 제안을 지지했다. 
고용주가 근로자가 출근할 준비가 된 장소와 시간에 대해 합의하기로 합의한 시간은 근로시간으로 계산하거나 법에 통화시간으로 명시한다. 
일을 넘겨주지 않고 떠나는 직원들이 있다. 이는 새로운 노동법 초안에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는데, "직원은 도구, 장비, 기계, 재산, 문서, 정보(물리적 및 전자적) 및 직무 수행에 필요한 기타 항목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현재 논의 중인 새 노동법은 직원이 다른 조직과 동시에 고용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동일 직위 제외). 법률에는 "종업원은 주 사업 주가 아닌 다른 사업주와 다른 시간대에 병행 고용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 사업주에게 통지할 의무가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노동법 7.4조에는 "시민에게는 직업이나 직무의 구체성과 관련이 없는 한 사생활, 견해, 혼인 여부, 당적, 종교, 임신 여부 등에 대한 질문을 받을 수 없다"라고 돼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질문은 대답할 수 없다. 
6개월 이상 근속한 사람만 기본급에 해당하는 혜택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 혜택은 직장을 그만둔 사람이나 징계와 해고를 당한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을 것이다. 사업주에게 해고당했지만 해고당해 건강과 기술을 잃고 퇴직하는 사람에게만 지급된다. 
* - 6개월~2년 근무 시 1개월
* - 2~5년간 근무한 경우 2개월,
* - 5~10년간 근무한 경우 3개월
* - 10년 이상 4개월 급여에 해당하는 수당을 받게 된다.
개정 노동법 초안은 고용주가 징계를 위반한 종업원에게 부과할 처벌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사업주의 징계 위반을 범한 직원 또는 사업주의 허가를 받은 관리자에게는 다음 각호의 징계제재를 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개인적으로 비밀리에 상기시켜줬음
* 공지 형식으로 모든 직원에게 공개 알림,
* 기본급은 최대 3개월 동안 최대 20%까지 삭감,
* 직위 강등,
* 고용주의 주도하에 고용을 종료. 
근로자가 근로계약을 체결한 후 6개월간 근무한 경우에는 연차휴가를 받을 수 있다. 장애인 및 만 18세 미만 근로자의 기본휴가 기간은 25일로 한다. 시간제 근로자에게는 근무 연간의 총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기본 및 추가 연차를 부여한다. 직원은 본인의 요청에 따라 주어진 근무 연도 내에 시간제 휴가를 쓸 수 있다. 연속 휴가의 기간은 10일 이상 근무일로 한다. 사업주가 정당한 사유 없이 정시에 급여를 지급하지 아니할 때는 연체일마다 지급하여야 할 급여의 0.3%의 비율로 보상하여야 한다. 
상한은 주당 56시간, 초과근무 제한은 하루 4시간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몽골 전체 직원의 28%가 일주일에 60시간 이상 또는 초과근무를 한다고 한다. 
고용 관계 또는 고용 관계에서 괴롭힘·폭력·성추행을 당한 사람은 「위반행위 등에 관한 법률」 및 「형법」에 따라 책임을 지며, 그 부과는 징계 면제의 사유가 되지 아니한다. 설명: "본 조항에 언급된 "직업·노무 관계"는 업무수행, 출장, 출퇴근, 교대근무, 연수, 사업 주체, 단체 등이 주관하는 공공행사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근로시간과 휴일을 규제하고 유연한 고용여건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을 지원하며 이를 단체협약 및 내부노동 규범에 접목하여 근로자의 아동 친화 및 아동보호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수습생의 기본급은 수행직무, 근무경력 및 습득능력에 관하여 그와의 합의에 따라 정하며, 같은 업무를 수행하는 전임자의 기본급 중 70% 이상이어야 한다. 수습직원의 기본급은 직무 기본급 이상으로 하고, 이 법에 따라 가산금, 상여금 및 수당을 지급한다. 시범근로자는 같은 노동법규, 단체협약, 단체교섭 계약 및 내부노동기준에 따른다. 고용주는 직원과 고용계약을 체결하여 원격 근무하여 영구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원격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고용주는 이 법에 명시된 시간 이외의 직무의 세부 사항을 고려하여 보조양육자, 가사노동자 및 유사한 근로자와 근무 및 휴식 시간에 대해 상호 합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 양육업자 또는 가사노동자에게 이 법률에 따라 주 24시간 이상의 연속 휴가를 제공하고 연차휴가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교육 후, 당사자는 3년 이내로 하는 직원의 기업 내 지속적 고용 기간을 합의하여야 한다. 고용계약이 종업원의 주도로 종료된 경우, 고용주는 종업원이 결근하는 동안 교육비의 일부 또는 전액 면제를 제외하고, 고용주에게 교육비의 비례에 따라 갚아야 한다. 
일부 고용주는 고용주의 원본 교육문서를 압수한다. 개정판 노동법은 초안에서 이를 금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용주들은 채용을 앞둔 사람이나 직원에게 금품, 교육문서, 전문자격증, 이동 불가재산증명서 등 개인서류를 요구하거나 서약할 수 없다."
근무상 필요에 따라 연차휴가를 낼 수 없는 직원은 그 급여의 1.5배를 지급한다. 고용 관계가 종료된 근로자에게는 고용 기간에 대한 휴업급여를 지급한다. 사업주는 부당 전입·재배정으로 직원의 급여가 삭감된 경우에는 종전 평균급여의 차액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공무원의 근무 기간에 따라 주휴일 20일에 다음 각호의 추가 휴가를 부여한다.
16~20년간 근무 시 2일 휴가
21~25년간 근무 시 4일 휴가;
26~31년간 근무 시 6일 휴가.
32년 이상 9일 휴가제를 도입하자는 제안은 국회 사회정책 상임위원회의 지지를 받았다. 
상임위원회와 의회의 논의 과정에서 법률 초안의 조항이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란다. 
[news.mn 2021.01.20.]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1. 노동법의 주요 내용.jpg (File Size:75.2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40 몽골 시의회 의장, 울란바타르시 부시장 임명을 동의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10.28.
6539 몽골 아이막과 구청장의 임명 file 몽골한국신문 20.10.28.
6538 몽골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없어 file 몽골한국신문 20.10.28.
6537 몽골 210명이 도쿄-울란바타르 항공편으로 도착할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20.10.28.
6536 몽골 유엔, 몽골은 일본 중고차의 최대 수입국 file 몽골한국신문 20.10.28.
6535 몽골 한 몽골 시민이 한국에서 660만 원을 횡령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10.28.
6534 몽골 내년 3월 몽골 우주 비행 40주년을 기념하기로 file 몽골한국신문 20.10.28.
6533 몽골 비자 분류를 위반하고 만료된 48명의 외국인을 추방할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20.10.28.
6532 몽골 MIAT 몽골항공, Hunnu Air, Aero Mongolo LLC에 대한 재정 지원 조사 file 몽골한국신문 20.10.28.
6531 몽골 시장의 인사말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30 몽골 J.Batbayasgalan, 나는 울란바타르 사람들이 개발을 만들어 준 것에 대해 감사하고 싶어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29 몽골 울란바타르시 최우수 학교와 유치원에 대한 성과보수 제공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28 몽골 5세에서 13세 사이의 세 명의 아이들이 가스중독으로 병원에 입원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27 몽골 CRH 또는 주지사에게 법률 준수 권고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26 몽골 차창 밖으로 담배꽁초를 던지면 1~5만 투그릭의 과태료가 부과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25 몽골 연초 이후 달러는 4.4% 올랐고 상품 가격도 올라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24 몽골 울란바타르시는 대기오염이 가장 높은 10개 도시 중 4위를 차지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23 몽골 한국, 몽골에 수출되는 366종의 상품에 대한 세금 인하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22 몽골 외교부가 '몽골어 문자 글짓기 달 캠페인'에 나서 file 몽골한국신문 20.10.30.
6521 몽골 외교부 차관은 우즈베키스탄과 온라인 회의 개최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