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 개인 정보 침해 가장 위험해

 

12.png

(사진=scmp)

 

코비드19 확산 이후 많은 국가들이 확진자 추적을 위하여 전염병 방역 감시 시스템을 강화하면서 개인 정보 침해 및 감시, 개인의 자유권 침해 등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영국의 리스크관리 컨설팅 업체인 베리스크 메이플크로프트(Verisk Maplecroft)가 198개국을 대상으로 대규모 감시 시스템으로 인한 개인 정보 침해 및 보관, 주택 수색 등 기타 사생활 침해 수준을 평가한 ‘개인 정보 권리 지수(Right to Privacy Index, RPI)’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수년 동안 아시아 국가들의 개인 정보 침해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으며 다른 대륙 국가보다 사생활 침해 위험 수준이 더 높다고 지적했다. 특히 코비드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감시 강화가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베리스크 메이플크로프트의 소피아 나잘야(Sofia Nazalya) 인권 변호사는 “코비드19 방역 감시 체계 강화로 수집된 개인 정보를 투명하게 사용하고 관리하지 않는다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개인 정보 침해를 당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러시아 등 국가들이 코비드19 방역 감시 체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언론의 자유에 대한 단속도 강화하고 있어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심각하다고 디지털 권리 전문가들이 말했다. 심지어 일부 국가는 감시 시스템에 AI 기술과 빅데이터 등 기술 등을 적용하고 있어 많은 인권 운동가와 데이터 프라이버시 전문가들을 놀라게 했다.

 

‘개인 정보 권리 지수(RPI)’에서 가장 최악의 점수를 받은 아시아 국가들은 파키스탄, 중국,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인도, 필리핀 등이다.

 

중국 정부는 코비드19 대응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규모 감시 시스템을 활용했다. 안면 인식 기술과 드론 기술 등을 이용해 확진자를 추적하고 있다.

 

캄보디아 정부는 가짜 뉴스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 소셜미디어에 대한 무제한적인 감시 권한을 가졌다.

 

인도는 코비드19 추적 앱 설치를 의무화한 유일한 민주주의 국가로, 설치하지 않는 사람들은 벌금 또는 징역형에 처해진다. 지난해 정부가 민간 회사에 돈을 받고 시민들의 정보를 넘긴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부의 개인 정보 관리 능력에 대한 신뢰를 잃은 상황으로 의무화 조치에 많은 시민이 비난했다. 더 나아가 인도 정부가 2021년까지 국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계획 중이며 보고서는 이것이 시민들의 개인 정보 권리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데이터 권리 전문가들은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종종 대규모 감시 시스템으로 파생될 문제점과 개인 정보 보호 법적 조치 필요성에 대하여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개인 정보 수집 및 열람을 할 때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 및 보관되며 누가 접근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 결코 쉽지 않지만 각국 정부는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법을 도입해야 하며 기업들 또한 프라이버시 권리 악화 문제를 절대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2 홍콩 중국은 잠에서 깨어난 사자 중국조선어방.. 14.10.15.
341 홍콩 알리바바 '솔로데이' 판매 '대박' 중국조선어방.. 14.11.12.
340 홍콩 명나라 탕카 3.48억 홍콩달러에 낙찰, 中예술품 기록 중국조선어방.. 14.11.28.
339 홍콩 마카오의 마음을 합쳐 중국꿈을 함께 중국조선어방.. 14.12.23.
338 홍콩 10대 키워드로 2014 중국 외교를 읽는다 중국조선어방.. 14.12.23.
337 홍콩 中시진핑 주석 2015년 신년사 발표 중국조선어방.. 15.01.04.
336 홍콩 중국, 지난해 1억명 해외나들이 중국조선어방.. 15.02.28.
335 홍콩 리커창 국무원 총리가 정부업무보고 요약 중국조선어방.. 15.03.05.
334 홍콩 100마디로 읽는 중국 2015 정부업무보고 중국조선어방.. 15.03.13.
333 홍콩 <일문일답> 리커창 중국 총리 전인대 기자회견 중국조선어방.. 15.03.16.
332 홍콩 '바다 위의 거룡' 강주아오대교, 수명 120년 중국조선어방.. 15.04.21.
331 홍콩 중국투자자들, 홍콩 호화주택 구입 열기 중국조선어방.. 15.04.30.
330 홍콩 해남도 '조선촌 천인갱'의 설음 중국조선어방.. 15.05.07.
329 홍콩 외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중국 관광지 중국조선어방.. 15.07.03.
328 홍콩 분노하는 홍콩 공립병원 의사들 옥자 15.10.22.
327 홍콩 홍콩인 영어 구사력, 아시아 12개 국가 중 9위 홍콩타임스 15.11.11.
326 홍콩 홍콩총영사관, 현지 후원단체와 손잡고 장애아동 돕기 적극 나서 홍콩타임스 15.11.11.
325 홍콩 홍콩총영사관, 현지 후원단체와 손잡고 장애아동 돕기 적극 나서 홍콩타임스 15.11.11.
324 홍콩 홍콩 aT, 호텔 아이콘과 함께 한식 세계화·대중화 앞장서 홍콩타임스 15.11.12.
323 홍콩 응답하라, 홍콩 영화... 추억의 홍콩스타들 다시 뭉쳐 홍콩타임스 15.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