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홍콩.jpg

(사진=scmp)

 

미중무역 전쟁 발발로 인한 세계 금융 및 경제 시장 충격으로 홍콩 내 미 달러 억만장자의 인구와 총자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3천만 미 달러 고액 자산가를 전문적으로 조사하는 웰스-X(Wealth-X)가 발표한 2019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홍콩의 억만장자 수가 87명으로 감소했으며 이들의 총자산 2,590억 미 달러로 감소해 560억 미 달러 또는 전체 자산의 17.5% 손실을 봤다.

홍콩의 억만장자 인구와 총자산 하락폭은 조사 대상 도시 15개 중 가장 컸으며 홍콩은 세계 최대 억만장자 인구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뉴욕 다음으로 2위를 차지했다.

웰스-X는 아시아 주식 시장 둔화로 인한 손실이 가장 크다고 말했다. 아시아 내 15개 주요 주식 지표들이 최소 10% 이상 하락했으며 전세계 억만장자들의 총자산 규모가 8조 6천억 미 달러로 7% 감소했다. 전세계 억만장자 인구 또한 2,604명으로 감소해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두 번째로 최대 하락폭을 보였다.

2017년에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던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억만장자 수가 2018년에는 크게 감소했다. 중국, 인도, 싱가포르의 억만장자 수가 급감하면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억만장자 인구 또한 13.4% 감소했으며 총자산 규모도 8.7% 감소했다. 아시아계 억만장자의 수는 677명으로 줄어들어 북아메키라계 억만장자 수인 750명보다 적다. 아시아계 억만장자들의 총자산은 8.5% 감소했다.

2018년 중국 억만장자 수는 전년대비 15.7% 하락했다. 웰스-X 보고서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하여 중국 경기 침체와 금융 긴축을 초래했으며 소비 및 투자 수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전반적인 경제 둔화를 야기한 것으로 분석했다. 비록 중국은 인프라 공급을 늘렸지만, 부유층 국민들의 자산을 늘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세계 경제 성장 및 무역 둔화는 유로존에 타격을 줬으며 유조론 억만장자의 총자산이 16.6% 하락했다. 오직 러시아, 영국, 프랑스만의 억만장자 인구가 증가했으며 러시아 6.3%, 영국 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경제 성장에 힘입어 북아메키라의 억만장자 인구가 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주식 시장 호황과 소비자 수요 및 세금 감면 등으로 인한 기업 수익으로 인하여 미국 억만장자 인구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2017년 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정책이 미국 억만장자들을 세계 경제 역풍으로부터 보호해주는 방패막이 되었다고 말했다.

웰스-X는 전세계 억만장자들은 불안정한 글로벌 경제로 인하여 전체 자산 중 현금 보유 비중이 2017년 22.9%에서 2018년 26.4%로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1. 홍콩.jpg (File Size:257.0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16 홍콩 ‘금값’ 아파트, 공급량은 줄고 면적은 더 좁아져 file 위클리홍콩 21.04.27.
1215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5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4.27.
1214 홍콩 홍콩, 팬데믹에도 지난해 교내 괴롭힘 50%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213 홍콩 백신 안 맞은 직원 해고, 차별법에 위반될 수 있어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212 홍콩 홍콩, ‘경제적 자유’ 누리기 위해 400만 달러 필요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211 홍콩 홍콩 은퇴자 생활비는 1만1500 달러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210 홍콩 지난해 장바구니 물가 1.9% ↑, 인플레이션율보다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209 홍콩 부동산 시장 예상보다 빠른 반등, 1분기 거래량 79.2% ↑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208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4.20.
1207 홍콩 소셜 네트워크 잇따라 개인 정보 대량 유출 file 위클리홍콩 21.04.13.
1206 홍콩 ‘혈전 논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도입 연기 file 위클리홍콩 21.04.13.
1205 홍콩 홍콩 대졸생 취업문, 올해도 여전히 좁아 file 위클리홍콩 21.04.13.
1204 홍콩 3세 이하 어린이 확진자 40% 이상이 무증상 file 위클리홍콩 21.04.13.
1203 홍콩 홍콩 천만장자 사상 최고치, 지난해 51만 5천 명 file 위클리홍콩 21.04.13.
1202 홍콩 올해 하반기 사무실 가격 반등 전망 file 위클리홍콩 21.04.13.
1201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4.13.
1200 홍콩 홍콩, 백신 접종률 낮아...1차 백신 접종자 6.3%에 불과 file 위클리홍콩 21.04.07.
1199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홍콩인 부동산 투자 40%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1.04.07.
1198 홍콩 홍콩 증권거래소, 2차 상장 요건 완화 예정 file 위클리홍콩 21.04.07.
1197 홍콩 홍콩 월 평균 임금 HK$18,400, 전년 대비 1.5% ↑ file 위클리홍콩 21.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