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홍콩인이 홍콩 내 사회적 현상에는 불만을 갖고 있지만, 개인의 삶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젊은 세대는 사회현상에 대해 큰 불만을 드러냈으며 개인의 삶에 대해서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akaoTalk_20171010_131446950.jpg

 ▲ 다수의 홍콩인들은 사회에 대한 불만에도 개인의 삶은 만족스럽다고 답한 반면, 젊은 세대는 사회는 물론 개인의 삶도 만족스럽지 않다고 답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9일 비영리단체 HK.WeCARE가 홍콩 시민 1,302명을 상대로 시행한 설문조사를 인용해 “전체 응답자 중 74%가 홍콩 내 부동산, 정치적 혼란, 환경 문제를 비롯한 사회문제에 대해 불만족스럽다고 답했지만 동시에 65%의 응답자가 개인의 삶에는 만족한다고 응답했다”고 보도했다.

수년간 홍콩 사회에 큰 이슈로 대두된 중·홍콩 간 정치 관계, 민주화 시위, 세계적 수준으로 치솟은 부동산 가격과 빈부격차, 환경오염 등은 홍콩인들의 불만을 키웠고 지난 몇 년간 같은 설문조사에서 개인의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절반을 넘지 못해왔다. 그러나 올해 조사에서 개인의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자는 작년보다 25% 증가해 과반수를 훌쩍 넘어섰다.

HK.WeCARE 관계자는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같은 문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사람들은 그 상황에 대해 적응하게 된다. 수년간 지속된 사회문제가 해결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한 홍콩 시민들이 정서적 면역을 갖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캐리 람 행정장관을 필두로 정부 차원에서 사회문제 해결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도 시민들이 미래를 낙관할 수 있도록 이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사회에 대한 불만과 개인의 삶에 대한 불만을 가장 크게 드러낸 연령층은 24세 이하의 젊은 세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청소년이 접하는 높은 교육열과 대학입시에 대한 부담, 사회구조가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좌절함이 고스란히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8월 홍콩의 한 종교단체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절반이 넘는 홍콩 중학생이 우울증 조짐을 보이고 전체 중학생 중 25%는 실제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70명이 넘는 청소년이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했다.

[홍콩타임스 한병철 기자]

http://bit.ly/2gqNvwr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16 홍콩 지역 제보자 제보 통해 더 발 빠른 기상 예보 및 경보 예고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5 홍콩 과학 박물관, 멸종 위기 해양 동물 만날 수 있는 가상 수족관 전시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4 홍콩 비영리인권단체인 소코(SoCO), 중국출신母를 위한 홍콩거주비자 축구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3 홍콩 홍콩 디즈니랜드 입장료 3% 인상, 개장 이래 5번째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2 홍콩 무역전쟁 속에서 홍콩 1분기 1.3% 경제 소폭 성장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211 홍콩 전자 소송 시스템 구축, ‘종이 없는 재판 시대’ 열려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210 홍콩 소음 신고 받은 길거리 공연자 자칫하면 블랙리스트에 올라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209 홍콩 KMB,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탑재된 버스 운행 예고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208 홍콩 환경 NGO, 대기질 개선 강화 안하면 매년 2천명 사망자 초래 경고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207 홍콩 부동산 회복 조짐에 중고 아파트 가격도 ‘들썩’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206 홍콩 5월 1일 노동절을 맞이해 곳곳에서 시위행진 펼쳐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205 홍콩 예상보다 많은 CSS 배당 신청 건수, 추가 인력 배치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204 홍콩 1분기 소매 매출 둔화세 4분기까지 이어져 ‘잿빛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5.07.
1203 홍콩 UBS, 웨강아오 대만구 프로젝트가 홍콩 부동산 시장 촉매 역활 홍콩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10년 동안 가격 상승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202 홍콩 DSS 정부 보조 학교, 절반 이상 내년 학비 또 올라… 인플레이션·비용 증가 등 이유로 최대 19.2%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201 홍콩 럭셔리 빌라, 4개월 전 계약 파기 후 판매 성공 아시아에서 가장 비싼 주택중 하나, 마운트 니콜슨 빌라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200 홍콩 생명보험을 역담보로 보험금 미리 받아 은퇴생활 질 높여 60세 이상의 생명보험 완납자 신청 가능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9 홍콩 아프리카 돼지 열별 감염 돼지 첫 사례 보고돼 단기적으로 돼지고기 공급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8 홍콩 1분기 동안 인터넷·전화 사기 피해액 총 HK$ 7억 막아 사기 피해 건수 및 규모 크게 증가해, 시민 주의 당부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7 홍콩 미중 무역전쟁 발발로 아태 지역 억만장자 수 크게 감소 무역 갈등 고조로 아시아 증시 혼조가 주요 자산 손실 원인 file 위클리홍콩 19.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