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온라인 쇼핑’·‘여행’ 관련 민원 폭증

 

7.png

 

코비드19 팬데믹 여파로 홍콩 소비자위원회에 신고된 불만 민원 건수가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특히 마스크가 우리 생활의 필수품이 되면서 마스크 관련 민원이 약 640배 급증했다.

 

소비자위원회가 4일(목)에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에 신고된 불만 민원 건수는 30,935건으로, 2015년 이후 가장 많다. 전년도인 2019년과 비교했을 때, 24,615건에서 30,935건으로 26% 증가했다.

 

전체 민원 중 상당수가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된 상품과 관련한 민원이었으며, 2019년 13건에서 지난해 4,581건으로 급증했다. 그중 4,486건이 마스크와 관련한 민원이었으며, 배달 지연 또는 미배송에 대한 민원이었다. 2019년 마스크 관련 민원 7건과 비교했을 때 약 640배 급증했다.

 

소비자위원회는 “지난해 초,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초기에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면서 시중에 마스크 공급이 부족해지자 많은 소비자들이 소셜미디어 플랫폼이나 홈페이지 등 온라인에서 마스크를 대량 주문했다. 이에 급격하게 늘어난 주문에 상품 배송이 지연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위원회가 밝혔다.

 

한편 유례없는 팬데믹으로 전 세계 국경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여행 관련 민원도 전년 대비 141% 증가해 총 5,317건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위원회는 “팬데믹 여파로 전 세계 항공 및 여행 업계가 큰 타격을 받으면서, 많은 소비자들의 여행 계획이 무산되었고 항공권 관련 민원이 전년 대비 4배 증가했다. 이는 전체 여행 관련 민원 중 80% 이상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온라인으로 식품, 생활용품 등을 주문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온라인 쇼핑 관련 민원도 약 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자상거래 관련 민원은 2019년 4,564건에서 지난해 13,642건으로 급증해, 전체 민원 중 45%를 차지했다. 온라인 쇼핑 민원 중 약 30%가 마스크 배송 지연, 미배송, 가격 분쟁 관련이었고 25%가 여행 관련 민원이었다.

 

소비자위원회는 “코비드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홈 이코노미(stay-at-home economy)’ 산업이 커지면서 온라인 쇼핑의 인기가 높아졌다. 그러나 지난 한 해 동안 온라인 쇼핑 관련 문제가 점차 표면화되면서 민원이 급증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대면 수업이 중단되면서 교육 관련 민원도 지난해 874건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결혼식 하객 수를 줄여야 하거나 연기하게 되면서 결혼 서비스 관련 민원도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해 233건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위원회는 “팬데믹의 불가측성이 소비자와 공급자의 원활한 거래에 영향을 미치면서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판매자는 소비자들이 안심시킬 수 있도록 홈페이지, 소셜미디어 등 적절한 채널을 통해 명확하고 신속한 대응과 소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300.0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96 홍콩 출처 알 수 없는 HPV 백신 포착, 의약품 밀수 의혹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5 홍콩 은둔형 외톨이 전체 인구 2% 추정, 일본보다 높아 환자 심리적 문제보다 ‘환경·사회·교육 복합적 문제’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4 중국 미중 무역전쟁 악화로 세계경제 암울해 질 수 있어 해외IB 전망 "대중국 관세 전체 확대 시 중국성장률 2% 하락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3 중국 중국 주요대학 여학생들, 자신의 난자 팔아 용돈벌이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2 중국 광둥성 경유 무비자 체류 정책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1 홍콩 아동·노인 학대 및 학대 방관 처벌 강화…최고 20년형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90 홍콩 환경단체, 슈퍼마켓의 불필요한 플라스틱 포장 지적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9 홍콩 새로운 근현대 건축물 문화유산 평가 시스템 도입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8 홍콩 대학 졸업생 증가로 일자리 부족으로 급여 수준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7 홍콩 홍콩 젊은 층 40%, 휴식 취하면 불안·초조·두려움 느껴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6 홍콩 USB 충전 멀티탭 안전성 미달… 제품 사용 시 감전 주의 당부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5 홍콩 홍콩관광청, 관광산업 서비스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4 홍콩 홍콩 정부, 카우룽 파크 지하 공간 개발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3 홍콩 공립 아파트-저소득층 임채 매칭 제도 유연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2 홍콩 중국으로 가는 새로운 고속도로 26일(일) 개통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1 홍콩 JP모건, 홍콩부동산 가격 5% 상승 할 것으로 전만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0 홍콩 2018년 취업사기 피해액, 전년대비 17배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9 홍콩 수당 증가로 홍콩 내 외국인 주재원 연봉 상승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8 홍콩 미중 무역전쟁 장기전 돌입, 홍콩 고용 시장에도 타격 입을 것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7 홍콩 홍콩 부모 5명 중 1명, 가정생활에 어려움 겪어 file 위클리홍콩 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