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일시적 개선, 환경 보호 정책 개선 필요’

 

11.png

 

올 한해 코비드19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사람들의 일상생활이 불편해지고 경제가 둔화했지만, 역설적으로 해양 수질과 대기질이 개선되어 환경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코비드19 확산 이후 국경 간 페리 서비스가 중단되어 해상 교통량이 감소한 덕분에 취약종으로 등록된 핑크 돌고래가 홍콩 해역에서 더 자주 포착되고 있다. 수중 녹음기를 이용해 돌고래가 해역에 머무는 시간을 모니터링한 결과, 24시간 중 2.6~4.3시간 감지되었으며 지난해 1.2시간 미만보다 길어졌다. 이는 해역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졌거나 개체 수가 늘어났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도태평양혹등돌고래, 중국흰돌고래로도 알려진 핑크 돌고래는 주강 삼각주에 서식하는 돌고래로, WWF홍콩 통계에 따르면, 주강 삼각주에 서식하는 핑크 돌고래 개체 수가 2013년 2,500마리에서 지난해 약 2,000마리로 감소했다. 홍콩 란타우섬 인근 해역에서 발견된 돌고래 개체 수는 2004년 188마리에서 2018년 32마리로 감소했다. 작년 개체 수가 52마리로 소폭 증가했는데, 홍콩-주하이-마카오 대교 개통과 홍콩 시위 여파로 국경 간 페리 교통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홍콩대 해상과학 스와이어 연구소의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박사는 해상 교통 감소뿐 아니라 관광객 감소로 폐수가 줄어들면서 해양 수질이 개선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국경 폐쇄 조치가 해제되면 빠르게 원상복귀될 수 있다. 국경 간 해상 교통량 및 페리 속도 제한, 폐수 관리 시스템 개선 등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콩 방문객 수가 1~9월 기간 전년 동기 대비 약 92% 감소한 360만 명으로 나타났다.

 

WWF홍콩은 해상 교통으로 인한 소음과 해양 동물 부상이 줄어들었고 팬데믹 기간 해양 환경 및 수질이 개선되면서 이러한 효과가 나타났다며 코비드19 팬데믹이 환경 및 동물 보호에 대하여 되돌아보는 기회가 되었다고 말했다.

 

코비드19로 대기 오염도 개선되었다. 클린 에어 네트워크(Clean Air Network) 10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홍콩 도로변 대기 오염도가 5년래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기간 도로 교통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일 평균 대중교통 승객 수가 약 890만 명으로, 지난해 1,240만 명보다 약 30% 감소했다.

 

클린 에어 네트워크는 “팬데믹으로 인한 일시적인 개선이며, 정부는 오염물질 배출 감소, 저탄소 배출 지역 설정 등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팬데믹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만을 가져온 건 아니다. 마스크와 위생용품 사용이 늘고 온라인 쇼핑과 음식 테이크아웃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일회용 용기 등 각종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이 급증했다. 환경 NGO단체 더 그린 어스(The Green Earth)는 “팬데믹 기간 공중 보건이 최우선 과제가 되었지만, 공중 보건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력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환경이 파괴되면 공중 보건이 개선될 수 없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1.png (File Size:512.3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16 홍콩 DSE 입시 시험 7개 과목 올백 받은 학생 12명, 사상 최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5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이후 新투표자 35만 명 이상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4 홍콩 사이언스 파크, 혁신 기술 허브로 발돋움 위해 상위 연구기관 유치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3 홍콩 MPF 작년 평균 –8.21% 손해, 과연 대중들의 노년 생활 보장 제도인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2 홍콩 홍콩인들의 중국 군부대·정부기관 지원 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1 홍콩 제철 과일 예년보다 가격 저렴해…美 체리 작년 대비 20%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0 홍콩 브루스 리 저택 철거 소식에 수많은 팬들 실망감 표해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09 중국 중일전쟁, 히로시마와 오쿠노시마 독가스 생산 뉴스로_USA 19.07.19.
1108 홍콩 단기적 아파트 공급, 신계북서부 부동산 개발 수정...300채에서 11,000채 이상으로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7 홍콩 샤틴-센트럴 전체 개통 2021년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6 홍콩 홍콩 여성 노동 인구 50.8%로, 기타 선진국에 비해 저조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5 홍콩 스마트 도시 계획 일환 ‘3년 내 스마트 가로등 400개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4 홍콩 어린이 독감 예방 접종률 향상 위해 비강 분무형 백신 제공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3 홍콩 대기 오염 심화로 이산화질소 농도 측정 캠페인 진행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2 홍콩 영어 핫라인 서비스 수준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1 홍콩 중국계 체인회사·온라인 서점 출현으로 개인 서점 경영난 가중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0 홍콩 도시재생 에너지 제도 “발전차액지원제도” 대중의 관심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099 홍콩 지난 21일(일), 범죄인인도개정(송환법) 반대시위 참여, 주최측 43만명 집계, 경찰138천명으로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098 홍콩 홍콩, 혼돈의 주말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7 홍콩 중국군, 홍콩 시위 진압에 배치 가능성 희박 file 위클리홍콩 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