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png

(사진=scmp)

 

SCMP 조사에 따르면, 국제학교 5곳 중 최소 4곳이 정부로부터 ESS 지원금을 받았으며, 총 1억8천만 홍콩달러 이상이 지원금으로 지급됐다.

 

코비드19 사태로 정부가 일자리 보존을 위하여 고용주에게 직원 임금을 지원하는 ESS 제도를 실시했다.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분에 대하여 1차 지급이 완료되었으며 9월부터 11월분에 대한 2차 ESS 신청이 지난 8월 31일(월)부터 시작됐다.

 

정부 지원으로 운영되는 공립학교 및 대학들은 ESS 수혜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국제학교를 포함한 사립 교육기관은 ESS 지원금 신청 대상에 해당된다. 1차 지급 기간 사립 교육기관 78곳 이상이 ESS 지원금을 받았으며 직원 1만 명에 해당하는 총 2억8천만 홍콩달러가 지급됐다. 그 중 국제학교가 42곳으로 최소 1억8천만 홍콩달러가 지급됐다.

 

22개 학교를 운영하는 홍콩 최대 국제학교 재단인 ESF가 정부로부터 총 7,100만 홍콩달러(직원 2,950명)를 받아 국제학교 중에서 가장 많은 지원금을 받았다. HKIS가 총 528명 직원에 대하여 1,400만 홍콩달러를 받았으며, 이유청 국제학교(Yew Chung International School)도 575명 직원에 대하여 1,380만 홍콩달러를 지급받았다. ISF 아카데미가 고용 직원 448명으로, ESS 지원금으로 1,210만 홍콩달러를 받았으며, CIS와 FIS가 각각 직원 370명과 415명에 대하여 900만 홍콩달러 이상을 지급받았다.

 

그러나 코비드19 사태로 대면 수업이 4개월 이상 중단되었지만 대부분 학교가 여전히 전액 학비를 청구하고 있다. 이에 많은 학부모들이 비싼 학비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특히 일부 학부모들은 코비드19 사태로 소득이 줄어들거나 해고를 당하는 등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학교측에 재정적 조치를 취해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학교가 온라인 수업을 하면서 학비는 학비대로 다 받고 정부로부터 지원금까지 받고 있기 때문에 일정 부분을 학부모들에게 학비 할인, 부분 환불 등 방식으로 돌려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부 학교는 실제로 학비 할인, 다음 학년도 학비 동결, 가계 곤란 재학생에 대한 재정적 지원 제도 도입 등 다양한 조치를 하고 있다. ISF 아카데미 대변인은 모든 학생에게 2020/21학년도 학비에 대해서 1만 홍콩달러를 환급했으며 가계 곤란 재학생을 위한 별도의 기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ESF는 지난 6월 학비에 대하여 45% 할인하기도 했다. 가계 곤란 160가구에 대하여 약 1,800만 홍콩달러 이상의 기금을 마련했다며 지속적으로 가계 곤란 재학생들을 위한 지원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ESS 지원금 460만 홍콩달러를 지급받은 노드 잉글리아(Nord Anglia) 국제학교는 4월~6월 학비에 대하여 12% 할인했다.

 

홍콩 교육부 대변인은 지속적으로 교육 업계와 소통하여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에는 약 4만 명이 국제학교에 재학 중이며, 국제학교 학비는 연간 20만 홍콩달러 이상에 달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507.4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16 홍콩 야채칩, 포테이토칩보다 발암물질 두 배 많아 file 위클리홍콩 19.09.24.
1015 홍콩 폴리텍 대학, ‘폐지수거 노인’위해 수레 디자인·제작 나서 file 위클리홍콩 19.09.24.
1014 중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광저우협의회 19기 출범식 개최 file 라이프매거진 19.09.24.
1013 홍콩 美 밀레니얼을 타깃으로 침체된 관광업 회복 file 위클리홍콩 19.10.01.
1012 홍콩 성난 민심 잡으려면 부동산 대책 시급 file 위클리홍콩 19.10.01.
1011 홍콩 2019/20년도, 426개 유치원 학비 인상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10.01.
1010 홍콩 SFC ‘금융 위험 관리’ 이유로 주식담보대출 한도 설정 file 위클리홍콩 19.10.01.
1009 홍콩 대출 수수료만 72%, 부당 폭리 피해 속출 file 위클리홍콩 19.10.01.
1008 홍콩 8월 홍콩 수출 6.3% 하락, 10개월째 연속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10.01.
1007 홍콩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차이나 머니’에 일희일비 file 위클리홍콩 19.10.01.
1006 홍콩 홍콩정부,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금지법(Anti-Mast Law) 제정 file 위클리홍콩 19.10.08.
1005 홍콩 8월 관광객 40% 감소, 2003년 이래 최악 file 위클리홍콩 19.10.08.
1004 홍콩 주택 가격 3개월째 하락, 연중 최고 하락폭 file 위클리홍콩 19.10.08.
1003 홍콩 홍콩 증권거래소 ‘영국 거래소 인수 포기 안 해’ file 위클리홍콩 19.10.08.
1002 홍콩 센트럴 사무실 임대료 3.2%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10.08.
1001 중국 中 선전, 안면 인식으로 지하철 요금 지불 file 위클리홍콩 19.10.08.
1000 중국 충칭, 세계에서 감시 카메라 가장 많은 도시 1위 file 위클리홍콩 19.10.08.
999 홍콩 홍콩 국가경쟁력 3위, 그러나 사법 독립성·언론의 자유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10.15.
998 홍콩 홍콩인 40% 이상 ‘해외 이민 생각 있어’ file 위클리홍콩 19.10.15.
997 홍콩 홍콩도시개발청, HK$ 105억 투입해 노후 건물 보수 지원 file 위클리홍콩 1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