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 교육자 포화로 하향 지원 현상 초래

 

7.png

▲최종 학년 사회학 학생 인 샬롯 웡 (Charlotte Wong)은 홍보 또는 인적 자원 분야의 직업을 구하고 있지만 제안을 받지 못하고 있다. 대학졸업자들의 증가로 일자리 부족현상으로 하향지원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진=scmp)

 

 

홍콩 전문대 및 대학 졸업생 수가 증가하면서 학력에 맞는 일자리가 부족해 어쩔 수 없이 하향 지원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싱크탱크 뉴 센츄리 포럼(New Century Forum)는 학위 수료자 포화 및 하향 지원으로 인하여 대학 졸업생의 초봉이 25년보다 9.6% 낮다고 전했다.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고등 교육 기관 졸업자 수는 10년 전보다 60% 증가했다. 2017년 고용인구 중 학사 이상 소지자는 약 34%였던 반면 20년 전인 1997년에는 단 12.4%에 불과했다. 급여 수준도 오히려 감소했다. 2017년 고등 교육 기관 초년생의 평균 급여는 14,395 홍콩 달러이지만 1992년의 평균 급여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15,929 홍콩 달러였다.

 

학력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초년생들은 전문성 직종이 아닌 비전문성, 단순 업무를 수행하는 사무직 등으로 하향지원하고 있다. 2007년 해당 직종에 종사자 수는 122만 명에서 2017년에는 18% 증가한 144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원, 행정 사무직, 경비원 등의 고등 교육 수료자 비중이 1997년 8.4%에서 2018년 16.4%로 두 배 증가했다. 뉴 센츄리 포럼은 “구직자들의 학력은 높아지는 반면 이들의 학력에 맞는 일자리가 부족해지면서 직무와 학력의 불일치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대학 졸업생이 많아지자 학위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 상공회는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떨어지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시장 원리이다. 회사는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며 회사의 예산 안에서 업무를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를 뽑는 것이 매우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고등 교육 수료 인구 증가는 퉁치화(Tung Chee-hwa) 전 행정장관이 20년 전 20%에 불과했던 고등학교 졸업자 수를 60%를 늘리는 것을 목표하면서 시작되었다. 정부의 고등 교육 인구 증가 목표에 따라 학원 등 사립교육 시장이 확대되었고 2000년대 중반에 이미 60%를 빠르게 넘어섰으며 2015년에는 70%에 달했다. 이밖에도 2000년에는 대학 보조 위원회가 인정한 8개 대학에서만 학위 수료가 가능했지만, 지금은 해당 8개 대학을 포함해 사립 전문대 등 총 21곳으로 증가해 학위 수료가 쉬워졌다.

 

뉴 센츄리 포럼은 홍콩 경제는 지나치게 금융과 서비스 부문에 집중됐으며 경제 다각화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해당 산업의 일자리 공급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초년생들이 원하는 일자리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임금 수준은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또 다른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고 경고했다.

 

청소년 개발 위원회는 요리사, 현장 근로직, 목수 등과 같은 블루칼라 직종에 대한 편견을 떨쳐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위원회는 “육체노동이 많은 직종이 사무직에 비해 열등하다는 편견이 만연하다. 학생들이 원하는 진로와 상관없이 대학 진학을 원하는 부모 성화에 못 이겨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도 많다”고 말했다.

 

기업 육성 컨설팅 회사 골드 벤처(Goldford Venture)는 “청년들은 쉽고 편한 것만 찾지 않고 더 밝은 미래를 위해 ‘고생’을 감수할 용기가 필요하다. 수많은 초년생들이 초과 근무를 원치 않고 짧은 출퇴근 시간과 편안한 사무직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홍콩을 벗어나 타지에서 근무하는 것을 꺼려한다고 지적했다.

 

사무직에서 일했던 에바 웡(Eva Wong)씨는 자신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남들이 가지 않는 진로도 과감히 선택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녀는 일반적인 학생들이 잘 선택하지 않는 건설 부문으로 진로를 바꿨다. 여자는 건설업에서 일하면 안 된다는 주변인들의 인식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건설교육기관에서 수량조사학 프로그램을 신청했으며 이미 교육기관을 통해 인턴으로 채용된 상태이다. 에바 웡씨는 “건설업의 전망이 밝은데다 과거보다 초봉이 높아졌다. 굳이 대학을 안 가더라도 수많은 새로운 진로와 기회가 있다는 점을 학생과 부모가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355.0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6 홍콩 작년 삶의 터전 잃은 난민 전 세계 7천만 명 달해 아시아에는 약 770만명.. 중국에서는 2018년 말 기준, 약 32만명 난민 수용 file 위클리홍콩 19.06.25.
475 홍콩 케네디타운 MTR 역에 멧돼지 출현으로 여성 1명 부상, 야생 멧돼지 목격 제보 건수 꾸준히 증가로 골머리... 멧돼지를 만났을 시, 절대 침착해야 file 위클리홍콩 19.06.25.
474 홍콩 QS 세계대학순위, 홍콩 소재 대학 5개 100위권 진입... 홍콩과기대(HKUST)는 32위, 홍콩중문대(CUHK) 46위, 시티대(City U)는 45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473 홍콩 도시재개발청 재정 흑자 5분의 1로 감소, 지속 가능성 우려 제기.. 판매가 대비 높은 부동산 매입가·낮은 입찰가 등 이유 file 위클리홍콩 19.06.25.
472 홍콩 제과제빵 25%, WHO 권장 트랜스 지방 함유량 웃돌아.. 과다 섭취 시, 심장 질환 발병 위험성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471 홍콩 HKMA, 미 Fed 금리 인하 예고에 시장 변동성 주의할 것 당부.. 2015년부터 9차례 인상된 금리, 4년 만에 인하하나? file 위클리홍콩 19.06.25.
470 홍콩 HSBC,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등 각종 은행 수수료 폐지 예정.. 가상 은행 출현으로 고객 유지를 위한 조치로 분석 file 위클리홍콩 19.06.25.
469 홍콩 공립병원 내원 시위자 정보 유출 의혹… 병원 당국 전면 부인, 시위 환자 목록·병원 현장 체포 등 유출 정황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06.25.
468 중국 시진핑 방북, 한반도정세 어떤 영향줄까 뉴스로_USA 19.06.20.
467 중국 中 인프라 투자 촉진 위해 “특별 지방 정부 채권 발행 지원” 중국 부채 비율 낮아… 충분히 통제 돼 file 위클리홍콩 19.06.18.
466 중국 中 과일 가격 상승에 중국 소비자 울상.. 작년 한파·서리 피해로 공급과 수요 불균형 현상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6.18.
465 홍콩 간호학 학생 37.3% 환자로부터 폭력 경험.. 부족한 간호 인력난 심화 우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
464 홍콩 홍콩의 건축양식 발전 역사와 현재… 통라우의 흔적, 영국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진 사회정치적 영향 속에서 변모 file 위클리홍콩 19.06.18.
463 홍콩 TSA 학업평가시험, 학업 부담 논란 속에서 작년보다 응시율 높아, 작년보다 난이도 하향…학생 부담 줄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8.
462 홍콩 홍콩 생산가능 인구 감소…2027년 약 17만 명 노동력 부족 전망, 주부와 은퇴자 재취업 방안 모색 시급 file 위클리홍콩 19.06.18.
461 홍콩 홍콩 생활 물가, 작년 7위에서 4위로 껑충 뛰어.. 홍콩 달러 강세·높은 인플레이션이 주요 원인 file 위클리홍콩 19.06.18.
460 홍콩 홍콩으로 돌아온 역 이민자들 다시 캐나다로 발길 돌려, 홍콩 정치적 불안·개인적 사유·인구 고령화… 여러 주장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
459 홍콩 홍콩 전통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458 홍콩 세금 감면과 노후 저축,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다... 새로운 연금 보험 제도 소비자에게 큰 인기 얻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457 홍콩 단오절 맞아 곳곳에서 용선 경기…즐거움과 열기로 가득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