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2-부의격차.jpg

 

 

1998년과 2015년 사이 부동산 가격이 133% 증가했다고 르 몽드가 보도했다. 

6월5일 프랑스 통계청(Insee)이 발표한 프랑스인들의 생활 수준과 재산에 관한 자료에 따르면 1998년과 2015년 사이에 소득은 약간 증가했으나 부동산 소유주와 세입자들 사이 격차는 더 크게 벌어졌다고 한다. 

 

2015년 프랑스인의 평균 소득은 월 1,692유로였다. 2014년에 비해 0.4% 증가했다. 가계의 구성원 1인의 세금과 사회복지 분담금 공제 후 가처분 소득이 생활 수준을 의미한다. 

가처분 소득은 정확히 말해 소비 단위이다. 가계의 첫째 성인은 단위가 1, 그 다음부터는 1인당 0.5, 14세 이하의 어린이는 1인당 0.3으로 계산한다. 앞의 1,692유로는 중앙선에 있는 1인의 소득이고. 자식이 없는 부부의 중앙선은 2538유로, 14세 어린이가 2명인 4인 가족의 중앙선은 3,553유로다. 이 소득이 바로 구매력이다.

 

2011년부터 계속 감소하던 구매력은 상위 10%의 가계에서는 2015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평균 1인 월 3,125유로에 달했다. 2015년에 1.7% 증가했다. 최하위 10%는 평균 한 달 가처분 소득이 905유로로 겨우 0.3% 증가했다. 

 

2015년 프랑스의 빈곤층의 인구는 890만 명, 인구의 14.2%였다. 중앙선 소득의 60%가 빈곤선인데, 빈곤선 소득은 1인 1,015유로, 부부는 1,223유로다. 이 이하로 생활하는 사람들이 빈곤층이다. 이 계층에도 경제 위기가 영향을 미쳐 2008년부터 2015년 사이에 80만 명, 0.9% 증가했다. 그래도 프랑스(빈곤률 14.2%)는 유럽 연합 국가들 중 빈곤률이 낮은 국가에 속한다. 부의 재분배 시스템 때문에 영국의 빈곤율은 16.6%, 독일은 15%에 달한다.  

 

그러나 불평등의 격차를 벌리는 것은 재산, 즉 부동산이다. 프랑스의 가계의 (빚은 계산에 넣지 않고) 평균 총 재산은 158,000 유로다. 1998년과 2015년 사이에 배가 늘었다. 그러나 가계의 카테고리에 따라 증가 속도가 다르다. 재산이 가장 적은 하위 10%의 순 재산은 4,300유로인데 여기에 부채(빚)을 빼면 2,000유로다. 

 

부유한 상위 10%의 1인 평균 재산은 595,700유로이고, 가장 부유한 1%의 재산은 1인 평균 410만 유로이며, 이들 부유층이 프랑스 인 전체 재산의 16%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재산은 직업적 자산 14%, 금융 자산 25%, 생명 보험, 주식 그리고 특히 부동산 51%로 구성되며, 1998년과 2015년 사이에 113% 증가했다.

 

 1998년과 2015년 사이에 금융 자산은 75% 증가했고, 같은 기간에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여 집 주인들의 재산을 133% 증가시켰다. 하위 30%의 가계는 세입자로 남아 있었다. 

공공 또는 사유 임대 주택 거주자들은 1990년대 보다 현재 더 가난하다. 따라서 국가는 이들이 접근할 수 있는 임대 주택을 지으라고 권유하고 있다. 하위 30% 층을 벗어나면 융자가 쉬워지기 때문에 주택 소유를 고려할 수 있다.

 

주택 구입자들의 평균 재산은 265,000 유로다. 이들은 융자가 없는 집 주인들의 재산 285,600유로와 별 차이가 없다. 그러나 재산이 13,200유로뿐인 세입자들과는 거리가 멀다.

 

1985년부터 가난의 형태도 달라졌다.

1970년에서 1984년 사이, 평균소득의 60% 이하로 사는 빈곤층은 인구의 17.9%에서 13.5%로 감소했다. 이 같은 빈곤율 하락은 퇴직자들의 구매력 개선 덕분이었다. 연금 수령자들의 생활 수준 개선이 퇴직자의 빈곤율을 30.5%에서 10.9% 하락시켰다.

 

1985년에서 2008년 사이 전체 인구의 빈곤율은 14.5%에서 12.6% 사이에 변동하면서 안정적이었다. 하지만 2008년의 경제 위기는 특히 숫적으로 증가하는 1인 부모 가정에 영향을 주면서 이들은 실업으로 점점 더 가난하게 되었다. 

2015년에 빈곤층 890만 명 중에서 210만 명이 아이가 많은 1인 부모 가정에 살고 있었는데, 1996년에는 1인 부모 가정 거주자 수가 98만 명이었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 이진명 편집위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8 영국 영국,최저임금 지불하지 않는 수백개 기업 명단 공개 압박 유로저널 16.01.28.
917 프랑스 [주간 프랑스 주요뉴스 동향]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3개월 연장검토” 프랑스존 16.01.28.
916 프랑스 백악의 절벽을 좌우 날개로 달고 출항하는 항구도시 ‘디에프’ 프랑스존 16.01.28.
915 프랑스 프랑스 국가 비상사태 연장, 장기화 조짐 우려 유로저널 16.01.28.
914 프랑스 프랑스의 국가 자치단체 조직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프랑스존 16.01.28.
913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 난민에 대한 강경 정책 내놓아 우려돼 유로저널 16.01.28.
912 프랑스 커피 대신 시간을 주문하는 안티카페 프랑스존 16.01.28.
911 기타 유럽연합 정상들, 향후 2년간 쉥겐조약의 효력 정지 고려중 유로저널 16.01.28.
910 스페인 스페인 정치권, 여전히 혼란 속으로 유로저널 16.01.28.
909 독일 독일 경계선에서 난민들 하루 최고 200명씩 돌려 보내 유로저널 16.01.30.
908 프랑스 프랑스, 주 35 시간 근무제 수정 전망 유로저널 16.01.30.
907 프랑스 프랑스 정부의 친기업 정책의 상징, 세액 공제(CICE) 폐지 위기  유로저널 16.01.30.
906 이탈리아 이탈리아 사람들이 우울한 1월을 보내는 방법 유로저널 16.01.30.
905 동유럽 동부유럽 이주민들 일자리도 빨리 잡아, 자국 경제에는 손실 유로저널 16.01.30.
904 독일 독일 난민 비용, 2017년까지 500억유로  유로저널 16.02.04.
903 독일 독일의 젊은이들, 환경보다 소비가 더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전환 유로저널 16.02.04.
902 영국 옥스퍼드에 사는 학생은 옥스퍼드 진학할 가능성 적다? 유로저널 16.02.04.
901 영국 영국 수상 캐머런의 유럽연합 요구안, 일부 조항 타결 가능성 보여 유로저널 16.02.04.
900 프랑스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연장 반대 시위전국 곳곳에서 열려 유로저널 16.02.04.
899 프랑스 프랑스, 주거복지환경 악화 등  공공보건 문제 심각 유로저널 16.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