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3-항공 관제사.jpg

 

 

2004년에서 2016년 사이에 프랑스의 항공 관제사 파업 일 수가 254일이었다고 프랑스 언론들이 보도했다. 이는 6월 18일 발표된 상원의 재무 위원회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항공 여객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관제사들은 계속적으로 파업을 하고 있고, 장비는 노후화되어, 이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같은 기간에 그리스 관제사들의 파업 일 수는 46일, 이태리 37일, 포루투갈 10일, 독일 4일이었다. 관제사들은 노조의 집단 파업에도 참여하고 또 공무원 파업에도 참여한다. 

 

가장 큰 민간 항공 노조 USAC-CGT 관계자는 "유럽 차원에서 단순 비교는 복잡하다. 스위스는 관제사 수도 적고, 여객도 많지 않아 관제사들의 파업 일 수가 적을 수 밖에 없다. "고 말한다. 

위 보고서를 작성한 카늘라스 의원은 "프랑스에 관제탑 파업이 있을 때 유럽 항공 운송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유럽 국가보다 크다. 프랑스 관제사들은 유럽에서 가장 넓고 비행 수가 가장 많은 상공을 관제하기 때문이다."며 "관제사들의 파업은 항공기 운항 취소를 유발하는데, 254일 파업으로 1일 평균 652 편의 운항이 취소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프랑스의 운항 지연은 관제 장비가 노후한 이유도 크다."며 "프랑스가 유럽 항공기 지연의 33% 책임이 있다. 이 때문에 항공사들이 1년에 3억 유로의 손해를 보았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관제탑 장비의 관리 유지비로 1년에 1억3600만 유로가 든다. 이웃 국가들에 많이 뒤져 있다. 2011년 이후 장비의 현대화에 20억 유로가 지출되었다. 

 

프랑스의 항공 관제사는 4000명인데, 이들은 매년 크게 증가하는 항공 운송에 대처해야 하는 압력을 받고 있다. 그들은 2017년에 310만 건의 운항을 관제했다. 이는 2016년에 비해 4% 증가, 2015년에 비해 8,6% 증가한 수치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운항의 안전에 위험이 없는 점이다. 교통부의 민간 항공 총국은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국립 민간 항공 학교’(ENAC)는 전 세계에 우수성이 입증된 학교다. 이 학교를 졸업한 외국인 관제사들이 세계 여러 나라의 가장 현대적인 관제탑에 근무한다. 그러나 이 학교에서 양성된 프랑스 관제사들은 낙후된 25년 전의 장비를 가지고 있는 프랑스 관제탑에서 근무하고 있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 편집부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8 영국 영국,최저임금 지불하지 않는 수백개 기업 명단 공개 압박 유로저널 16.01.28.
917 프랑스 [주간 프랑스 주요뉴스 동향]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3개월 연장검토” 프랑스존 16.01.28.
916 프랑스 백악의 절벽을 좌우 날개로 달고 출항하는 항구도시 ‘디에프’ 프랑스존 16.01.28.
915 프랑스 프랑스 국가 비상사태 연장, 장기화 조짐 우려 유로저널 16.01.28.
914 프랑스 프랑스의 국가 자치단체 조직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프랑스존 16.01.28.
913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 난민에 대한 강경 정책 내놓아 우려돼 유로저널 16.01.28.
912 프랑스 커피 대신 시간을 주문하는 안티카페 프랑스존 16.01.28.
911 기타 유럽연합 정상들, 향후 2년간 쉥겐조약의 효력 정지 고려중 유로저널 16.01.28.
910 스페인 스페인 정치권, 여전히 혼란 속으로 유로저널 16.01.28.
909 독일 독일 경계선에서 난민들 하루 최고 200명씩 돌려 보내 유로저널 16.01.30.
908 프랑스 프랑스, 주 35 시간 근무제 수정 전망 유로저널 16.01.30.
907 프랑스 프랑스 정부의 친기업 정책의 상징, 세액 공제(CICE) 폐지 위기  유로저널 16.01.30.
906 이탈리아 이탈리아 사람들이 우울한 1월을 보내는 방법 유로저널 16.01.30.
905 동유럽 동부유럽 이주민들 일자리도 빨리 잡아, 자국 경제에는 손실 유로저널 16.01.30.
904 독일 독일 난민 비용, 2017년까지 500억유로  유로저널 16.02.04.
903 독일 독일의 젊은이들, 환경보다 소비가 더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전환 유로저널 16.02.04.
902 영국 옥스퍼드에 사는 학생은 옥스퍼드 진학할 가능성 적다? 유로저널 16.02.04.
901 영국 영국 수상 캐머런의 유럽연합 요구안, 일부 조항 타결 가능성 보여 유로저널 16.02.04.
900 프랑스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연장 반대 시위전국 곳곳에서 열려 유로저널 16.02.04.
899 프랑스 프랑스, 주거복지환경 악화 등  공공보건 문제 심각 유로저널 16.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