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jpg

 

세계은행(World Bank)은 2017년 국내 총 생산(GDP/PIB)을 발표했다. 프랑스가 7위, 한국이 12위로 나타났다. 특히 2017년에 인도가 프랑스를 앞질러 6위로 올라섰고, 프랑스는 7위로 밀려 났다. 10년 전만 해도 인도의 국내 총 생산은 프랑스의 절반 수준이었다.

 

2017년 대한민국의 국내 총 생산은 1조5,310억 달러로 세계 제12위였다. 인도의 국내 총 생산은 2조5,970억 달러로 세계 제6위였고, 프랑스는 2조 5,830억 달러로 제7위였다. 영국은 미국, 중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제5위였다. 

 

10여년 사이 인도의 경제력이 급성장한 이유는 영어로 소통이 가능하며 특히, 서비스분야에서 뉴메릭기업 같은 부가가치가 높은 외국의 회사들이 인도로 이전한 것이 그 이유이다. 차세대가 IT분야에 뛰어들어 학위를 얻고 경력을 쌓아 검증된 능력을 획득했기 때문에 발전의 큰 잠재력을 보유 한 점도 큰 원동력이 되었으며 인도의 인구 증가율이 높아 2028년에는 중국 인구를 능가할 전망이다. 이런 인구증가가 튼튼한 IT개발능력을 발전시켜 거대한 소비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총생산이 한 나라의 경제 활동을 반영하는 충실한 지표이며 세계경제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틀림 없지만 아쉽게도 총인구 13억2천4백만 명에 달하지만 인도국민 개개인이 프랑스나 한국 국민 정도의 생활 수준과 부를 누리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인도의 1인당 개인 소득은 2017년에 7,056 달러였는데, 프랑스는 42,779 달러였다. 프랑스도 개인소득 면에서 세계 제28위로 수 많은 미세 국가(micro-Etats)들과 석유 왕국들 국민의 개인 소득에는 뒤진다. 이탈리아 (개인 소득 년 39,817 달러), 스페인 (38,091 달러)보다는 앞이다.

인간 개발 지수(IDH)는 국내 총 생산(GDF/PIB), 기대 수명, 젊은 층의 교육 수준까지도 고려하여 계산한다. 프랑스의 IDH는 188개국 중 제21위로 IDH가 가장 높은 그룹에 속한다. 인도는 IDH가 131위다. 

 

국내총생산(GDP)은 우리로 하여금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2009년에 인도(1조3240억 달러)의 GDP(PIB)는 프랑스(2조6900억 달러)의 반정도였는데 2017년에 프랑스의 GDP를 능가했다. 2006년에는 중국의 GDP가 프랑스의 GDP를 넘어섰는데, 2004년만 해도 중국의 GDP는 이탈리아 수준이었다.

GDP에서 2022년에 한국은 제11위로 올라서고, 캐나다가 제12위로 내려 가며, 프랑스는 제8위로 밀려 날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국내 총생산(GDP) 순위 세계15대 경제 대국, 단위 10억 달러 /오른쪽은 개인 GDP, 단위 달러. 세계 은행 자료. 

1) 미국 19 390 (19조3990억) / 59 532 , 2) 중국 12 237 / 16 807, 3) 일본 4 892 / 43 876, 4) 독일 3 677 / 50 715, 5) 영국 2 622 / 43 877, 6) 인도 2 597 / 7 056, 7) 프랑스 2 583 / 42 779, 8) 브라질 2 055 / 15 484, 9) 이탈리아 1 935 / 39 817, 10) 캐나다 1 653 / 46 378, 11) 러시아 1 578 / 25 533, 12) 한국 1 531 / 38 260, 13) 오스트레일리아 1 323 / 47 047, 14) 스페인 1 311 / 36 091, 15) 멕시코 1 150 / 18 149.

 

【프랑스(파리)=한위클리】편집부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8 영국 영국,최저임금 지불하지 않는 수백개 기업 명단 공개 압박 유로저널 16.01.28.
917 프랑스 [주간 프랑스 주요뉴스 동향]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3개월 연장검토” 프랑스존 16.01.28.
916 프랑스 백악의 절벽을 좌우 날개로 달고 출항하는 항구도시 ‘디에프’ 프랑스존 16.01.28.
915 프랑스 프랑스 국가 비상사태 연장, 장기화 조짐 우려 유로저널 16.01.28.
914 프랑스 프랑스의 국가 자치단체 조직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프랑스존 16.01.28.
913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 난민에 대한 강경 정책 내놓아 우려돼 유로저널 16.01.28.
912 프랑스 커피 대신 시간을 주문하는 안티카페 프랑스존 16.01.28.
911 기타 유럽연합 정상들, 향후 2년간 쉥겐조약의 효력 정지 고려중 유로저널 16.01.28.
910 스페인 스페인 정치권, 여전히 혼란 속으로 유로저널 16.01.28.
909 독일 독일 경계선에서 난민들 하루 최고 200명씩 돌려 보내 유로저널 16.01.30.
908 프랑스 프랑스, 주 35 시간 근무제 수정 전망 유로저널 16.01.30.
907 프랑스 프랑스 정부의 친기업 정책의 상징, 세액 공제(CICE) 폐지 위기  유로저널 16.01.30.
906 이탈리아 이탈리아 사람들이 우울한 1월을 보내는 방법 유로저널 16.01.30.
905 동유럽 동부유럽 이주민들 일자리도 빨리 잡아, 자국 경제에는 손실 유로저널 16.01.30.
904 독일 독일 난민 비용, 2017년까지 500억유로  유로저널 16.02.04.
903 독일 독일의 젊은이들, 환경보다 소비가 더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전환 유로저널 16.02.04.
902 영국 옥스퍼드에 사는 학생은 옥스퍼드 진학할 가능성 적다? 유로저널 16.02.04.
901 영국 영국 수상 캐머런의 유럽연합 요구안, 일부 조항 타결 가능성 보여 유로저널 16.02.04.
900 프랑스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연장 반대 시위전국 곳곳에서 열려 유로저널 16.02.04.
899 프랑스 프랑스, 주거복지환경 악화 등  공공보건 문제 심각 유로저널 16.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