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 대법원, "수사 검사장 자격 박탈 법적 근거 없다" 거절
 
▲  2020년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캠페인이 공화당 지지자들에게 부재자투표 신청을 독려하는 전단지가 가정집 우편함에 들어있는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김명곤 기자 = 조지아주 최고법원이 17일 조지아주 선거 개입 의혹과 관련한 조사를 중단하게 해달라는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기각했다. 조지아주 지방 검찰은 지난 2020년 대통령 선거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선거 결과를 뒤집기 위해 외압을 행사한 의혹에 대해 조사 중이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은 수사를 담당하고 있는 조지아주 풀턴카운티의 패니 윌리스 검사장이 트럼프 전 대통령을 기소하지 못하도록 막고, 특별대배심이 내놓은 트럼프 전 대통령 선거 외압 관련 보고서를 폐기해달라는 청원서를 지난주 조지아주 대법원에 제출했었다.

주 대법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풀턴카운티 고등법원에도 유사한 요청을 했으며, 해당 청원서가 현재 계류 중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주 대법관들은 이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반적인 재판 경로에 대한 접근을 방해받았다는 주장을 증명해 보이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윌리스 검사장의 기소 자격을 박탈해 달라는 요청에 대해선 “주 대법원이 윌리스 검사장의 자격 박탈을 명령하는 데 필요한 사실이나 법이 부족하다”고 명시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앞서 ‘이중 신청’이 이례적이라는 점을 인정했다. 하지만 빠듯한 시간을 고려할 때 필요한 결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변호인단은 지난 3월 풀턴카운티 고등법원에 유사한 청원서를 내고 특별대배심을 총괄한 로버트 맥버니 고등법원 판사가 물러나고 대신, 새로운 판사가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의 주장을 듣게 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풀턴카운티 고등법원은 이에 대한 결정을 아직 내리지 않았다.

트럼프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청원서에서 “담당 판사의 시간을 끄는 소극성과 지방 검사의 임박한 기소 사이에 갇혀 있다”라고 주장하고 최고 법원의 개입을 요청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윌리스 검사장은 지난 2021년 초부터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지난 2020년 대선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화당의 텃밭으로 여겨지던 조지아주에서 약 1만2천 표, 근소한 차이로 당시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조 바이든 대통령에 패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선거 결과에 불복하며, 조지아주 선거 관리 책임자인 브래드 래팬스퍼거 총무장관에 전화를 걸어 자신의 표를 더 찾아내라고 압박한 정황이 드러나자 윌리스 검사장이 관련 수사에 착수했다.

윌리스 검사장은 조사를 위해 주요 증인들을 소환했지만, 소환에 불응하자 작년 5월 특별 대배심을 꾸렸다. 일반적으로 대배심은 형사 사건에서 기소 여부만 판단하지만, 특별 대배심은 사건에 관해 조사하고 검사에게 권고 사항을 내놓을 수도 있다. 특별 대배심은 7개월 동안 트럼프 전 대통령 측 고위 인사를 비롯해 총 75명의 증언을 청취한 이후 관련 보고서를 내고 올 1월 해산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은 주 대법원에 이 보고서를 폐기해달라고 요청했다. 일부 공개된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 쪽에 불리한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특별 대배심은 보고서에서 일부 증인이 위증한 것으로 보인다며 검찰에 기소를 권고했다. 특별 대배심은 또 보고서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주장과는 달리 “2020년 대선 당시 조지아에서 선거 결과를 뒤집을 수 있는 광범위한 사기가 없었다”는 것을 만장일치로 확인했다고도 밝혔다.

특별 대배심이 기소를 권고한 사람 중에 트럼프 전 대통령도 있는 지는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기소될 위기에 또다시 처한 건 사실이다. 앞서 지난 3월 뉴욕주 맨해튼 대배심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이른바 ‘성 추문 입막음’ 의혹으로 기소했다. 지난달에는 퇴임 후 기밀문서를 고의로 보관한 혐의 등과 관련해 연방 대배심이 또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 기소 결정을 내렸다.

이로써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역대 미국 전현직 대통령 가운데 최초로 연방과 주 차원에서 모두 형사 기소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두 기소 건에 대해 모두 무죄를 주장하고 있다.
  • |
  1. trump.jpg (File Size:159.2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55 미국 플로리다 열대정원, 독보적 식물 수두룩 코리아위클리.. 16.04.01.
3054 미국 ‘파산자 당신' 그래도 기회는 있다 코리아위클리.. 16.04.01.
3053 미국 먹고살기도 바쁜데 배심원 하라고? 코리아위클리.. 16.04.01.
3052 미국 플로리다 올랜도, 어떻게 골프의 메카가 되었나 file 코리아위클리.. 16.04.02.
3051 미국 ‘트럼프 대안’ 케이식을 주목하라..여론조사 힐러리 앞서 file 뉴스로_USA 16.04.03.
3050 미국 샌더스 뉴욕서 힐러리에 선전포고 file 뉴스로_USA 16.04.03.
3049 미국 뉴욕 일원 강풍 꽃샘추위 수만가구 정전 피해 file 뉴스로_USA 16.04.04.
3048 미국 반총장이 청년 영화제작자 인터뷰한 까닭은 file 뉴스로_USA 16.04.04.
3047 미국 원인 미스터리 자폐증, 개인 편차 커 코리아위클리.. 16.04.08.
3046 미국 오바마케어 가입자 60%, 보조금 반납해야 코리아위클리.. 16.04.08.
3045 미국 플로리다 지카 바이러스 환자 계속 늘어 79명 file 코리아위클리.. 16.04.09.
3044 미국 식당 위생검사에서 226건 적발, 도대체 왜? 코리아위클리.. 16.04.09.
3043 미국 미국 노인층, 인구 지형에 격변 일으킬 듯 코리아위클리.. 16.04.09.
3042 미국 선거철 직장내 정치논쟁 어디까지? 코리아위클리.. 16.04.09.
3041 미국 '전통 장례냐 화장이냐' 미국 유대사회의 장례 논쟁 코리아위클리.. 16.04.11.
3040 미국 혼합무술 인기, 이제 성인 넘어 아동까지 코리아위클리.. 16.04.11.
3039 미국 유일호 부총리, 뉴욕서 한국경제 설명회 개최 file 뉴스로_USA 16.04.14.
3038 미국 슁글-대상포진 40대 이후 주로 발생 코리아위클리.. 16.04.14.
3037 미국 대학 결정엔 재정보조가 큰 부분 차지 file 코리아위클리.. 16.04.14.
3036 미국 해수 상승으로 금세기말 미 해안가 1300만명 피해 코리아위클리.. 16.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