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전 대통령과 공동 1위… 여성 부문 미셸 오바마, 2년 연속 1위
 

do2.jpg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지난해 연말 여론조사에서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 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사진은 올랜도 외곽의 한 노점이 각종 트럼프 대통령 지지 홍보판과 깃발을 내걸고 있는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여론조사 기관 갤럽이 매년 연말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을 파악하는 여론 조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바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각각 18% 응답률로, 공동 1위에 올랐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을 포함, 이 조사에서 열두 번째 1위를 차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1위에 오른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갤럽은 지난 1948년 이후 매년 이 조사를 실시했는데, 앞선 72차례 조사에서 58번이나 현직 대통령이 1위를 차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해였던 2017년에 응답률 14%에 머물렀고, 이듬해인 2018년에는 13%로 더 떨어졌다. 갤럽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1년차에 직무수행 지지도 36%에 머물고, 2년차에도 40%에 턱걸이하는 등 인기 없는 대통령이었기 때문에 ‘존경하는 인물’ 순위에서도 처졌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3년차인 2019년에는 지지도를 45%까지 끌어올리면서 상황이 달라졌다고 평가했다.

반면, 오바마 전 대통령은 자리에서 물러난 뒤에도 인기를 유지고 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퇴임 직후인 2017년에 17%, 이듬해인 2018년에도 19%로 높은 응답률을 유지했다. 퇴임 후에도 두 자릿수 응답률을 기록한 대통령은 앞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뿐이었다.

오바마 전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을 각각 존경하는 사람들은 지지 정당에 따라 극명하게 갈린다. 오바마 전 대통령을 놓고, 민주당 지지층은 41%가 존경한다고 답한 데 비해, 공화당 쪽에선 3%에 불과했다. 반면 공화당 지지층은 45%가 트럼프 대통령을 존경한다고 했고, 민주당에선 2%에 머물렀다.

지지 정당에 따라 극명하게 갈려

민주당 쪽도, 공화당 쪽도 아닌 사람들 사이에선 두 사람에 대한 존경 의사가 엇비슷하게 나왔다. 중도ㆍ무당파 집단에서 오바마 전 대통령을 꼽은 사람은 12%였고, 트럼프 대통령을 택한 경우는 10%였다.

어쨌든 미국 사람들은 주로 대통령들을 존경한다는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 동안 조사에서 전ㆍ현직 대통령이 아닌 사람이 1위에 오른 경우는 단 세 차례뿐이었는데, 2차 세계대전 직후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그 뒤로 1970년대 헨리 키신저 당시 국무장관, 그리고 1980년 당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수위를 차지한 적이 있다.

이번 순위에 오른 사람들을 남성부터 살펴보면, 정치권에서는 지미 카터 전 대통령,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 애덤 쉬프 하원의원이 이름을 올렸고, 경제계에서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주,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포함됐다. 종교계에선 티베트 불교 지도자 달라이 라마, 그리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존경하는 인물로 꼽혔다. 이들은 모두 2% 이하 응답률로, 트럼프 대통령ㆍ오바마 전 대통령과의 격차가 컸다.

여성 부문은 바락 오바마 전 대통령 부인 미셸 여사가 10% 응답률로 1위에 올랐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수위를 차지, 여성 중 유일하게 두 자릿수 응답률을 기록했다. 2위는 트럼프 대통령 부인 멜라니아가 5%를 얻었다. 이 밖에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그리고 스웨덴 출신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 양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여성의 경우 정치인이 많지 않은데, 10위권까지 훑어보면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대법관,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니키 헤일리 전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 이름을 올렸는데요. 이 밖에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도 포함됐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15 미국 올랜도 시월드-탬파 부시가든, 취학전 아동에 무료 패스 코리아위클리.. 19.01.10.
1814 미국 중국정부 지원 ‘공자학원’ , 플로리다 대학에서 줄줄이 퇴출 코리아위클리.. 19.01.10.
1813 미국 플로리다 고속철 ‘브라이트 라인’, 3월부터 공사 시작! 코리아위클리.. 19.01.10.
1812 미국 켐프 취임사 “함께하면 해낼 수 있다” file 뉴스앤포스트 19.01.15.
1811 미국 집안의 바퀴벌레, 침까지 뱉는다 코리아위클리.. 19.01.16.
1810 미국 선글라스 함부로 쓰면 눈 망친다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9 미국 콜레스테롤 저하에 좋은 음식들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8 미국 '캐논볼' 플로리다산 해파리, 먹게 될까?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7 미국 집 사기 전에 갗워야 할 정보와 지식 file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6 미국 피로 계속되면 만성피로증후군 의심하라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5 미국 이민자 나라 미국, 홀리데이가 많은 이유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4 미국 플로리다 주택보험, 허리케인 피해 보상 어떻게?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3 미국 은퇴연금과 뮤추얼 펀드 섣불리 건드리지 말라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2 미국 유서 깊은 미국사회 걸스카웃 쿠키판매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1 미국 의자 넘어지는 소리에 “총격이다!” 혼비백산 코리아위클리.. 19.01.16.
1800 미국 론 드샌티스, 플로리다 46대 주지사 취임 코리아위클리.. 19.01.16.
1799 미국 차에 치여죽은 사슴,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나? 코리아위클리.. 19.01.16.
1798 미국 1월은 헌혈의 달... 매년 큰 폭 감소 코리아위클리.. 19.01.24.
1797 미국 중앙플로리다 주택 시장, 올해 다소 부진할 듯 코리아위클리.. 19.01.24.
1796 미국 플로리다 오바마케어 가입자 작년보다 늘어 코리아위클리.. 19.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