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in Trudeau Twitter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캐나다 총리는 연방정부가 건강 관리를 위해 주 및 준주에 지급하는 의료 이전료가 더 짧은 대기 시간과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캐나다인에게 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결과를 제공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트뤼도 총리는 지난번 주 정부와 연방정부의 투자가 항상 필요한 개선점을 가져다주지는 않는다고 했다. 해당 발언은 지난 11~12일 주 총리들이 의료 시스템에 대한 자금 지원 재협상을 위해 만난 이후에 나왔다.

 

존 호건(John Horgan)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총리는 연방 의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연방정부가 의료보험에 대한 “논쟁”을 멈추고 주 총리들과 만나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의료자금 요청을 처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의 앤드류 롱허스트(Andrew Longhurst) 연구원은 이가 정책 자금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방정부가 주와 준주가 의료 이전료를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 우려하는 것은 옳다고 말했다.

 

또한 주 정부가 수년에 걸친 어려운 의료 현대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한 자신들의 역할을 무시함으로써 시스템이 어떻게 위기 지점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책임 전가”에 관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형태의 전염성이 높은 변이 바이러스가 다시 확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입원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주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모두 해제했으며, 이가 위기를 더욱 약화했다.

 

호건 주총리는 의료보험이 주와 주 예산에서 가장 큰 비용 요인이기 때문에 추가 기금으로 무엇을 할지를 이미 논쟁의 여지가 없지만 각 주마다 우선순위가 다르며, 인구가 고령화되고 있는 주는 다른 지역보다 장기 요양 서비스에 더 중점을 둘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한 총리가 연방 자금과 관련된 잠재적인 조건에 관해 이야기하게 되어 기쁘지만, 우선 총리와 직접 만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트뤼도 총리는 자신의 전임자 중 누구도 지난 2년 동안 의료 관련하여 주 총리들과 많이 만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고 언론에 밝혔으며, 지도자들은 이 시스템의 “압박”을 해결하기 위해 계속해서 협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쟝-이브 듀클로(Jean-Yves Duclos) 캐나다 보건부 장관은 지난 3월에 연방정부의 5대 우선순위 영역을 설명했으며, 이는 인력 부족 및 진단, 치료 및 수술 지연 문제 해결; 가족 건강 서비스 이용; 장기 및 재택 간호; 정신 건강 및 물질 사용; 건강 데이터 및 가상 치료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호건 주총리와 제이슨 케니(Jason Kenney) 앨버타주 총리 등은 아직 연방정부가 기금에 추가할 잠재적인 조건을 보지 못했다고 했으며, 팀 휴스턴(Tim Houston) 노바스코샤주 총리는 의료 예산을 절약하여 다른 분야에 투자하는 주는 없다며 연방정부와의 소통 부재가 유일할 걸림돌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주 총리들은 기존의 22%에서 이를 35%까지 인상하기를 원하고 있다.

 

트뤼도 총리는 이에 연방정부는 이미 지난 2년간 720억 캐나다 달러(한화 약 72조 원)의 의료 기금을 추가했으며, 의료 이전료를 통해 제공된 수백억 캐나다 달러도 제공되었다고 답했다.

 

롱허스트 연구원은 이에 대해 연방 의료 이전료가 감소한 것은 트뤼도 정부 이전이며 주 총리가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지만, 개선을 위한 중요한 기회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식을 뒷받침하는 구식 모델과 구조를 재형성하는 데 있으며 이는 더 많은 자금을 필요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 예로 “1960년대 의사와 외과 의사들이 공적 달러로 급여를 받으면서 자신의 사업을 운영하는 유료화 제도는 환자 진료의 개선을 가로막고 있는 구식 모델의 한 예이다.

 

또한 불평등성 상승의 영향과 주거 불안과 빈곤과 같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해당 주제에 같이 포함되어야 한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XkSZCRXgAAO81u-696x464.jpg (File Size:50.9KB/Download: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17 캐나다 BC 인구대비 이민자 비율 전국 최고 수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5916 캐나다 비영주거주자 한국인 비중 3.1%로 국가순 8위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1.
5915 캐나다 캐나다 국적자, 한국 거소자면 입국시 자동심사대로 빠르게 밴쿠버중앙일.. 23.06.21.
5914 캐나다 캐나다, 한국의 해외순투자 대상국 중 2위 밴쿠버중앙일.. 23.06.21.
5913 캐나다 '트뤼도를 국가 수반으로 인정할 수 없다' 59%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5912 캐나다 시경찰 문제로 주정부와 써리시 갈등 표면화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5911 캐나다 메트로밴쿠버는 우중이지만, BC산불은 최악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5910 캐나다 주정부 인종 차별없이 모두 공평한 서비스 제공 위한 설문조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7.
5909 캐나다 캐나다 인구 4천 만명 돌파... 밴쿠버 시간 16일 정오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7.
5908 캐나다 평통 밴쿠버협의회 2분기 정기회의 '폭풍 전의 고요'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6.
5907 캐나다 한국서 전입 외국인 유령취급 14일부터 해소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6.
5906 캐나다 타민족 대비 한인에게 유달리 많은 혈액형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6.
5905 캐나다 캔남사당 한카수교 60주년 기념 한국전통예술축제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5.
5904 캐나다 산불에 강풍까지 죽어라 죽어라 하는 캐나다 날씨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4.
5903 캐나다 올 여름 자동차 대신 자전거로 밴쿠버섬을 즐겨볼까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4.
5902 캐나다 가장 사랑받는 직장 밴쿠버 소재 O2E Brands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4.
5901 캐나다 남녀노소 다 함께 즐긴 레트로 일일주막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3.
5900 캐나다 코퀴틀람 프레이저 강가 고층 아파트촌 건설 추진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3.
5899 캐나다 한국 해외금융계좌 신고의무자 요건? 가상화폐도?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3.
5898 캐나다 캐나다 국적자, 한국 주택매매나 임대시 전입세대 확인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