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LCC Twitter

베노이트 샤레트(Benoit Charette) 퀘벡주 환경부 장관은 지난 15알 퀘벡주 북서부의 호른 제련소에서 배출되는 비소량을 주 표준보다 5배 높은 15나노그램의 비소/세제곱미터(15ng/m3) 수치까지 허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927년부터 가동돼 약 650명의 노동자가 일하고 있는 루인노랜다 지역의 호른 제련소는 지역 주민들이 주 평균보다 더 높은 폐암 발병률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후부터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또한 현재 보건 당국에서 권장하는 한계치의 33배인 세제곱미터 당 최대 100나노그램의 비소/세제곱미터(100ng/m3) 비소를 배출하고 있다.

 

샤레트 장관은 15일 해당 도시를 방문하고 회사 관계자들에게 15나노그램의 비소/세제곱미터(100ng/m3) 수치가 5년 안에 달성해야 할 새로운 목표라고 하며, 5년 안에 기존 주가 요구하는 3나노그램의 비소/세제곱미터(3ng/m3)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노력한다면 루인노랜다 대부분 지역에서 3나노그램의 비소/세제곱미터(3ng/m3)까지 비소 수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이러한 새 규제를 회사에 업데이트 할 것이며, 주 정부 요구 사항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문을 닫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루인노랜다 주민들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몇 주 안에 주민들과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담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제련소 소유주인 글렌코어(Glencore) 회사는 같은 날 주의 새로운 규제를 환영하며 신디 카우엣(Cindy Caouette) 대변인 성명을 통해 “호른 제련소를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제련소 중 하나로 만드는 주요 혁신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루인노랜다에서 의사로 일하는 클라우델 나우-벨라반스(Claudel Naud-Bellavance) 박사는 인터뷰에서 보건 당국의 권고를 따르기로 한 샤레트 장관의 결정에 실망했다고 답하며, 보건 당국은 해당 수치가 여전히 건강을 보호하고 주민들의 폐암 위험성을 낮춘다고 말했지만, 이가 모두에게 유효한 것은 아니라며 앞으로 4~5년 이후에도 해당 수치가 계속 유지될 것 같다고 추측했다.

 

퀘벡주 국립공중보건연구소(INSPQ)는 제련소의 배기가스 중 비소의 농도가 감소하지 않는다면, 2040년까지 1~14명에 이르는 주민이 추가로 폐암에 걸릴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연구소에 따르면, 새로운 비소 배출 상한선은 폐암 발병 위험을 “유사한 북미 환경에서 허용되는 수준”으로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라디오 캐나다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17년 사이 루인노랜다 폐암 발병률은 인구 10만명당 140.3명으로 주 평균 107.7명에 비해 높았다.

 

루크 부알로(Luc Boileau) 퀘벡주 공중보건국장은 새로운 배출량 상한제가 “태어나지 않은 아기들과 어린아이들의 건강을 강력하게 보호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샤레트 장관은 주 정부와 공장 간의 새로운 협정에 니켈, 이산화황, 납, 카드뮴에 대한 배출량 제한도 새로 포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aOIrszWQAIPIf3-min-696x696.jpg (File Size:63.4KB/Download: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622 캐나다 코로나 발생 때 결혼 건 수도 대폭 감소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5.
5621 캐나다 코퀴틀람 아이케아에 고액 현금 잃어 버리신 분?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5.
5620 캐나다 올해로 2번째 맞이하는 밴쿠버 김치 나눔축제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1.
5619 캐나다 내년에도 BC 주택 시장 침체 이어갈 분위기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1.
5618 캐나다 높은 물가에 식품비 지출이 겁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1.
5617 캐나다 밴쿠버에서도 오늘밤 붉게 물든 개기 월식 관측될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9.
5616 캐나다 BC주 유럽계 위주로 아직도 영국 영향력 아래 있으려는 경향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9.
5615 캐나다 THE의 2023년도 세계 의대 순위서, 토론토대 7위 등극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9.
5614 캐나다 BC 9월 불법마약류에 의한 사망자 171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8.
5613 캐나다 연방보수당 포일리에브 대표 "세금 감면, 재정 지출 감소" 강조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8.
5612 캐나다 10월 BC주 실업률 4.2% 전달대비 0.1%P 낮아져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5.
5611 캐나다 밴쿠버 10번째 살인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5.
5610 캐나다 폭우로 시작하는 주말 메트로밴쿠버 밴쿠버중앙일.. 22.11.05.
5609 캐나다 주밴쿠버총영사관 조기 계양, 검은색 애도 리본 착용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2.
5608 캐나다 145만명-향후 3년간 새 영주권자 목표 인원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2.
5607 캐나다 르고 주 총리, 최대 600 달러 지원 계획 발표 file Hancatimes 22.11.01.
5606 캐나다 퀘벡주, 프랑스어 사용 이민자 비율 계속 감소 file Hancatimes 22.11.01.
5605 캐나다 연방정부, 6개월간 GST 공제액 2배 인상 승인 file Hancatimes 22.11.01.
5604 캐나다 유니레버 드라이샴푸 제품 리콜 조치 file Hancatimes 22.11.01.
5603 캐나다 보건복지부 장관, 추가 백신 접종 촉구 file Hancatimes 2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