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9QUSZObv_c933629abf123a7d

캐나다 노동청(Employment and Social Development Canada) SNS

 

유색인 전체적으로 백인보다 열악한 대우 

한인, 인구 대비 대학 졸업자 비율 높은 편

 

한인을 비롯해 인도나 중국계 등 유색인종이 대학 졸업 후 유럽계 백인종보다 좋은 직장이나 높은 임금의 직장을 얻는 일이 힘들다는 통계분석 자료가 나왔다.

 

연방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14~2017년 학사학위 졸업자의 초기 직업 관련 분석자료에 따르면 , 유색인종이 같은 수준의 백인에 비해 같은 임금이나 혜택을 받는 직업을 찾는 일이 드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남아시아, 서아시아, 일본, 아랍, 필리핀계 이민자 등 유색인종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학사 학위 소지 등 더 높은 교육 수준을 보이고 있다.

 

2014년에서 2017년 사이에 39만 5000명이 캐나다 교육기관에서 학사 학위를 땄다. 이중 유색인종은 30%에 해당하는 11만 8500명이다. 전체 학사 학위 자 중 한인 비율은 1.1%에 불과하지만 캐나다의 25세에서 34세 인구 중 한인 비율이 0.7%인 것을 감안하면 그 어느 민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또 아시아계가 학사 학위를 따는 연령은 평균 25세로 유럽백인계 26세, 라틴계 27세, 흑인계 29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한인은 25.3세로 중간 정도였다.

 

전공에서 최근 한인 여성 학사 학위자의 16%가 수학, 컴퓨터 정보과학, 건축, 엔지니어링 및 관련 기술이었다. 

 

한인 여성의 전공을 보면 교육 7.5%, 사회행동과학법학 22.5%, 경영관리행정 18%, 과학 16%, 의료가 19%, 그리고 기타가 16.6%였다. 의료와 과학 전공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다른 민족보다 높은 편이었다.

 

남성은 교육 2.85%, 사회행동과학법학 19%, 경영관리행정 27.4%, 과학 37%, 의료 4.6%, 그리고 기타가 10%였다. 타민족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인 전공분야는 없었다.

 

한인 학사 학위자 중 여성이 52.7%로 남성보다 많았으며, 캐나다 출생이 아닌 이민자인 경우가 79%로 서아시아인 다음으로 높았다. 거주하는 주로 보면 온타리오주가 55.1%였고, BC주가 28.7%, 서부평원주가 13.5% 등이다.

 

이렇게 한인을 비롯해 유색인종, 특히 아시아계 최근 학사 학위 취득자가 모든 면에서 좋은 직장과 높은 임금이 보장된 학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유색인종 여성의 평균 연봉이 4만 5700달러로 유럽계 등 타 인종 여성 4만 7800달러보다 적었다. 남성도 유색인종이 5만 1600달러로 유럽계의 5만 4100달러보다 낮았다. 한인 여성과 유럽계 여성과의 임금 격차가 8% 이상 나타났다.

 

한인 학사학위자의 2년차 평균 소득에서 여성은 4만 3300달러로 아랍이나 서아시아 다음으로 낮은 편에 속했다. 남성은 4만 9400달러로 역시 필리핀, 일본, 동남아시아인 다음으로 낮았다.

 

유색인종 학사 학위 소지자의 낮은 임금의 이유 중 하나가 노조에 가입하는 경향성이 낮고, 고용주의 복리후생(employer pension plan)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예로 남성 중 노조화 된 비중이 백인계는 31%이지만 한인 학사자는 16%로 가장 낮고, 아랍계가 가장 높지만 27%에 불과했다.

 

한인 남성의 노조 가입은 16%로 모든 인종 중 가장 낮았다. 고용주의 복리후생에서 한인 여성은 43%로 서아시아, 중국 다음으로 낮았고, 남성은 35%로 일본, 필리핀 다음으로 낮았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855 캐나다 퀘벡주, 장기 기증 관련 법안 변경 예정 file Hancatimes 23.05.13.
5854 캐나다 캐나다 연방정부 공무원, 19일부터 파업 시작 file Hancatimes 23.05.13.
5853 캐나다 몬트리올 공항, 불법 택시 문제로 인한 안전 우려 file Hancatimes 23.05.13.
5852 캐나다 퀘벡주 의료 개혁 법안, 의료 전문가들의 불만 쏟아져 file Hancatimes 23.05.13.
5851 캐나다 일부 지자체 및 자치구, 정전 피해 주민을 위한 전자기기 충전 서비스 및 대피처 오픈 file Hancatimes 23.05.13.
5850 캐나다 하이드로 퀘벡, 24시간 안에 1/3이상 가구 다시 복구 예상 file Hancatimes 23.05.13.
5849 캐나다 퀘벡 주, 16세 이하 청소년은 일주일에 최대 17시간까지 일 할 수 도록 제한 file Hancatimes 23.05.13.
5848 캐나다 몬트리올 시장, 퀘벡 주 예산안에 실망 file Hancatimes 23.05.13.
5847 캐나다 BC주 삶의 만족도 상대적으로 낮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2.
5846 캐나다 세계적 플루리스트 최나경 밴쿠버서 VMO와 협연 밴쿠버중앙일.. 23.05.12.
5845 캐나다 대중교통 이용한 마약 밀매 조직 대규모 소탕 밴쿠버중앙일.. 23.05.12.
5844 캐나다 세계 청소년도 함께 즐기는 한국 전통예술 한마당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0.
5843 캐나다 캐나다 신생아 이름 중 가장 인기 있는 이름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0.
5842 캐나다 지금 BC주민에게 제일 중요한 것은... 주택, 의료, 범죄 순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0.
5841 캐나다 4월 고용증가 모두 파트타임 취업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6.
5840 캐나다 BC주정부, "필요인력 교육에 지원 아끼지 않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6.
5839 캐나다 밴쿠버 비 내리지만, BC 내륙 사상최고 기온 기록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6.
5838 캐나다 밴쿠버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오페라 공연 김우경 교수 출연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5.
5837 캐나다 코로나19 정부지원금 환수 관련 불만 있다면 주목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5.
5836 캐나다 BC주로 총기 밀수하다 걸려 30개월 징역형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