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하위 가구와 최상위 가구 소득의 7분의 1

새 이민자일수록 최하위 계층 비율이 높아

 

높아지는 물가에 캐나다 전체 인구 중 절반 가량이 하루 하루 살아가는 것에 대해 걱정을 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통계청이 8일 발표한 조사자료에 따르면 44%의 국민이 일일 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 지에 대해 크게 걱정하고 있었다.

 

특히 가장 낮은 저소득층은 높아진 식품비, 주거비, 그리고 다른 생활비 등에 대한 걱정이 최고조에 달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소득 계층을 5분위로 나누었을 때 최저소득층의 63%가 매우 걱정이라고 입장이다. 반면에 최상위소득층은 19%만이 걱정을 하는 것으로 나왔다. 

 

각 소득층의 의식주 지출 비율을 보면 우선 최하위 20% 가구는 주거에 31.6%, 식품비에 15.1%, 그리고 의류에 4.4%를 지출해 필수 의식주 비율이 51.2%였다.

 

반면 최상위 20%는 주거비에 25.6%, 식품비에 11.6%, 그리고 의류에 4.5%로 의식주 지출이 전체 지출의 41.7%였다.

 

이번 조사에서 이민 여부와 최하위층 비율 관련 분석에서 2016년에서 2020년 사이에 이민을 온 경우 24%로 더 오래된 이민자의 14%나 캐나다 출생자의 13%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열악했다.

 

주별로 보면 BC주는 12.7%로 알버타주의 9%에 이어 가장 최저소득층을 보이는 주가 됐다.

 

휘발유 가격이 급등하며 물가를 견인하고 있는데 최하위층은 이에 대한 걱정이 73.3%로 나타났으며, 최상위층도 47%로 다른 어떤 것보다 근심을 주고 있었다.

 

지난 6개월간 가계 지출 항목 중 물가 상승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항목은 식품비였는데 이는 저소득층이나 고소득층이나 모두크게 걱정을 주었다.

 

2019년 기준으로 세후 중간 소득에 있어, 최하위층은 2만 1000달러로 최상위층 14만 6000달러에 비해 겨우 7분의 1에 불과했다.

 

결과적으로 높아지는 물가에 최저소득층의 부담은 커지고 또 상대적으로 필수적인 지출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872 캐나다 포코 딜러샵 400대 자동차 테러당해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9.
5871 캐나다 버크마운틴 번화가에서 총격 사건 충격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9.
5870 캐나다 연방정부, 신용카드사와 카드 수수료 낮추는데 합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9.
5869 캐나다 시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고공 행진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7.
5868 캐나다 캐나다에서 한식이 인기라고 하면 그건 국뽕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7.
5867 캐나다 써리의 병원에 병문안 갔던 가족들 흉기에 찔려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6.
5866 캐나다 BC 주택임대자 이유없이 쫓겨나는 일 전국 최고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6.
5865 캐나다 BC주 야생동물주의, 고온주의, 산불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6.
5864 캐나다 한인청년들의 취업의 길라집이가 되어주는 밴쿠버무역관의 잡페어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3.
5863 캐나다 연방 식품보조금 7월 5일 GST 환급금과 함께 입금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3.
5862 캐나다 주말 이상 고온 예상 됨에 따라 다양한 안전 대비 요구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3.
5861 캐나다 퀘벡주, 연방정부의 이민 계획 거부 file Hancatimes 23.05.13.
5860 캐나다 캐나다, 10년만에 새 여권 디자인 발표…보안 기능도 강화 file Hancatimes 23.05.13.
5859 캐나다 캐나다 연방정부 공무원 파업 종료…다시 업무 복귀 file Hancatimes 23.05.13.
5858 캐나다 STM, 지하철 안전과 청결 개선을 위해 추가 직원 고용 file Hancatimes 23.05.13.
5857 캐나다 지역 시장들, 몬트리올 동쪽 지역 대중교통 확장 요구 file Hancatimes 23.05.13.
5856 캐나다 캐나다, 불어권 노동자를 위한 새로운 이민 정책 개발 file Hancatimes 23.05.13.
5855 캐나다 퀘벡주, 장기 기증 관련 법안 변경 예정 file Hancatimes 23.05.13.
5854 캐나다 몬트리올 공항, 불법 택시 문제로 인한 안전 우려 file Hancatimes 23.05.13.
5853 캐나다 캐나다 연방정부 공무원, 19일부터 파업 시작 file Hancatimes 23.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