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배우 구혜선씨 드라마 중도 하차에 질환 관심 증폭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최근 배우 구혜선씨가 건강 이상으로 자신이 출연중이던 드라마 당신은 너무합니다 를 중도 하차했다. 구 씨의 병명은 아나팔락시스와 심각한 알레르기성 소화기장애 질환으로 알려졌다. 이 질환은 특히 알레르기와 연관이 있어 일반인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아나팔락시스는 일반인에게는 별다른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집 먼지, 꽃가루 등의 물질이 원인이 돼 짧은 시간 안에 가려움,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알레르기 면역반응 중 하나다.

증상이 심할 경우 호흡곤란, 구역, 구토, 의식 저하를 일으키기 때문에 즉각적인 치료를 받지 않으면 쇼크가 발생해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대개 알레르기 면역반응은 아토피나 두드러기와 같은 피부 병변, 비염과 같은 코병변, 기관지 천식과 같은 호흡기 병변 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구 씨는 알레르기와 관련해 소화기장애까지 나타난 흔치 않은 사례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알레르기 반응은 피부나 기관지 등에 많이 나타나고 위장과는 별 관계가 없는 듯 하지만 전문가들은 소화기를 포함해 신체의 어떤 부분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기능성 소화불량도 알레르기와 관련 가능성
 
stomak.jpg

 
한편 구 씨의 증상을 접한 전문가들 중에는 기능성 소화 불량일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박재우 강동경희대한방병원 소화기보양클리닉 교수는 "'알레르기성 소화기장애'는 정확한 진단명이 아닐 것"이라며 "위에 특별한 병변이 없다면 '기능성 소화 불량증'으로 볼 수 있다"고 최근 <연합뉴스>에 소견을 내놨다.

박 교수는 "해외 연구에서 보면 원인불명의 소화불량을 가진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의 십이지장 점막에서 알레르기를 유발한 히스타민 물질이 발견됐다"며 " 장내 미약한 염증이 소화불량의 원인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렇다면 기능성 소화불량 이란 무엇일까. 소화불량은 소화성궤양이나 위암 등으로 인한 '기질성 소화불량'과 특별한 소견을 보이지 않는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나뉜다. 전문가들은 환자가 소화불량을 호소하지만 검사결과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경우 기능성 소화불량 , 혹은 비궤양성 소화불량 신경성 소화불량 으로 진단을 내린다.

기능성 소화불량의 증상은 식후 만복감, 상복부 팽만감, 조기 만복감, 구역, 트림, 식후 상복부 중심의 통증이나 불쾌감 등이다. 증상은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한다.

식사를 마친지 2∼3시간이 지나도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 돼 계속 배가 부른 느낌이 있거나, 또는 식사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금방 배가 부르다면 기능성 소화불량일 수 있다.

지난해 9월에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웹진 건강나래는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전년도에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는 62만9천578명이나 됐다고 발표했다.

환자 중 여성은 59.5%로 남성(40.5%)의 1.5배였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이 17.3%로 가장 많았고 50대(16.2%), 60대(13.4%), 40대(13.2%), 30대(11.8%) 순이었다.

질병 원인 명확하지 않아 '족집게' 치료 없어

기능성 소화불량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다만 맵고 짠 음식을 섭취하거나 과식, 과음, 약물 복용 과다로 위 기능이 떨어졌기 때문,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의 신경과민 증상으로 위 기능이 억제돼 발생할 가능성, 밀가루 음식이나 우유, 육류 등 음식물의 섭취의 영향 등을 추측할 뿐이다. 그러나 알레르기 반응으로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도 간과할 수 없다.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만큼 치료도 쉽지 않다. 위산분비 억제제나 위장운동 촉진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내장이 과민한 경우는 내장의 진통 약물을 처방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치료 없이 적절한 검사만으로 심리적 안정을 유도해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생물학적 치료 외에 스트레스나 성격, 정신 상태 등에 대한 정신의학적 접근도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기능성 소화불량은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고 식습관을 올바르게 고치면 어느 정도 해결된다고 지적한다. (연합뉴스 등 건강정보 참조)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517 캐나다 <송광호기자의 북녘 프리즘(조명)> 사무총장 14.04.12.
9516 업무의 연장선...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함정 file 프랑스존 14.05.01.
9515 우크라이나 사태, 아시아로 향하던 미국의 대외정책 방향 선회시켜. 유로저널 14.05.06.
9514 캐나다 BC 주민들의 RCMP 신뢰도, 2012년보다 크게 상승 밴쿠버중앙일.. 14.05.08.
9513 캐나다 캐나다 엄마들이 원하는 '어머니의 날' 선물은? file 밴쿠버중앙일.. 14.05.08.
9512 2050년의 영국, 흑인 및 소수 인종이 인구의 1/3 file 유로저널 14.05.09.
9511 미국 북텍사스 ‘운전 중 전화사용금지’ 확산 뉴스코리아 14.05.10.
9510 캐나다 관광공사 김두조 토론토 지사장 인터뷰 file 밴쿠버중앙일.. 14.05.14.
9509 미국 우석대, 뉴욕서 태권도 아트 퍼포먼스 호평 file 옥자 14.05.14.
9508 미국 정승진 민권센터 회장, 뉴욕주상원의원 도전 file 옥자 14.05.14.
9507 캐나다 클락 BC 주 수상, 어두운 이민 과거 공식 사과 file 밴쿠버중앙일.. 14.05.17.
9506 미국 뉴욕 할렘서 첫 ‘한국문화 거리축제’ 성황 file 옥자 14.05.19.
9505 미국 美뉴욕주 한인 추모다리 탄생..故 최규혁 하사 file 옥자 14.05.25.
9504 이민가기 매력적인 국가 독일, OECD국가 중 2위 차지 file 유로저널 14.05.28.
9503 미국 NYT에 ‘日 전범기’ 축구 유니폼 비판광고 file 옥자 14.05.30.
9502 유럽 식품,연 120억 유로 규모 러시아 수출길 막혀 타격 심각 file 유로저널 14.09.03.
9501 캐나다 [밴쿠버 중앙일보가 만난 사람] 41대 밴쿠버 한인회 이정주 회장 밴쿠버중앙일.. 14.09.13.
9500 캐나다 웨스트젯, 여행가방에 비용 청구한다 file 밴쿠버중앙일.. 14.09.18.
9499 미국 ‘덤보아트페스티벌’ 뉴욕 뜨거운 열기 file 뉴스로_USA 14.10.02.
9498 캐나다 밴쿠버 시 vs CP 레일 갈등, 결국 법정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1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