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리포트] 버디 다이어 올랜도 시장 "오늘은 새로운 삶을 사는 날"
 
▲ 9월 22일(금) 오전 6시 38분 마이애미를 출발한 첫 번째 브라이트라인 여객 열차가 올랜도국제공항 복합 터미널 역사에 도착하는 장면을 패트릭 고다드 브라이트라인 사장이 지켜보고 있다. ⓒ 유튜브 갈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올랜도와 마이애미를 오가는 브라이트라인 고속열차(Brightline Express)가 22일 역사적인 개막 테이프를 끊었다. 브라이트라인은 전 구간 5개 역, 233마일의 선로를 10개의 차량으로 운행한다. 약 60억 달러의 민간 자금을 끌어들여 약 10년만에 완공했다.

브라이트라인 철도 건설 과정은 부정적인 여론, 혹독한 법적 싸움, 주 의회의 반대 입법, 항공사의 개입,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 여론(고가, 예산 착오, 정부 지원금 노림수 등) 등 난관이 적지 않았다.

버디 다이어 올랜도 시장은 22일 오전 11시 올랜도국제공항 역사에서 열린 축하 행사에서 "정말 잘 된 일이다. 오늘은 우리가 새로운 삶을 사는 날이 될 것이다"라고 외쳤다.

올랜도국제공항 케빈 티볼트 디렉터는 "이는 이 지역의 판도를 바꾸고 미 전역에 원활한 연결성을 제공하는 획기적인 일이다"라고 의미를 부여하고 "이는 플로리다 전체에 새 활력을 가져올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마이애미에서 올랜도까지 플로리다 중앙통을 가로지르는 브라이트라인 개막의 첫 역사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22일 오전 6시 38분, 올랜도 역사를 출발한 첫 하행 열차가 터미널 A와 사우스웨스트 항공 청사 사이에서 북쪽으로 미끄러지며 동쪽으로 90도 커브를 돌았다. 이어 오렌지 카운티 외곽을 가로지르며 마이애미로 향했다. 마이애미 종착역까지 최고 시속 125마일로 3시간 33분이 걸린다.

거의 같은 시각, 올랜도행 브라이트라인 열차가 마이애미 역사를 떠났다. 오전 11시 5분, 기관차 2량, 객차 4량, 승객 240명이 탄 브라이트라인 열차가 경적을 울리며 올랜도역에 도착했다.

올랜도 역사에서는 록 콘서트 분위기에 맞춰 '보스턴행 막차, 겟 온 더 러브 트레인(Last Train to Boston, Get on the Love Train)' 등의 노래가 흘러나왔고, 셔버트색 색종이가 눈보라처럼 뿌려졌고, 축하객들은 일제히 환호성을 올렸다.

 
▲ 마이애미를 출발한 첫 번째 브라이트라인 여객 열차가 오전 11시 5분 올랜도국제공항 복합 터미널 역사에 도착한 가운데 올랜도시가 주최한 축하행사를 주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 유튜브 갈무리
 
10년 전 브라이트라인 CEO 마이크 라이닝거는 자신의 열차가 무미건조한 은색 또는 회색의 전통적인 철도 장식을 탈피하여 초고속 열차에 걸맞는 날렵한 모습을 선 뵐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애미에서 미끄러지듯 올라오는 열차를 맞이한 축하객들은 그가 한 약속이 틀리지 않았을 확인했다.

3만7천 평방피트 크기의 올랜도 역사는 곡선으로 겹쳐진 지붕 라인으로 매혹적이고 장엄한 미학을 자랑한다. 인접한 30억 달러 규모의 올랜도국제공항 터미널 C 외관도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이에 비해 마이애미의 다운타운 역은 화려하고 밝지만 건물에 둘러싸여 있다.

설립자 에덴스 “걸프 스트림 제트기의 편안함 구현하고 싶었다”

브라이트라인의 설립자 웨스 에덴스는 지역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소유한 걸프스트림 G650 제트기에 탔을 때 느낀 편안함을 열차에도 구현하고 싶었다”라면서 "브라이트라인은 모든 사람이 최대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고, 일할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장소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열차 안의 편리한 최신 시설이나 안락함은 이미 최고급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이용의 편리함은 마이애미와 올랜도가 다소 다르다.

마이애미는 물론 아벤투라, 포트 로더데일, 보카 라톤, 웨스트 팜 비치 역 승객들은 도심 기차역에서 기차를 타고 지역 국제공항 뿐 아니라 올랜도국제공항까지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올랜도 주민들은 현재 운행중인 선레일 통근열차를 타고 올랜도국제공항으로 이동할 수 없다. 브라이트라인은 조만간 자신들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올랜도주민들의 필요에 맞는 공항노선을 구축할 에정이다.
 
▲ 브라이트라인 설립자 웨스 에덴스가 올랜도 시장 버디 다이어로부터 도시 열쇠를 받는 모습을 브라이트라인 CEO P. 마이클 레이닝거가 바라보고 있다. ⓒ 유튜브 갈무리
 
현재 브라이트라인의 가장 큰 수혜자는 올랜도를 포함한 중앙플로리다 지역 주민이 아니라 디즈니, 유니버설, 시월드 등 테마파크의 관광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올랜도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연간 5500만 명의 승객 중 약 70%는 테마 파크 여행자들이다.

브라이트라인은 올랜도공항역을 오가는 기차 승객을 위해 미어스 트랜스포테이션(Mears Transportation)을 통해 중앙플로리다 인근의 리조트, 공원, 목적지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후 브라이트 라인은 올랜도국제공항에서 서쪽으로 향하는 노선을 확장할 계획이어서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월트 디즈니 월드 근처에 역사를 구축하고, 최종 목적지는 탬파로 향하게 된다. 결국 올랜도는 새로운 브라이트라인 시대의 중심에 서게 된다.

브라이트라인이 안고 있는 문제는 ‘재정’이다. 우선은 브라이트라인이 빌린 막대한 돈을 갚을 만큼 충분한 방문객과 주민이 탑승할 수 있을지에 안팎의 관심이 모아진다.

브라이트라인은 열차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특별 마케팅을 실시한다. 편도 기준 승차 가격은 프리미엄석 149 달러, 스마트석 79달러, 어린이 39달러다. 우선 매일 6편의 열차를 운행하고, 시험 기간이 지나면 하루 16회 매시간 운행할 예정이다.
 
▲ 브라이트라인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 브라이트라인
  • |
  1. top2.jpg (File Size:135.8KB/Download:14)
  2. top5.jpg (File Size:187.8KB/Download:16)
  3. top4.jpg (File Size:140.9KB/Download:16)
  4. top3.jpg (File Size:102.9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97 미국 히브론 고등학교 교사, 미성년자 포르노 혐의 KoreaTimesTexas 16.01.09.
9196 미국 [독자제보]루이스빌 스타벅스에 차량 돌진 KoreaTimesTexas 16.01.09.
9195 미국 “총 든 텍사스” KoreaTimesTexas 16.01.09.
9194 캐나다 에드먼턴 경찰국, “도로교통 위반자 척결 선포”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0.
9193 미국 보편적 건강론 존중, 새 연구에도 귀 기울일만 file 코리아위클리.. 16.01.11.
9192 미국 사무실 의자 오래 앉아 있으면 없던 병도 생긴다 코리아위클리.. 16.01.12.
9191 캐나다 캘거리, ‘사람들이 떠난다’_ 일자리 찾아 다른 주로 대거 이동 file CN드림 16.01.12.
9190 미국 "교회 예배 1시간은 너무 길어" 코리아위클리.. 16.01.12.
9189 캐나다 Southern Gulf, 뉴욕 타임즈 '올해 방문할 관광지 52'에 선정 file 밴쿠버중앙일.. 16.01.14.
9188 캐나다 밴쿠버, 시리아 난민 환영 파티에서 곰 퇴치용 스프레이 난사 file 밴쿠버중앙일.. 16.01.14.
9187 캐나다 BC 환경부, '킨더 모르간 파이프라인 확장 불허' file 밴쿠버중앙일.. 16.01.14.
9186 캐나다 BC주 정착 시리아 난민, 약 2,500 명 예측 밴쿠버중앙일.. 16.01.14.
9185 캐나다 클락 수상, 새 예산안 상정에 앞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집값 안정' 밴쿠버중앙일.. 16.01.15.
9184 캐나다 스탠리 파크의 자선 행사용 크리스마스 장식 강도 당해 file 밴쿠버중앙일.. 16.01.15.
9183 미국 파워볼 ‘광풍’, 미국 강타 KoreaTimesTexas 16.01.15.
9182 미국 젊은층 아파트로 들어차는 올랜도 다운타운 코리아위클리.. 16.01.15.
9181 미국 2년제 졸업 후 센트럴플로리다대 편입 학생 급증 코리아위클리.. 16.01.15.
9180 캐나다 앨버타 “총기 도난 급증세…. 이차 강력 범죄로 이어져”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5.
9179 캐나다 캘거리, “자동차 번호판 도난 급증…. 전년 대비 80% 증가”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5.
9178 캐나다 팔다리 없는 앨버타 청년, “L.A.마라톤 대회… 가겠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