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_img1_1587773688.png

 

캐나다에서 두 번째로 큰 보험회사인 선라이프 파이낸셜은 새로운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일부 보험 상품의 프리미엄을 최대 27%까지 인상하며 지난 10년 중 캐나다 최저 이자율로 인한 타격을 상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코비드-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과 기준 금리가 0.25%로 내린 것으로 인한 여파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세계의 보험사들은 팬데믹 상황에서 비즈니스 보험 및 생명 보험으로 지급되는 높은 보상금을 직면하고 있으며,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투자 손실로 인해 이를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선라이프는 이자율에 대한 민감도가 적은 상품에 대한 보험료는 올리지 않았지만, 보험 솔루션부서의 비넷 코찰은 인상이 현재 지급돼야 할 보상금과는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캐나다 최대의 보험사인 마뉴라이프 파이낸셜의 대변인은 보험료 인상에 대한 응답을 거절했다. 캐나다 라이프는 코비드-19으로인한 보험료 인상을 하지 않았지만, 낮은 이자율에 대응하여 상품의 장기적인 보장을 위해 보험료를 인상한 바 있다고 보험 솔루션부서의 카트리나 리-퀜은 전했다.
CIBC 월드마켓츠의 분석가인 폴 홀든은 “모든 생명보험 산업은 낮은 이자율에 대응하여 보험상품의 가격을 검토해야만 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홀든은 단기적으로 생명보험 세일즈가 줄어들 것이지만, 향후 12-18개월 동안 건강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격을 넘어설 것이며, SARS 때와 비슷한 상황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보험료 인상과 낮은 투자 수익은 세일즈를 자연스럽게 떨어뜨린다고 덧붙였다.
요크 대학 슐리치 비즈니스 스쿨의 교수인 모쉬 밀레브스키는 기존 가입자들에게는 보험료 인상이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배당금을 포함한 상품들의 보상금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홀든은 인상폭이 높을수록 보다 특화된 상품일 것이라고 전했다. 애비뉴 투자관리의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브라이든 테치는 “금리가 0%에 가까운 세상에서 보험사가 가장 처음 한 것은 보험료를 인상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 상황이 더 길게 지속될수록 보험사가 할 수 있는 것들은 점점 줄어들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남경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57 미국 어린이 환자 앞에서 변태짓 의사 ‘체포’ KoreaTimesTexas 16.01.19.
9156 미국 교회 헌금 노리는 ‘3인조 도둑 ’출몰 … 한인교회 주의 필요 KoreaTimesTexas 16.01.19.
9155 미국 텍사스 교수들, “수업에 총은 필요없다” KoreaTimesTexas 16.01.19.
9154 캐나다 그랜드프래리 도서관, “익명의 기부자 공개…. 그의 이름 딴 기념관 개관”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9.
9153 캐나다 주정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시기” file CN드림 16.01.19.
9152 캐나다 다인아웃 밴쿠버 개막, 외국 셰프들도 밴쿠버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1 캐나다 밴쿠버 출신 트렘블레이, 오스카상 시상식에서 아역상 수상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0 캐나다 밴쿠버 아일랜드의 마지막 탄광, 무기한 영업 중단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49 캐나다 앨버타주의사협회, “청소년 안락사 연령 기준 놓고….. 팽팽한 의견 대립”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8 캐나다 월터대일브릿지,” 950톤 대형 아치의 위용”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7 캐나다 에드먼턴 다운타운, “번화가 상업활동 활성화 시범 프로젝트”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6 캐나다 앨버타 정부 고위직 공무원, “향후 2년간 임금 동결된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5 캐나다 '초대받지 못한 남자' 캐나다, 반 IS 전선에서 제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4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여러 억측에도 불구하고 금리동결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3 캐나다 버크 마운틴, 주택 위에 나무 쓰러져 지붕 파손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2 캐나다 킨더 모르간 공청회 시작, 반대 주민들 시위도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1 캐나다 BC주, 대마초 합법화 논의 본격화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0 미국 연방 대법원, 오바마 이민개혁 행정명령 심리 발표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9 미국 유대인 음식법은 우유와 고기 철저히 분리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8 미국 12학년 2학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기 코리아위클리.. 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