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kCWH6ji5_2ecbc9140652ff4b

 인종적 편견의 화두가 된 흑인 인어공주(OSEN DB.)

 

지난 2년간 인종관계도 악화됐다 생각

아프리카계는 향상됐다 긍정 평가 최고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미국 중심으로 중국계에 대한 인종 혐오를 부추기고 있는데, 캐나다에서도 동아시아인은 인종 혐오에 대한 경험과 목격을 많이 한다고 느끼고 있다.

 

설문조사전문기업인 Research Co.가 9일 발표한 캐나다의 인종차별 관련 설문조사에서 동아시인들은 6개의 제시된 생활 상황 속에서 인종혐오를 경험하고 목격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쇼핑이나 대중교통 등 매일 일상적인 사회 대면에서 인종혐오를 경험했느냐는 질문에 전체적으로 46%로 나왔다. 이중 동아시아계는 78%로 남아시아의 64%나 아프리카계의 58%와 비교해 절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경찰이나 다른 (시 조례 집행관 등)사법기관원과의 관계에서도 전체적으로 33%인데, 동아시아인은 47%로 원주민의 59%를 빼면 가장 높았다.  의료기관에서도 48%, 학교에서 69% 등이었으며, 쇼설미디어에서도 61%로 나왔다.

 

경험이 아니라 인종 혐오 목격을 한 경우에서도 동아시아인은 유럽계나,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인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난 2년간 캐나다에서 인종관계가 개선됐는지 악화됐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동아시아인은 아주 악화됐다가 11%, 아마 악화됐다가 35% 등 악화됐다는 쪽이 46%였다. 반대로 매우 개선됐다는 6%, 아마 개선됐다가 34%로 개선에 무게를 둔 비율은 40%였다. 

 

전체적으로는 개선이 45%, 악화가 37%로 개선에 더 비중이 높은 것과 비교됐다. 또 유럽계는 악화가 39%, 남아시아는 25%, 동남아시아가 35%이고 심지어 흑인은 23%만이 악화되고 71%가 개선됐다는 대답을 내놓은 것과 비교가 됐다.

 

코로나19로 인해 중국계, 즉 동아시아계에 대한 인종 혐오가 심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아프리카 흑인계나 남아시아계가 인종 혐오에서 오히려 표적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주별로 보면, BC주는 인종혐오 경험 전국 평균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목격에 있어서는 전국 평균보다 크게 높은 경우가 있었는데 일상 사회적 접촉과 학교로, 특히 학교의 경우 전국에서 가장 높은 58%로 나왔다.

 

지난 2년간 개선됐는지 악화됐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BC주는 개선이 37%인 반면 악화가 48%로 전국에서 가장 악화됐다고 봤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77 캐나다 "캐나다 경제난으로 맥주판매"급감 유가하락으로 인하여 앨버타주 영향 크게 받아.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76 캐나다 노후 준비 못한 채 은퇴하는 캐나다 빈곤노인 증가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75 캐나다 캐나다 커플, 연애에서 결혼까지 비용 6만달러 넘어, 연애 첫해만 1만 달러 필요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74 캐나다 캘거리, "국제공항 무료 주차제도 종료"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73 캐나다 캐나다 통계청 발표, 캐나다 가정 1년 지출 평균은 '5만 9천달러', 주거비 가장 큰 비중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72 캐나다 NDP 정부, "납세자가 아닌, 오염자가 방치된 수천 개의 폐유정 반드시 정화해야!"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71 캐나다 오타와, 앨버타의 ‘수력 발전 프로젝트’ 신청에 대해 외부 위원회 검토 지시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70 캐나다 10%로 상향된 새 '다운 페이먼트' 규정, 2월 15일부터 시행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69 캐나다 ATB은행, "앨버타주 부실대출 비율 크게 상승"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68 캐나다 NDP, 에너지 회사들로부터 로열티 징수 대신, 탄소세 면제 계획 옹호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67 캐나다 'AEMERA: 앨버타 환경 모니터링, 평가, 보고 에이젼시' 가동 준비 완료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66 캐나다 UN, 캐나다의 시리아 난민 정책에 찬사를 보내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65 캐나다 에드먼턴, '시티 오브 챔피언 & 최저가 휘발유'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8.
8964 캐나다 TD 은행에서 강도와 경찰, 6시간 대치 file 밴쿠버중앙일.. 16.02.19.
8963 캐나다 교육부와 교사연합 갈등, 다시 수면위로 부상 file 밴쿠버중앙일.. 16.02.19.
8962 캐나다 SPCA, 써리에서도 학대받는 개와 고양이 구출 file 밴쿠버중앙일.. 16.02.19.
8961 캐나다 써리, 길포드 타운 센터에서' 칼부림' 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16.02.19.
8960 캐나다 트뤼도 총리, '서머 잡 프로그램: Summer Jobs Program' 확대로 취임 100일을 축하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9.
8959 캐나다 리치몬드와 델타 시장들, 메시 터널 대체 다리 두고 의견 갈라져 file 밴쿠버중앙일.. 16.02.19.
8958 캐나다 캐나다 출신 싱어, 송라이터 '저스틴 비버' 생애 첫 그래미상 움켜쥐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