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쿠버 외교장관 회의에서 개회 인사 연설을 하는 강경화 장관(밴쿠버회의 페이스북 스트리밍 중계 캡쳐)

 

밴쿠버외교장관회의 한 목소리

올림픽 통한 남북대화 시도 지지

 

밴쿠버 외교부장관 회의가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해 국제사회의 목소리를 모으고 북한에 대한 유엔의 제재결의가 최고 압박 효과를 내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자는 방향으로 시작됐다.

 

캐나다와 미국 외교부가 초대하고 한국의 강경화 장관 등 한국전 참전국가 위주의 20개국 외교부 장관이 모인 한반도 안보와 안정을 위한 외교장관 회의가 16일 오전 8시 각 장관이 회의장에 도착하면서 시작됐다.

 

본격적인 회의에 들어가기 전에 오전 8시 30분 프리랜드 크리스티아 캐나다 외교부장관의 소개로 캐나다의 관습에 의해 밴쿠버 지역의 원주민 대표가 나와 자신의 영토에 온 외교부 장관들에게 환영 인사를 했다.

 

이어 프리랜드 장관은 개회연설을 통해 북핵의 위험한 불법적 핵무기와 미사일 실험으로부터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지키기 위해 국제사회가 결의한 북한에 대한 제재가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모였다고 이번 회의의 성격에 대해 규정했다.

프리랜드 장관은 캐나다와 한국이 1세기 이상 긴밀한 관계를 가져온 우방이라는 점과 캐나다에 많은 한인이민사회가 살고, 캐나다에 기여한다는 사실에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북한의 평창동계올림릭 참가를 계기로 대화를 시작한 것에 대해, 프리랜드 장관은 매우 고무적인 사실이라면서도 남북 대화와 상관없이 북한의 핵무기와 대량살상무기는 절대로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프리랜드 장관은 북한의 정권을 붕괴시키는 것이 이번 회의의 목적이 아니라 북한정권이 북핵과 대량살상무기를 포기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부장관은 강경하게 북한이 미국의 안보에 문제를 주는 국가이자 세계 평화의 위협이라며 유엔과 국제사회가 북한에 내린 모든 제재조치가 최대한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나도록 참가 국가 외교부 장관에게 회의를 통해 성과를 도출하라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틸러슨 장관은 이번 회의에 초청되지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 북한 제재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만들지 말라는 기존의 주장을 반복했다.

틸러슨 장관은 특히 한국전에 같이 유엔군으로 참여한 국가들에게 그때처럼 이번에도 제재 강화에 동참을 강조했다.

틸러슨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실험은 민간 항공기에서도 관측될 정도로 민간 항공기를 위협하고, 또 미국 본토와 영국까지 날아 갈 수 있는 위험성 등을 지도 도표까지 동원해 보여주며 대북 제재의 최대 압력만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3번째로 나선 타로 코노 일본 외무성 장관도 미국과 같이 이번 회의에서 북한으로 최대로 압박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는 회의가 되길 바란다고 말을 시작했다.

코노 장관은 아베 총리가 남북의 대화 개시에 대해서는 환영을 한다는 입장을 전하면서, 그러나 평창동계올림릭이 북한에 대한 제재가 약화되는 것은 절대로 용납할 수 없다는 의견도 밝혔다. 그는 한미 군사훈련중단 등을 언급하며 북한이 어떻게 해주길 바라는 것보다 실제로 북한이 노리는 저의를 알아야 한다고 훈수를 뒀다.

최근 많은 나라에서 북한 공관을 폐쇄하고 북한 노동자를 추방하는 것을 상기시키며 모든 나라가 북한을 외교적으로 고립시켜야 한다고 열변했다.

 

헤드 테이블에 앉은 4명의 외교부 장관 중 제일 마지막으로 연설을 한 강경화 장관은 문재인 정부가 북한의 비핵화가 변함없는 의지가 있음을 확인시켜줬다.

강 장관은 한국정부는 유엔 안보리의 북핵과 미사일 실험에 대한 대북 제재에 대해 성실히 준수하고 있으며 추호도 북핵을 용인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여를 위한 대화시도도 바로 대북 제재와 압박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증거라고 표현했다. 

한국 정부는 이번 2년 만의 남북 고위급 대회 개시를 발판으로 비핵화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한 평화적 노력을 지속한다는 전략을 밝혔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37 미국 타임지 선정 꼭 읽어야할 책 100선, ’82년생 김지영’ 선정 file YTN_애틀란타 20.11.16.
3536 미국 텍사스 북서부, 코로나19 직격탄 … “환자는 넘치고 의료진은 부족” file YTN_애틀란타 20.11.16.
3535 미국 화이자 백신 임상 참가자 “백신에 대한 두려움 가질 필요 없다” file YTN_애틀란타 20.11.16.
3534 캐나다 올 겨울 스키 ‘리프트 티켓 전쟁’ 치열할 듯 밴쿠버중앙일.. 20.11.17.
3533 캐나다 써리시 코로나 감염자 가장 많이 나와 밴쿠버중앙일.. 20.11.17.
3532 캐나다 부직포 필터 댄 3중 면마스크 차단효과 가장 좋아 밴쿠버중앙일.. 20.11.17.
3531 미국 트럼프, 플로리다에선 3.3%차 '낙승'... 남부 쿠바계 '몰표' file 코리아위클리.. 20.11.17.
3530 캐나다 캐나다 확진자 급증 - 일요일 전국적으로 확진자 4,000명으로 신기록 file CN드림 20.11.17.
3529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학생들 “코로나보다 자가 격리가 더 무서워” - 10명중 4명, 걱정과 불안감 많이 느껴 file CN드림 20.11.17.
3528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관광청.. 여행산업 큰 성장 기대 CN드림 20.11.17.
3527 캐나다 코비드 백신 배정 우선 순위, 노인들 최우선 - 특정 코비드 취약 그룹, 다발지역 우선 배정 CN드림 20.11.17.
3526 캐나다 캐나다 캘거리 라이프, 여전히 ‘굿’ - 코비드의 무게 여전 CN드림 20.11.17.
3525 미국 조지아 선거 주무장관 “살해위협까지 받았다” file AtlantaK 20.11.17.
3524 미국 [단독] 미국 연방법원, ‘안전불감증’ 한국기업 중징계 file AtlantaK 20.11.17.
3523 캐나다 BC주정부 코로나19 명령위반 강력처벌 경고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522 캐나다 버나비 병원 화재로 응급실 폐쇄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521 캐나다 아보츠포드 임산부 분만 후 코로나 감염으로 중태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520 캐나다 Joe Biden 정부가 캐나다에 미칠 4가지 키워드 file Hancatimes 20.11.18.
3519 캐나다 Quebec, 11월 23일까지 COVID-19 제재 계속 유지 file Hancatimes 20.11.18.
3518 캐나다 Plante 몬트리올 시장, 다가오는 2021년 몬트리올 선거 준비 file Hancatimes 2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