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리스들이 많이 모이는 곳으로 알려진 헤이스팅과 메인이 만나는 지역의 모습 (밴쿠버 중앙일보 사진DB)

 

유학생들이 다른 나라로 이동 하고나서, 특히나 부모님들께서 걱정하시는 것은 그 지역의 치안이다. 밴쿠버는 비교적 굉장히 안전한 지역이고 한국과 비슷하다.

 

하지만 특정 골목이나 지역에 가면 전혀 안전한 곳 같지 않고 무서운 곳들이 존재한다. 특히 헤이스팅스 거리, 그랜빌, 차이나타운, 써리지역은 유학생들끼리 이야기하는 ‘위험한 곳’이다. 조금만 더 찾아보고 검색하면 이미 사실인 다양한 기사들이 나온다.

 

가끔 밴쿠버의 특정 거리를 지나다니다보면 밤이든 낮이든 홈리스들이 지나다닌다. 그냥 힘없이 걸어다니는 사람들도 있고, 이상한 괴성이나 행동을 하며 사람들의 길을 막는 홈리스들 있다. 이들이 다 위험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조심해야 할 이유가 있다. 밴쿠버는 한국과는 다르게 마약류에 속하는 특정약품이 합법화 되어있다. 그것에 취한 홈리스들은 위험할 수 있다. 

 

헤이스팅스거리는 홈리스들이 정말 많고 이상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그곳을 꼭 지나야 한다면 동행자를 두고 가는 것이 좋다. 이곳은 가급적 안 가는 것을 권한다. 그랜빌은 20대들이 쉽게 놀고 즐길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는 곳이다. 다양한 국적들과 함께 공존하는 지역인 위험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차이나타운은 다운타운과 가깝게 위치하여 많은 유학생들의 살고 있는 곳 중에 하나다 아침에는 위험하지 않지만 밤이 되면 홈리스들이 많아 조금 위험하므로 가까운 곳에 꼭 필요한 외출만 하는 것을 권한다. 

 
당연히 이런 일은 일어나지 말아야 하고 ‘설마 나에게..’ 하며 안일하게 생각할 수 있는데 한국이 아니기 때문에 합법이건 불법이건 실제로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위험한 것들이고 그것에 대한 대비책을 준비해서 나쁠 것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자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방법 하나정도는 있어야 한다.  20대 여성이라면 사용할 일이 없다고 하더라도 꼭 호신용품 같은 것을 챙기고 다니는 것을 권한다. 호루라기, 후추스프레이, 립스틱사이렌 등등 이미 많은 것이 시중에 나와 있다. 단순한 호신술이나 힘으로는 직면한 상황을 마주하기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문선우 인턴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37 미국 타임지 선정 꼭 읽어야할 책 100선, ’82년생 김지영’ 선정 file YTN_애틀란타 20.11.16.
3536 미국 텍사스 북서부, 코로나19 직격탄 … “환자는 넘치고 의료진은 부족” file YTN_애틀란타 20.11.16.
3535 미국 화이자 백신 임상 참가자 “백신에 대한 두려움 가질 필요 없다” file YTN_애틀란타 20.11.16.
3534 캐나다 올 겨울 스키 ‘리프트 티켓 전쟁’ 치열할 듯 밴쿠버중앙일.. 20.11.17.
3533 캐나다 써리시 코로나 감염자 가장 많이 나와 밴쿠버중앙일.. 20.11.17.
3532 캐나다 부직포 필터 댄 3중 면마스크 차단효과 가장 좋아 밴쿠버중앙일.. 20.11.17.
3531 미국 트럼프, 플로리다에선 3.3%차 '낙승'... 남부 쿠바계 '몰표' file 코리아위클리.. 20.11.17.
3530 캐나다 캐나다 확진자 급증 - 일요일 전국적으로 확진자 4,000명으로 신기록 file CN드림 20.11.17.
3529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학생들 “코로나보다 자가 격리가 더 무서워” - 10명중 4명, 걱정과 불안감 많이 느껴 file CN드림 20.11.17.
3528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관광청.. 여행산업 큰 성장 기대 CN드림 20.11.17.
3527 캐나다 코비드 백신 배정 우선 순위, 노인들 최우선 - 특정 코비드 취약 그룹, 다발지역 우선 배정 CN드림 20.11.17.
3526 캐나다 캐나다 캘거리 라이프, 여전히 ‘굿’ - 코비드의 무게 여전 CN드림 20.11.17.
3525 미국 조지아 선거 주무장관 “살해위협까지 받았다” file AtlantaK 20.11.17.
3524 미국 [단독] 미국 연방법원, ‘안전불감증’ 한국기업 중징계 file AtlantaK 20.11.17.
3523 캐나다 BC주정부 코로나19 명령위반 강력처벌 경고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522 캐나다 버나비 병원 화재로 응급실 폐쇄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521 캐나다 아보츠포드 임산부 분만 후 코로나 감염으로 중태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520 캐나다 Joe Biden 정부가 캐나다에 미칠 4가지 키워드 file Hancatimes 20.11.18.
3519 캐나다 Quebec, 11월 23일까지 COVID-19 제재 계속 유지 file Hancatimes 20.11.18.
3518 캐나다 Plante 몬트리올 시장, 다가오는 2021년 몬트리올 선거 준비 file Hancatimes 2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