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반 인륜적 북 여종업원 기획탈북 상세 보도
 
exit.jpg
▲ 한국 국정원의 북한 여종업원 기획탈북 사실을 상세 보도한 <뉴욕 타임스>
 
(뉴욕=코리아위클리) 이하로-박윤숙 기자 = 박근혜 정권 국정원의 대표적인 무법사태로 손꼽히는 ‘북 여종업원 기획 탈북’에 대해 <뉴욕타임스>가 그 전모를 상세하게 보도하고 나서 이 사건이 세계적인 관심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뉴욕타임스>는 4일 '거짓말, 협박 그리고 배반 – 한 탈북자의 이야기(A North Korean Defector’s Tale of Lies, Blackmail and Betrayal)'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 사건의 시작부터 여종업원 납치, 그리고 남한 입국 후 국정원의 배반과 현재 삶의 모습까지 광범위하게 취재해 보도했다.

신문은 남한의 국정원과 이 사건의 주협력자인 식당 매니저 허강일씨와의 접촉과정과 여종업원들을 속여 남쪽으로 데려오는 과정에서의 음모와 배반 그리고 협박 과정을 고스란히 노출시켰다.

뿐만 아니라 박근혜 정권과 국정원이 총선 승리를 위한 기획 목적을 위해 여종업들의 신원을 노출시키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입국 하루 만에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하고 효용가치가 없어지자 약속을 저버리고 폐기하는 등 반인륜적 행태를 저지르는 내용을 적나라하게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처음에 한국의 당국자들이 북한 종업원 여성들이 중국에 살면서 한국 영화와 TV 드라마를 보며 탈출을 갈망하기 시작했다고 말했지만, 지난 5월 허 씨와 몇몇 여종업원들은 한 뉴스 채널에서 그 탈북이 남한의 국가정보원에 의해 기획된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7월에 이들 일부 여성들을 만난 유엔의 한 관료는 "그들이 속임을 당했다"고 전하며 “만일 이들을 자신의 의지에 반해 중국에서 데려온 것이라면 이는 범죄로 간주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한국 정부의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계속된 의혹 보도에도 ‘그 여성들이 자신들의 자유 의지에 따라 한국으로 왔다고 정부는 믿고 있다고 최근에 재차 말했지만 그 정보의 출처 역시 국정원이라고 말했다’고 꼬집었다.

특히 신문은 허씨가 여러 차례의 인터뷰에서 더 많은 이야기를 털어놓았다며 그의 이야기는 거짓말과 협박, 그리고 배반에 배반을 거듭하는 이야기라고 소개하며 연길에서의 식당생활에서 중국을 떠나게 되는 숨막히는 과정, 남으로의 입국과 국정원의 배신, 그리고 현재의 생활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전했다.

이제 북 여종업원 기획 탈북 문제는 대규모 집단 불법 납치사건으로 국제적으로 주목을 끌게 되어 한국 정부도 어떤 형태로든 이에 대한 조사와 함께 답을 내놓아야 할 처지가 됐다. (*본보 제휴 <뉴스프로> 번역팀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17 캐나다 Quebec 공공장소에서 야외 모임을 위해 알아야 할 사항들 file Hancatimes 20.11.18.
3516 캐나다 Quebec 교육부 장관, COVID-19로 인한 3가지 변화 지시 file Hancatimes 20.11.18.
3515 캐나다 Quebec, 경제 활성화위해 18억 달러 투입 file Hancatimes 20.11.18.
3514 캐나다 Quebec 확산이 계속 되는 한, 레스토랑 재개 “계획 없음” file Hancatimes 20.11.18.
3513 캐나다 Legault 주총리, COVID-19 확산 줄이기 위해 임시휴교 고려 file Hancatimes 20.11.18.
3512 미국 조지아 재검표, 결국 세금만 낭비한 셈 file AtlantaK 20.11.18.
3511 캐나다 메트로밴 일원 대형 마켓 코로나에 무더기로 노출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9.
3510 캐나다 중국계 여성 스탠리 파크서 시체로 발견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9.
3509 캐나다 정부, ‘내년 말까지 코로나 백신 다 맞을 수 있을 터’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9.
3508 캐나다 연방, 불체자 신분회복 유예 연말까지 허용 file 밴쿠버중앙일.. 20.11.20.
3507 캐나다 BC주 코로나19, 갈 때까지 가보자는 것인지! file 밴쿠버중앙일.. 20.11.20.
3506 캐나다 BC, 불필요한 여행자제...먼저 마스크 착용 의무화? file 밴쿠버중앙일.. 20.11.20.
3505 캐나다 정부, 연말연시 종교 행사 비대면 진행 촉구 file 밴쿠버중앙일.. 20.11.21.
3504 캐나다 써리 메모리얼 병원서 코로나 확진자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0.11.21.
3503 캐나다 실내에서는 무조건 마스크 착용해야...식당서 음식 먹을 때 제외 file 밴쿠버중앙일.. 20.11.21.
3502 미국 바이든 행정부, 유학생 비자 정책 유연해 질 듯 file 코리아위클리.. 20.11.22.
3501 미국 플로리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내년부터 등장 file 코리아위클리.. 20.11.22.
3500 미국 플로리다 민주당 '대선 패배', 내부에서 자성의 목소리 file 코리아위클리.. 20.11.22.
3499 미국 플로리다 '최저임금 15달러' 지지자들, "주 의회 방해 말라" file 코리아위클리.. 20.11.22.
3498 캐나다 하루 사망자 10명...20일 BC주 코로나19 상황 file 밴쿠버중앙일.. 20.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