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글의원 발의, 상원에서도 결의안 통과 전망

 

뉴욕=임지환기자 newsroh@gmail.com

 

 

재미동포 이산가족의 한(恨)은 언제나 풀릴까.

 

‘한인 이산가족 상봉 결의안’이 연방하원을 통과했다. 연방하원은 29일 전체회의를 열어 ‘한인 이산가족 상봉 결의안’(H.Con.Res.40)을 구두표결로 채택했다.

 

한인 이산가족 상봉 결의안은 한국전 참전용사인 찰스 랭글(민주·뉴욕 13선거구) 의원이 지난해 4월 발의한 것으로 미주 한인과 북한의 이산가족 만남을 북한 정부가 허용하도록 미 의회가 노력할 것과 북한이 한반도 평화를 위해 단호한 자세를 보여줄 것을 촉구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결의안은 “1950년 발발한 6·25전쟁으로 1000만 명의 이산가족이 생겼고 이 중 일부가 미국 시민이 됐다. 2001년 마지막으로 확인된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은 10만여 명에 이르지만 생존자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돼 있다.

 

 

Charles_Rangel_Chairman.jpg

www.en.wikipedia.org

 

 

랭글 의원은 결의안 통과후 발표한 성명에서 그동안 커뮤니티 차원에서 지원해준 뉴욕한인회 등 한인 단체와 결의안 공동발의자로 참여한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39선거구) 하원 외교위원장 등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랭글 의원은 “지난 60년 동안 피를 나눈 가족을 볼 수 없었던 이산가족들의 만남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이들이 가족들을 만날 수 있는 건 권리이며,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그레이스 맹 연방 하원읜원도 성명에서 “하루 빨리 한반도에 통일이 이뤄지길 바라며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산가족들이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가는 날이 하루속히 오기를 동료의원들과 함께 기대하겠다”고 말했다.

 

상원으로 보내진 결의안은 마크 커크(공화·일리노이)와 마크 워너(민주·버지니아) 등 상원의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어 무난히 승인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상원에는 지난 3월 커크 의원이 발의한 ‘북한에 친지를 둔 한국계 미국인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협의 촉구 법안(S.2657)’도 상정돼 있다.

 

이에 앞서 뉴욕한인회(회장 김민선)는 2015년 10월 14일 플러싱 타운홀에서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과 북한 내 가족들간의 상봉을 촉구하는 법안을 발의(發議)해 줄 것을 요청하는 결의안을 제출한 바 있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랭글의원 한국전쟁종전선언 결의안도 상정

 

랭글 의원은 지난 2014년 2월 '이산가족상봉 촉구 결의안'을 처음 제출하고 같은 해 11월엔 의회에서 이산가족의 아픔을 담은 기록영화를 상영하기도 했다.

 

또 지난해 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엔 한국전종전선언 결의안을 상정하기도 했다. 이 결의안(H.R.384)은 "한국전쟁은 전 세계에서 최장 전쟁으로 기록됐다. 남북한 뿐만 아니라 미국 등 20여 국가가 참전해 수십만 명의 군인 사상자 그리고 수백만 명의 민간인이 부상당하거나 숨졌다. 광복 70주년이 되는 올해를 맞아 모든 한국 국민은 평화를 원하고 있다. 현재 휴전 상태인 전쟁을 공식으로 종료하자"는 내용이다.

 

 

  • |
  1. Charles_Rangel_Chairman.jpg (File Size:76.6KB/Download:3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97 미국 올랜도 I-드라이브 고속철 변경안, 난관 뚫고 순항중 file 코리아위클리.. 22.05.19.
1496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2개월 만에 주간 최고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2.05.19.
1495 미국 '서명정치' 맛들인 드샌티스...'공산주의 희생자의 날' 법안에 서명 file 코리아위클리.. 22.05.19.
1494 캐나다 밴쿠버총영사관, IT분야 해외취업지원 세미나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0.
1493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 "감염경력•백신접종 면역 반응 높인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0.
1492 캐나다 3월 실업보험 급여자 52만 400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0.
1491 캐나다 가평 전투 71 주년 기념식 file Hancatimes 22.05.20.
1490 캐나다 연방정부, COVID-19가 어린이들에게 미치는 연구 프로젝트에 670만 달러 투자 file Hancatimes 22.05.20.
1489 캐나다 제9회 캐나다한국영화제 이벤트로 파친코 북클럽 개최 file Hancatimes 22.05.20.
1488 캐나다 부알로 공중보건국장, 5월초에 마스크 착용 관련 발표 예정 file Hancatimes 22.05.20.
1487 캐나다 캐나다 최초로 몬트리올에 모더나 백신 제조 공장 건설 file Hancatimes 22.05.20.
1486 캐나다 퀘벡주, 18세 이상의 모든 주민에게 4차 백신 접종 허용 file Hancatimes 22.05.20.
1485 캐나다 몬트리올 기후 회담, 2025년부터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이 목표 file Hancatimes 22.05.20.
1484 캐나다 퀘벡주, 5월 14일부터 실내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file Hancatimes 22.05.20.
1483 캐나다 제9회 캐나다한국영화제 핸드메이드 프린트 아트 워크샵 작품 file Hancatimes 22.05.20.
1482 캐나다 7월 1일부로 교통비 인상 및 교통체계 구역 개편 file Hancatimes 22.05.20.
1481 캐나다 퀘벡주 공중보건국장, "코로나19 지표 감소,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file Hancatimes 22.05.20.
1480 캐나다 윤곽 잡혀가는 법안 96호, 6월 초 통과 될 듯 file Hancatimes 22.05.20.
1479 미국 미국내 원인 불명 중증 소아 간염 사례 속출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0.
1478 미국 '헌법적 총기 휴대법'이란 대체 무엇일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