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 극복 48년, 52년 올림픽 첫 연속 금

 

뉴욕=민병옥기자 newsroh@gmail.com

 

 

800px-Sammy_Lee_1951.jpg

 

 

아시안 최초의 올림픽 다이빙 금메달리스트 새미 리 박사가 향년(享年) 96세로 별세했다. USC대학은 지난 3일 리 박사는 2일 캘리포니아주 뉴포트비치에서 폐렴으로 숨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5피트(157cm)의 단신인 리 박사는 1948년 런던올림픽에서 다이빙 10m 플랫폼에서 금메달 3m 스프링보드에서 동메달을 따냈다. 그는 만 32세였던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출전, 10m플랫폼에서 또다시 정상에 올라 올림픽 다이빙 사상 최초의 연속 금메달 기록을 세웠다.

 

그는 1960년 로마올림픽과 64년 동경올림픽에서 미국수영대표팀을 지도했고 1984년 LA올림픽과 1988 서울올림픽의 영웅 팻 맥코믹과 그렉 루가니스 등을 양성(養成)한 주인공이다.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 이민자의 후손인 리 박사는 1920년 8월 캘리포니아주 프레스노에서 5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당시 백인에게만 자유 개방된 수영장에서 인종차별을 겪으며 어렵게 수영을 배웠다.

 

수영을 하면서도 학업의 끈을 늦추지 않은 그는 USC 의대를 졸업하고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됐다. 그는 1953년 한국전쟁 후 폐허가 된 모국에서 3년간 미군 군의관으로 복무하기도 했다.

 

지난 2010년 로스앤젤레스 코리아타운에서는 새미 리 스퀘어 명명식이 열렸고 2013년엔 초등학교 한곳이 닥터 새미리 메디컬 앤 헬스사이언스 마그넷 스쿨로 명명되기도 했다.

 

고인은 아내 로즈 여사와 두명의 자녀 파멜라와 새미 주니어, 세명의 손주들이 있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Sammy-in-suit-thumb-600x759-62990.jpg

군의관 시절의 새미 리 박사 <이상 사진 www.ko.wikipedia.org>

 

 

<꼬리뉴스>

 

새미리 올림픽 수영복 독립기념관 기증

 

새미 리 박사는 1920년 8월 1일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에서 한국에서 이민 온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은퇴후인 1953년~1955년 미8군 군의관으로 근무하면서 이필중, 조창제, 송재웅 등 다이빙 선수를 지도했고, 1964년 동경올림픽에서도 한국선수들의 훈련을 도왔다.

 

미주 한인들은 물론, 아시아계 전체를 빛낸 자랑스러운 미국인으로 존경받고 있는 그는 여러 차례 대한민국 대표팀을 격려했고 평창의 2010년과 2014년 동계 올림픽 유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명예 홍보대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0년엔 독립기념관에 올림픽 출전당시 착용한 수영복과 수영모를 기증(寄贈)했다. 그의 기증품은 2012년 8월 13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501호로 지정되었다. 한국인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한국의 체육발전을 위해 헌신한 고인의 업적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다.

 

 

 

  • |
  1. 800px-Sammy_Lee_1951.jpg (File Size:31.2KB/Download:35)
  2. Sammy-in-suit-thumb-600x759-62990.jpg (File Size:35.8KB/Download:3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97 미국 올랜도 I-드라이브 고속철 변경안, 난관 뚫고 순항중 file 코리아위클리.. 22.05.19.
1496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2개월 만에 주간 최고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2.05.19.
1495 미국 '서명정치' 맛들인 드샌티스...'공산주의 희생자의 날' 법안에 서명 file 코리아위클리.. 22.05.19.
1494 캐나다 밴쿠버총영사관, IT분야 해외취업지원 세미나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0.
1493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 "감염경력•백신접종 면역 반응 높인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0.
1492 캐나다 3월 실업보험 급여자 52만 400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0.
1491 캐나다 가평 전투 71 주년 기념식 file Hancatimes 22.05.20.
1490 캐나다 연방정부, COVID-19가 어린이들에게 미치는 연구 프로젝트에 670만 달러 투자 file Hancatimes 22.05.20.
1489 캐나다 제9회 캐나다한국영화제 이벤트로 파친코 북클럽 개최 file Hancatimes 22.05.20.
1488 캐나다 부알로 공중보건국장, 5월초에 마스크 착용 관련 발표 예정 file Hancatimes 22.05.20.
1487 캐나다 캐나다 최초로 몬트리올에 모더나 백신 제조 공장 건설 file Hancatimes 22.05.20.
1486 캐나다 퀘벡주, 18세 이상의 모든 주민에게 4차 백신 접종 허용 file Hancatimes 22.05.20.
1485 캐나다 몬트리올 기후 회담, 2025년부터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이 목표 file Hancatimes 22.05.20.
1484 캐나다 퀘벡주, 5월 14일부터 실내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file Hancatimes 22.05.20.
1483 캐나다 제9회 캐나다한국영화제 핸드메이드 프린트 아트 워크샵 작품 file Hancatimes 22.05.20.
1482 캐나다 7월 1일부로 교통비 인상 및 교통체계 구역 개편 file Hancatimes 22.05.20.
1481 캐나다 퀘벡주 공중보건국장, "코로나19 지표 감소,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file Hancatimes 22.05.20.
1480 캐나다 윤곽 잡혀가는 법안 96호, 6월 초 통과 될 듯 file Hancatimes 22.05.20.
1479 미국 미국내 원인 불명 중증 소아 간염 사례 속출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0.
1478 미국 '헌법적 총기 휴대법'이란 대체 무엇일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