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에 코로나19로 공급량 적고 인플레이션 등도 원인
 
egg.jpg
▲ 25일 플로리다주 올랜도 퍼블릭스 그로서리 마켓 내 계란 선반 모습. 12개짜리 계란값이 5달러 89센트이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날로 치솟고 있는 계란 가격이 소비자들에게 타격을 주고 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기준으로 계란 가격은 지난 11월부터 12월 사이에 11.1% 급등했다. 2021년 12월과 비교하면 상승률은 59.9%나 된다.

17일 올랜도 퍼블릭스에서 계란 12개 가격은 5.79달러, 18개짜리는 8달러 54센트였다. 탬파베이 지역 퍼블릭스, 윈 딕시, 트레이더 조의 매장에서도 12개짜리 한 팩 가격은 4.49달러에서 5.79달러 사이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계란값이 폭등한 원인으로 최근 수백만 마리의 닭을 멸종시킨 조류인플루엔자(AI) 유행과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 차질, 그리고 인플레이션 등을 꼽는다. 또 연말 연시 연휴에 전통적인 요리와 제빵이 늘면서 계란에 대한 높은 수요가 가격 상승에 한 몫했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조류인플루엔자는 전국 308개 상업용 사육장과 423개 방목 사육장(케이지 프리)에서 발견됐고, 5787만 마리가 폐기됐다. 플로리다에서도 상업용 양계장들은 피해를 입지 않았지만, 23개 자연 방사 양계장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퍼블릭스에서는 야생 닭에서 생산된 계란 12개 값은 3.99달러로 상업용 양계장에서 나온 계란보다 가격이 낮다.

계란 사업자 출신이자 플로리다 농무부 커미셔너인 윌튼 심슨은 최근 론 디샌티스 주지사와 각료회의를 마친 뒤 양계장에서 조류독감 유행이 커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심슨은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을 방지하는 방법은 폐기라며, 조류 감염에 대한 신속한 보고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계란 가격이 '금값'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전문가들은 앞으로 몇 달 안에 가격이 다소 안정될 것으로 전망한다.

식품 마케팅 전문가이자 '수퍼마켓그루닷컴(SupermarketGuru.com)의 운영자인 필 렘퍼트는 암탉은 매우 빨리 자라며, 보통 생후 18주에서 22주 사이에 알을 낳기 시작할 수 있다고 전했다. 렘퍼트는 현재 자라고 있는 닭들이 알을 생산하기 시작하면 1년 전 수준인 1달러 90센트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현재 가격보다 한층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계란값이 높아지자 집 뒤뜰에서 닭을 키우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가정 닭 사육에 촛점을 맞추는 '프레시 에그 데일리(Fresh Eggs Daily)' 블로그 책임자 리사 스틸은 "2000년대 초에 시작된 불황에 이어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집에서 닭을 기르는 사람들이 극적으로 증가했다"라고 말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초기에 매장 선반에서 계란을 찾지 못하자 닭을 키우려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 상점에 계란은 있지만 값이 너무 높은 것이 닭을 키우는 동기가 되고 있다.
  • |
  1. egg.jpg (File Size:142.0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657 캐나다 스쿼미쉬 주택가, 총 맞은 곰 숨진 채 발견 밴쿠버중앙일.. 16.04.28.
8656 캐나다 야생동물 보호단체, "따뜻한 날씨 탓에 야생 조류 구조 늘어" 밴쿠버중앙일.. 16.04.28.
8655 캐나다 신민당 조디 위킨스 MLA 의원, 개소식 열려 밴쿠버중앙일.. 16.04.28.
8654 캐나다 집에서 수제 맥주 즐길 날, 조만간 온다 밴쿠버중앙일.. 16.04.28.
8653 캐나다 새 삶 찾은 6마리 개, 환한 웃음 되찾아 밴쿠버중앙일.. 16.04.28.
8652 캐나다 BC 녹색당, 우버 도입 앞당기기 위한 입법안 발의 밴쿠버중앙일.. 16.04.28.
8651 캐나다 패스밴더 장관, 포트무디 찾아 에버그린 라인의 원활한 공사 진행 자축 밴쿠버중앙일.. 16.04.28.
8650 캐나다 코퀴틀람 기증함에서 수류탄 발견돼 일대 소동 밴쿠버중앙일.. 16.04.28.
8649 캐나다 밴쿠버, 지진 대비해 재난대피소 25곳 지정 밴쿠버중앙일.. 16.05.03.
8648 캐나다 UBC 캠퍼스에서 불태워진 프라이드 깃발, 가해자는 소외감 느껴온 성전환자 밴쿠버중앙일.. 16.05.03.
8647 캐나다 써리, 학생 인구 증가 발 못 맞춰 밴쿠버중앙일.. 16.05.03.
8646 캐나다 코퀴틀람, '마트 내 주류 판매 안건' 개인 업주와 그로서리 갈등 심화 밴쿠버중앙일.. 16.05.03.
8645 캐나다 튤립 향기에 푹 빠져 보세요! 밴쿠버중앙일.. 16.05.03.
8644 캐나다 '대학 성범죄 예방법' 발의 주정부, "캠퍼스 내 성폭력 뿌리뽑겠다" 밴쿠버중앙일.. 16.05.03.
8643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앞둔 캐나다, "교통사고 사망률 증가" 경고 밴쿠버중앙일.. 16.05.03.
8642 캐나다 메트로 지역 버스, '올 스톱'(all stop) 가능성 커져 밴쿠버중앙일.. 16.05.03.
8641 캐나다 밴쿠버 교육청 예산 삭감안 부결, 다음 차례는? 밴쿠버중앙일.. 16.05.03.
8640 캐나다 BC 환경부, 쓰레기 재활용 협조 안하는 대기업에 경고 밴쿠버중앙일.. 16.05.03.
8639 캐나다 밴쿠버, 예년 보다 2주 빠른 제한급수 시행 밴쿠버중앙일.. 16.05.03.
8638 캐나다 대중음악의 레젼드 ‘폴 매카트니’ 감동적인 밴쿠버 공연 밴쿠버중앙일.. 16.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