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2083611726_DEQrPet3_3691fc1baab1188

 

한인 영주권자 20년이면 22% 돌아간다

미국, 대만, 프랑스, 중국 등 이어 7번째

투자이민, 자녀없거나, 교육수준 높을수록

 

영주권을 받은 후 20년 안에 캐나다를 다시 떠나는 이민자가 5명 중 1명 꼴인데, 한국 이민자도 캐나다를 떠나는 비율이 높은 나라 중 하나가 됐다.

 

연방통계청이 2일 발표한 영주권 취득후 다시 캐나다를 떠난 이민자 통계 분석자료에서 한국 국적자는 5년 이후에 5.1%, 10년 이후에 7.3%, 20년 이후에 9.7%로 나왔다. 점차 해가 갈수록 더 많은 한인 이민자가 캐나다를 떠나고 있는 것이다.

 

이번 통계는 1982년부터 2017년까지 장기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첫 5년 후 이민가는 이민자가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으로 16.7%, 프랑스가 14.1%, 영국이 9.9% 등 주로 미국과 유럽계 국가 출신이며, 홍콩과 레바논이 7.8%였다. 이번 통계기간에서 홍콩은 중국에 반환된 시기가 포함됐으며, 레바논은 내전이 발생한 기간 중이어서 일시적으로 캐나다로 이민을 왔다가 다시 복귀하는 양상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10년 후에 캐나다를 떠난 국가 순위에서 대만이 13%, 홍콩이 12.3%, 미국이 10.8%, 레바논이 10.5%로 10%를 넘긴 나라들로 나왔다. 20년 이후의 경우는 대만이 17.4%, 미국이 12.5%, 프랑스가 10.7%, 그리고 홍콩이 10%로 나왔다.

 

20년간을 두고 볼 때 가장 많이 돌아간 이민자는 미국, 대만, 프랑스, 홍콩, 레바논, 영국 그리고, 한국 순이었다.

 

이민 허가 후 첫 해는 0.8%, 1년과 2년차에는 1%, 3년차에 1.1%, 4년차와 5년차에 1.3%로 높아진 후 6년차에 1.2%, 7년과 8년차에 1%를 기록한 후 1% 미만대에 머문다.

 

누계로 보면 5년차까지 5.1%, 10년차까지 10.5%, 15년차 14.3%, 20년차에 17.5%가 되며, 28년차에는 22.3%까지 늘어난다.

 

돌아가는 이민자를 연령별로 18-24세는 5년 후가 4.4%, 10년 후가 4.8%, 그리고 20년 후가 5.4%로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65세 이상에 영주권을 얻고 온 경우 5년 후가 10.7%, 10년 후가 7.7%, 그리고 20년 후가 10.4% 등 캐나다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30% 가깝게 캐나다를 떠났다.

 

남녀 성별 연차에 따른 누계로 보면 남자의 경우 5년 이후 5.7%, 10년 이후 11.6%, 그리고 20년 후 19.6%로 나왔다. 여성은 4.6%, 9.4%, 그리고 15.7%로 여성이 상대적으로 더 적응을 잘 했다.

 

각 주별 정착지를 선택한 경우 누계로 볼 때 BC주는 5.4%, 11.8%, 그리고 20.1%로 온타리오주의 16.8%, 퀘벡주의 18.5%, 알버타주의 15.2%와 비교할 때 동부연안주를 제외한 모든 주 중에 가장 높은 편에 속했다.

 

그럼 왜 영주권을 받아 왔다가 떠나는지에 대한 이유가 궁금해진다. 이번 분석자료에서 직접 왜 돌아가는지를 물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몇 가지 그 이유를 알 수 있는 부분을 분석했다.

 

우선 이민 카테고리별로 보면, 투자이민자는 이민 5년 후 6.5%, 10년 후 15.4%, 그리고 20년 후 19.2% 등 절반 가까운 41.1%가 떠나갔다. 기업이민자도 5년 후 6.3%, 10년 후 10.7%, 그리고 20년 후 12.4%로 높은 편이었다. 자기고용도 높은 편에 속했다.

 

아직 실시된지 얼마 안됐지만, 캐나다경력클래스(Canadian Experience Class) 5년후 9.6%나 돌아갔다. 

 

반면 거주요양사(Caregivers)는 가장 낮은 편에 속했고, 난민 등도 낮은 편에 속했다. 경제적인 문제나 어려운 모국 상황으로 도망을 온 경우 캐나다에 더 귀속감이 높았다.

 

이외에도 캐나다를 등지는 사람들의 특징 중에 자녀가 없거나, 고학력자이 비중이 높았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437 캐나다 밴쿠버 아빠밴드, 사랑과 추억을 노래하다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1.
9436 캐나다 UBC 회장 집 부근, 남성 시신 발견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4.
9435 캐나다 잉글리쉬 베이 연료 누출 사고, 정화 작업 마무리 단계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4.
9434 미국 끊이지 않는 먹거리 위협…식탁은 안전한가? file KoreaTimesTexas 15.04.21.
9433 캐나다 기름 오몀 밴쿠버 해변 대부분 재개장, "안전 판단" file 밴쿠버중앙일.. 15.04.22.
9432 캐나다 애보츠포드, 은행 직원 실수 개인정보 도난 범죄로 둔갑 밴쿠버중앙일.. 15.04.22.
9431 미국 텍사스, 10대 청소년 “1,000명당 41명 임신” file KoreaTimesTexas 15.04.23.
9430 캐나다 22일(수), 91번 고속도로에서 초경량 비행기 비상 착륙 file 밴쿠버중앙일.. 15.04.24.
9429 캐나다 의학용 마리화나, 밴쿠버와 BC주 핫 이슈 떠올라 밴쿠버중앙일.. 15.05.01.
9428 캐나다 YVR 공항에서 충돌 사고 시뮬레이션 훈련 file 밴쿠버중앙일.. 15.05.01.
9427 캐나다 BC주 동북부, 주정부의 '페어 셰어' MOU 파기두고 시끌 file 밴쿠버중앙일.. 15.05.05.
9426 캐나다 버나비, 아파트 건물주와 반려견 입주자 갈등 커져 file 밴쿠버중앙일.. 15.05.07.
9425 캐나다 빅토리아 시의회, 밴쿠버에 이어 마리화나 판매 합법화 지지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2.
9424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40년만에 정권교체 CN드림 15.05.14.
9423 캐나다 앨버타 토리왕조, “장기집권의 몰락” file CN드림 15.05.14.
9422 캐나다 캐나다 석유산업, 유가 폭락에 따라 더 많은 해고를 준비 CN드림 15.05.14.
9421 캐나다 밴쿠버 챕터스, 모회사 인디고 이름으로 재개장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4.
9420 캐나다 환경청, '올해 BC주 여름 무척 더울 것' 예상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5.
9419 캐나다 고등학교 순위, 사립학교들이 상위권 독식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6.
9418 캐나다 프린스 죠지 산불, 계속 악화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