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열대, 온대, 열대성 폭풍의 차이를 살펴보니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허리케인을 일상처럼 맞는 플로리다 주민들은 열대성 폭풍(tropical storm)이란 용어에 익숙하다. 하지만 아열대 폭풍(subtropical storm), 온대 폭풍(extratropical storm) 등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단 간단히 말하면 열대성 폭풍은 빠르게 발전하여 허리케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폭풍이다. 온대 및 아열대 폭풍은 각각의 강화 과정이 더 점진적이기 때문에 열대성 폭풍과 동일한 힘을 갖지 않는다. 이들 두 폭풍은 자주 허리케인으로 발전하는 열대성 폭풍보다 약하니 무시해도 된다는 것인가?

세 가지 유형의 폭풍 시스템 간의 차이점을 실제로 이해하려면 우선 열대성 폭풍의 특성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첫째, 열대성 폭풍은 따뜻한 중심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폭풍의 내부와 중심의 공기가 주위의 공기보다 더 따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대성 폭풍은 중심 근처에서 뇌우 활동을 형성하고 최소 풍속은 39마일이다. 열대성 폭풍 내부의 이러한 바람이 시속 73마일까지 증가하면 허리케인으로 분류된다.

ian.jpg
▲ 지난 10일 플로리다를 덥친 허리케인 이안으로 올랜도 주도로인 리로드 일부 지역이 침수되어 차량이 잠겨있는 모습.
 
온대성 폭풍은 열대성 폭풍과는 반대로 찬 공기로 구성된 중심부에서 시작한다. 온대성 폭풍에는 항상 하나 이상의 전선이 연결되어 있다. 온대성 폭풍 시스템은 풍속 30마일의 열대 저기압만큼 약하지만 허리케인만큼 강한 바람을 가질 수도 있다. 온대성 폭풍의 몇가지 예는 북동풍(Nor'easter, 북아메리카의 동해안을 따라 부는 폭풍), 보통의 저기압 시스템 및 눈보라이다.

대서양 위로 이동하는 온대성 폭풍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따뜻한 중심부를 형성할 기회를 맞는다. 추가 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 속에서도 바람의 강화는 더디게 진행된다. 하지만 온대성 폭풍이 따뜻한 중심부를 형성하게 되면 바람의 세기에 따라 아열대 저기압 또는 아열대 폭풍이 된다.

그렇다면 아열대성 폭풍(subtropical storm)은 앞서 설명한 두 폭풍들과 어떻게 다를까.

국립허리케인센터는 아열대 폭풍을 "열대 및 온대 특성을 모두 갖는 비전면 저기압 시스템(non-frontal low-pressure system)"으로 정의한다. 아열대 폭풍은 일정한 형태의 전선이 형성되지 않고 온난 또는 한랭 중심부로만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아열대성 폭풍이 단기간에 끝나는 경향이 있는 점도 두 폭풍과 차이를 둔다.

또한 아열대성 폭풍은 중심이 넓고 구름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최대 풍속은 열대성 폭풍만큼 강력하다. 그러나 이러한 바람은 아열대성 폭풍의 중심에서 더 멀리 발생하며 비 정기성을 띠고 몰아친다. 또한 열대성 폭풍과 가장 큰 차이 중 하나는 강우량이다. 아열대성 폭풍은 열대성 폭풍보다 훨씬 적은 강우량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아열대성 폭풍의 풍속이 강화되면 완전히 열대성으로 전환되어 종국에는 허리케인으로까지 진전된다.
  • |
  1. ian.jpg (File Size:327.1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497 미국 ‘라이트닝 스테이트’ 플로리다에서 살아남기 file 코리아위클리.. 16.06.09.
8496 미국 오렌지 향기 사라진 ‘오렌지 카운티’, 관상용 식물 넘친다 file 코리아위클리.. 16.06.10.
8495 미국 은퇴정년 사라진 미국사회... 노년층 대책은 '펑크' file 코리아위클리.. 16.06.10.
8494 미국 낮의 해가 당신을 해친다 코리아위클리.. 16.06.10.
8493 미국 관상용 물고기를 식용으로 삼아라! 코리아위클리.. 16.06.10.
8492 미국 살인사건 일으킨 총기, 인터넷 판매 논란 불러 코리아위클리.. 16.06.10.
8491 미국 휴대전화 갑작스레 울리는 ‘앰버 얼러트’ 뭐지? 코리아위클리.. 16.06.10.
8490 미국 불체자가 살아가는 방법… 전문직 종사도 가능하다 코리아위클리.. 16.06.10.
8489 미국 한국, 유엔서 장애인권리협약 당사국회의 주재 file 뉴스로_USA 16.06.11.
8488 미국 올랜도서 최악의 총격사건 50명 사망... 일부 시신 미수습 [2] 코리아위클리.. 16.06.13.
8487 캐나다 CP 레일, "이번 주부터 아뷰터스 코리도어 철도 제거 작업 개시" 밴쿠버중앙일.. 16.06.14.
8486 캐나다 써리 RCMP, 3주 동안 폭력 조직원 18명 검거 밴쿠버중앙일.. 16.06.14.
8485 캐나다 대회 앞둔 드래곤 보트 연합, 시청에 폴스크릭 정박 금지 요청 밴쿠버중앙일.. 16.06.14.
8484 캐나다 웨스트밴, 높은 집 값 불구 '살기좋은 도시' 순위에서 BC주 최상위 밴쿠버중앙일.. 16.06.14.
8483 캐나다 써리 소방서, "담배 꽁초 화재 발생률 지난 해보다 높아" 밴쿠버중앙일.. 16.06.14.
8482 캐나다 코퀴틀람, 열차길 걷던 남성 열차에 사망 밴쿠버중앙일.. 16.06.14.
8481 캐나다 자전거 출근 주(week), 역대 최고 참여 기록 밴쿠버중앙일.. 16.06.14.
8480 캐나다 트랜스링크 CEO, "러시 아워 적용되는 도로 유료화 찬성" 밴쿠버중앙일.. 16.06.14.
8479 캐나다 코퀴틀람 RCMP, 은행 강도 용의자 사진 공개 밴쿠버중앙일.. 16.06.14.
8478 캐나다 BC 교통부, 알렉스 프레이져 다리에 1천만 달러 투자 밴쿠버중앙일.. 16.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