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문학회_할머니).jpg

 

콩 심은데 콩 나고 / 차수희

 

씨를 심었다. 냉동 칸에서 툭하고 떨어진 검정 봉지 속에는 기억에도 없는 씨앗들이 들어 있었다. 얼마나 오랫동안 동면중이었던 것일까? 혹시나 살아나길 바라며 땅 속으로 자리를 옮겨주면서 이왕이면 꽃이나 열매까지 맺어준다면 더 좋겠지 싶음에랴. 무슨 식물인지도 모른 채 물을 매일 매일 주던 나는, 미래가 어찌될지도 모르면서 무작정 삼팔선을 넘어왔다던 그녀를 떠올린다.

 

만 이 년 만에 다시 찾았던 한국. 그 사이 구순의 고개를 넘어버린 친정 엄마는 노인의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어 나를 당황하게 만들었다. 몸은 특별한 탈이 없다지만 반노환동(返老還童- 늙은이가 어린아이로 변했다는 뜻)이라 했던가? 태어나고 자랐던 평양에서의 시간들을 회상하며 천진난만한 모습으로 하루를 채워간다. 소녀 시절의 추억이 그토록 노년의 삶을 미소 짓게 할 줄이야. 말똥만 굴러도 웃어대던 학창 시절 친구들과의 깔깔거림을 말할 때는 내 귀에도 그 웃음소리가 들리는 듯 했다. 그의 입에서 계속 언급되는 ‘우리 엄마가, 우리 아버지가’라는 단어가 매우 생소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내 엄마로만 살아왔던 그에게서 어린 아이의 모습을 처음 봤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을 만큼 그리운 당신의 어릴 적 부모님을 그 동안 어찌 참았을꼬. 대청마루에서 근엄하게 자리를 지켰다던 왕할머니는 집 안의 대소사에서 수습하는 말로 항상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는 법이다’ 로 마무리 짓곤 했다고. 그 때는 어려 정확히 무슨 뜻인지 깨닫지 못했다지만 나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자랐으니 그 진리는 대를 거듭하고 있다. 이 단순한 말이 삶의 흔들리지 않는 지지대가 되고 있음을 내가 환갑도 훨씬 넘게 살아내며 여전히 확인하고 있으니. 이팔청춘의 시간들을 풍요롭게 잘 보낸 고향을 떠나야 하는 역사적 사건이 그에게 생겼다. 해방 직후 소련이 점령하면서 무차별 약탈이 점점 심해지니 도저히 견디지 못하고 식구들이 이북 탈출만이 절실한 나머지 앞날은 그려지지가 않았다고 했다.

 

나 또한 삶의 터전을 옮기는 모험을 감행했던 순간이 있었다. 호주 개척 이백 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988년 초 개방된 바이 센테니얼 파크. 이 공원을 처음 찾았을 때는 새로 심은 나무들이 너무 어려 그늘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47.4헥타르 면적의 쓰레기 매립장을 탈바꿈 시킨 직후이니 가냘프게 겨우 뿌리박고 흔들거리는 묘목들이 내 모습을 닮았었다. 미지의 세계에서 구체적인 계획도 세울 수 없어 그냥 하루하루 부지런히 일하며 세월을 만들 밖에. 콩을 심었다는 생각에 콩을 거두고 싶었고 그럴 수 있으리라는 믿음만으로 키워낸 자녀들은 이제 독립하여 제 갈 길을 가고 있다. 요즘 그 공원으로 매일 새벽 여명이 밝아오는 시간에 운동 겸 산책을 한다. 초창기엔 민둥산 같았던 언덕마다 이제 아름드리나무들이 무성하다. 덕분에 다양한 새들의 보금자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어 지저귀는 여러 가지 소리들이 듣기 좋은 음악이 되어준다. 호수에서는 펠리컨도 만나고 가을엔 때 맞춰 갈색 낙엽도 흩뿌려준다. 겨울로 접어드니 나목을 보여주어 다행히 내가 나고 자란 한국의 사계절까지 살짝 느껴볼 수 도 있다.

 

땅을 헤치고 드디어 푸른 잎이 여기저기 반갑게 돋아나온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봉숭아가 맞지 싶다. 꽃까지 피어나면 손톱에 물들이며 나로 인해 시드니가 고향이 된 자녀들과 내 어린 시절을 추억할 수 있겠다. 요즘 직장생활에 열심인 두 자녀와 모처럼 카페에 마주 앉았다. 좋아하는 일과 높은 연봉, 무엇이 우선일까? 열띤 토론 중이다. 지켜보던 나의 입에서는 절로 콩 얘기가 새어나오고, 심은 것만 수확할 수 있는 법이라고 말해 주고 있다. 뵌 적도 없는 친정 엄마의 왕할머니가 불현듯 궁금해진다. 아마 이 대물림이 계속 이어지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나보다.

 

  • |
  1. 종합(문학회_할머니).jpg (File Size:69.5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54 호주 민주평통 호주협의회-북한 이탈주민들, 한마음으로 ‘우리의 소원은 통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2853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42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2852 호주 제22대 대한민국 국선 호주지역 재외투표율, 64.7%로 역대 최고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285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41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2850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투표소에서 22대 국선 재외선거인 투표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2849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전통 옻칠 예술의 아름다움-다채로움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2848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40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2847 호주 평생을 목재와 함께... “자연과 지역사회가 공존하는 기업 지향”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2846 호주 “재외동포 정체성 함양, 거주국에서의 지위 향상에 주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2845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9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2844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NT 내륙도시 Alice Springs서 이달 순회영사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2843 호주 한인 일가족 ‘비극적 삼중살인’ 발생... 유력 용의자로 태권도 코치 신변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2842 호주 시드니 한국교육원, 2023년 HSC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284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8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2840 호주 제22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호주 재외선거인 등록자 5,340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2839 호주 한국-호주 출신 작가 듀오, 한국문화원서 색다른 ‘환경’ 주제 전시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2838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7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2837 호주 ‘조국사랑 독도연합회’ 고동식 회장, 한국 정부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2836 호주 ‘백세까지 호탕하게...’ 신개념 시니어 복지학교 ‘백호대학’ 개강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2835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6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