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국의날 1).jpg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중단됐던 시드니한인회 주관의 문화축제 ‘한국의 날’(Korean Festival)이 3년 만에 개최됐다. 행사 개막 전, 시니어 동포들로 구성된 아리랑예술단(사진)이 길놀이로 분위기를 끌어내고 있다.

 

시드니한인사회 최대 이벤트 ‘한국의 날 2022’, 3년 만에 개최

 

시드니 한인 동포들이 교류와 화합을 다지고 우리 한국문화를 지역사회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한국의 날’(Korean Festival) 이벤트가 3년 만에 다시 개최됐다.

시드니한인회(회장 강흥원)는 지난 9월 10일(토), 한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을 기해 한인회관 앞 공원에서 올해 한국의 날 행사를 갖고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위축됐던 한인 카뮤니티의 분위기 반전을 모색했다.

 

종합(한국의날 2).JPG

오프닝 세레머니 전, 한국의 날 축하를 위해 참석한 내외빈들이 이틀 전 서거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추모하는 묵념을 올리고 있다.

   

종합(한국의날 3).jpg

행사 현장에서 저마다의 축제를 즐기는 사람들. 3년 만에 개최된 올해 한국의 날 이벤트에는 동포 젊은이들의 참여도 두드러졌다.

   

3년 만에 다시 개최하는 만큼 한인회는 올해 이벤트에서 동포들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주력, 행사를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전처럼 우리 전통과 현대 대중문화를 소개하면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노래자랑과 올해 에이미 시상식에서도 최상의 결과(감독상, 남우주연상 수상 등)를 만들어낸 넷플렉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실제 게임을 이날 축제 현장에서 그대로 재현했다. 이 게임에는 이벤트 현장에 있던 동포는 물론 지역사회 거주민 등 180명이 참가를 신청하기도 했다.

 

종합(한국의날 4).jpg

개막식에 이어 선보인 K-Pop 댄스는 본격적으로 축제의 분위기를 끌어올리기에 충분했다. 다민족 팀원들로 구성된 M.Y Dance Team의 무대.

 

종합(한국의날 5).JPG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서 펼쳐진 다양한 게임은 이제 각 이벤트 현장에서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하는 콘텐츠로 자리잡았다. 이날 오후 펼쳐진 오징어 게임에는 즉석에서 무려 180명이 참가를 신청, 최고 인기 프로그램이 됐다.

 

이날 강흥원 회장은 개막식 환영사에서 “지난 2년 넘게 우리 동포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장이 없었던 가운데 3년 만에 한국의 날 행사를 다시 개최하게 되어 참으로 기쁘다”면서 “오늘 이 행사가 그간의 어려웠던 기억들을 털어내고 다시금 미래를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어 동포여러분 모두가 한가위처럼 풍성한 결실을 맺어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올해 이벤트에서는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주 총리가 직접 참석하지는 못했지만 축하 메시를 전해오기도 했다. 페로테트 주 총리는 이 메시지에서 “팬데믹으로 2년 넘게 혼란이 있었지만 다시 한 자리에 모여 한민족의 명절을 축하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한국의 날 축제는 NSW 주를 기반으로 하는 6만6,000여 한인들이 자신의 유산을 다른 이들과 공유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는 우리 주의 문화행사에서 중요한 일정으로 자리잡았다”고 격려했다.

 

종합(한국의날 6).JPG

한식과 함께 ‘Street Food’로 알려진 간식의 인기는 호주 현지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를 판매하는 스톨은 행사 시작부터 사람들이 몰렸다.

 

종합(한국의날 7).JPG

K-Pop 댄스의 인기는 꼬마 관람객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이외에도 시드니총영사관 홍상우 총영사, 재외동포재단 김성곤 이사장, 칼 아스포(Khal Asfour) 캔터베리 뱅스타운 시장, 샐리 시토(Sally Sitou) 리드 지역구 연방 의원, 스콧 팔로(Scott Farlow) NSW 자유당 상원의원, 제이슨 리(Jason Yat-sen Li) NSW 주 의원, 서태원 가평군수 등이 이날 행사에 직접 참석 또는 메시지를 통해 한국의 날 개최에 축하와 격려를 보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한국의날 1).jpg (File Size:165.7KB/Download:29)
  2. 종합(한국의날 2).JPG (File Size:109.8KB/Download:23)
  3. 종합(한국의날 3).jpg (File Size:102.7KB/Download:25)
  4. 종합(한국의날 4).jpg (File Size:118.6KB/Download:25)
  5. 종합(한국의날 5).JPG (File Size:109.9KB/Download:24)
  6. 종합(한국의날 6).JPG (File Size:125.3KB/Download:23)
  7. 종합(한국의날 7).JPG (File Size:64.1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54 호주 경찰, 시드니 서부 일대 폭력조직 체포작전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3 호주 제임스 패커-데이빗 긴젤, 각 500달러 벌금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2 호주 연방 경찰, NAB 직원에 자료 유출시킨 ABS 직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1 호주 결혼생활의 스트레스가 조기 사망 부를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0 호주 Budget 2014... 애보트, “세금 인상은 없을 것” 선거공약 파기 호주한국신문 14.05.15.
2749 호주 Budget 2014... 새로운 예산안이 미치는 부문별 영향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2748 호주 Budget 2014... 애보트 정부, “국민 기만한 것” 호주한국신문 14.05.15.
2747 호주 시드니 고급 부동산 시장, 거래량 증가로 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6 호주 한국 근•현대 사진전, ‘Korea: Then and Now’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5 호주 ‘북한인권주간’ 개막... 다양한 행사 펼쳐져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4 호주 재외동포재단, 두 번째 사진 공모전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3 호주 구세군 ‘2014 레드쉴드 어필’ 모금운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2 호주 대학생 수천 명 ‘예산안 반대’ 가두행진 벌여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1 호주 애보트 정부의 초긴축 예산안, ‘지지율 급락’으로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0 호주 호주 크리켓의 전설 돈 브래드먼의 배트, 6만 달러에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9 호주 NSW 정부, 연방 예산감축으로 병실 축소 불가피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8 호주 배우자 이민 프로그램, 인신매매 수단으로 악용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7 호주 머레이강, 지난 10년간 최다 익사사고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6 호주 NATSEM, “이번 예산안은 ‘공정-고통분담’과는 거리 멀어”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5 호주 와해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 ‘Dlasthr’는... 호주한국신문 1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