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카운슬 합병).jpg

현재 NSW 주 정부가 제안한 시드니 지역 카운슬 합병에 따른 지방의회 구획 변경 안. 정부의 계획에 따라 각 카운슬은 합병에 대한 입장을 오는 6월까지 주 정부에 제출해야 한다.


6월말까지 자발적 합병 여부, 정부에 통보해야

대다수 카운슬 반발 속 일부 지방의회, 협의 개시

 


NSW 주 선거 이전 계획이 나온 이래 대다수 지방정부의 반발을 불러일으킨 카운슬 강제합병은 2기 정부를 시작하는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수상에게 있어 골치 아픈 정책이자 가장 어려운 결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주 화요일(31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베어드 정부는 각 카운슬이 자발적으로 합병하는 것을 거부할 경우 ‘옵션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이래 카운슬 강제 합병에 대한 당(자유-국민 연립)의 입장 설명을 거부하고 있다.

 

이 문제는 이번 NSW 선거전에서도 중요하게 부각됐다. 국민당 소속의 베어드 측 의원인 존 바릴라로(John Barilaro)씨는 이번 선거 캠페인에서 자신의 지역구인 ‘서던 NSW’(southern NSW) 유권자들에게 “우리 지역에서의 카운슬 강제 합병은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신문은 이에 대한 베어드 수상의 확인을 원했지만 베어드 수상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회피했다고 전했다.

 

베어드 이전의 배리 오파렐(Barry O‘Farrell) 정부는 지난 2011년 NSW 주 선거에서 이 부분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즉 카운슬 강제 합병을 없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베어드 수상은 “시드니 지역에 너무 많은 카운슬이 있다”면서 “하지만 전임자(오파렐 수상)와 같이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합병 의지를 분명히 드러냈다.

 

시드니 북부 해안(north shore) 지역의 세 카운슬, 헌터스 힐(Hunters Hill)과 레인 코브(Lane Cove) 및 라이드(Ryde) 카운슬은 지난 주 성명을 발표, 베어드 수상에게 정부 입장을 명확히 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

 

주 정부의 강제 합병 추진 여부는 각 카운슬 자체의 합병에 대한 자유 의지에 의지에 달려 있다.

이 계획에 대한 주 정부 자문위원인 그레이엄 샌섬(Graham Sansom) 교수는 시드니 지역 카운슬 수를 3분 1, 즉 41개 카운슬을 18개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아울러 주 정부는 합병을 결정하는 카운슬에 대해 인센티브 제공을 제안하고 있다. 지난해 주 정부는 개협 방안을 발표하면서 최소 1천만 달러의 재정 지원을 약속했다.

 

녹색당은 합병을 거부하는 카운슬에 재정적 압박을 줄 것이라는 이유를 들어 ‘정부 뜻대로 하는 강제 합병’이라는 개혁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 정부의 개혁 방안에 따르면 각 카운슬은 오는 6월 말까지 주 정부의 합병 제안을 수용할 것인지 아니면 합병에 반대하는 타당하고 합리적인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

 

주 정부의 이 같은 카운슬 합병 계획에 시드니 지역 대다수 카운슬은 이에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혀 왔다. 하지만 이전까지만 해도 반대 목소리를 높이던 캔터베리(Canterbury), 뱅스타운(Bankstown), 쿠링가이(Ku-ring-gai) 카운슬 등은 합병을 전제로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문제에 대한 NSW 지역민들의 찬반 의견은 거의 동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페어팩스-입소스(Fairfax-Ipsos)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5%가 카운슬 수를 줄이는 데 반대한다는 의사를 보였으며 절반 가까운 48%는 카운슬 수가 너무 많다는 입장이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54 호주 올해 한호정경포럼, 한반도-미래 에너지 문제 등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1.
753 호주 독도사랑연합회-라메르에릴 공동, ‘독도음악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1.
752 호주 MCC 승원홍 부위원장, ‘Community Life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1.
751 호주 라이드 지역 다문화 커뮤니티와 함께 한 2018 Korean Festival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1.
750 호주 한인 청소년들, 올해도 ‘순국선열’ 기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1.
749 호주 NHTTA 연례 탁구 챔피언십, 전국 대회로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1.
748 호주 “K Food, 한류의 주역을 다시 한번 알린다” file melbstella 18.11.07.
747 호주 한인 동포 비즈니스 위한 워크숍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746 호주 동포자녀 청소년들이 들려주는 ‘그들의 일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745 호주 시드니서 즐기는 한국영화- ‘완벽한 타인’(Intimate Strangers)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744 호주 People- 40년 넘게 태권도 시범단 운영 이어온 태권도인 김명만 대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743 호주 재외동포재단, 동포지원 사업 수요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742 호주 콜먼 장관, “한인사회 현안 해결에 적극 협조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741 호주 한국선수들로 꾸려진 ‘질롱 코리아’ 창단 ... ‘호주프로야구리그’ 지형 흔드나 톱뉴스 18.11.19.
740 호주 시드니카운슬, ‘차이니즈 뉴 이어’ 대신 ‘음력설(루나)’로 톱뉴스 18.11.19.
739 호주 6.25 참전 회원들, 윤 총영사에 감사패 전달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738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QLD ‘워홀러’ 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737 호주 “조국 위해 헌신한 선열들의 열정과 희생 기억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736 호주 호주 공직 분야에 진출하려면? 주시드니총영사관, 강연회 열어 톱뉴스 18.11.25.
735 호주 “내 주량은?” 올바른 음주 문화 정착 필요해 톱뉴스 18.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