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폭력실태).jpg

NSW 주 법원의 가정폭력 판결 사례를 조사한 결과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처벌이 ‘솜방망이’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SW 법원 통계... 자율행동강령 1.45배, 명목처벌 1.8배 늘어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NSW 주 법원의 처벌이 다른 범죄자에 비해 ‘솜방망이’ 수준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일요일(22일) NSW 주 법원 자료를 인용한 선 헤럴드(The Sun-Herald) 보도에 따르면 가정폭력 가해자가 감옥에 수감된 빈도는 현저히 낮았으며, 수감됐다 해도 상당히 짧은 기간의 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엄연한 폭력임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이 아닌 위법 사범에 비해 사회봉사 등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자율행동 명령, 또는 집행유예 판결 사례가 많았다.

 

이는 치안 판사가 가정폭력 가해자에게 징역형을 선고하는 대신 이들에게 갱생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실제 징역형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판결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가정폭력 가해자 처벌에 관한 이번 조사는 NSW 주에서 실시된 첫 연구로 가정폭력 관련 가해자만을 대상으로 한 실태연구이기도 하다.

 

그리피스 대학 크리스틴 본드(Christine Bond) 박사는 연구 초반 결과가 실린 영국 범죄학 저널에서 사전 유죄판결, 범죄 발생에 대한 심각성 및 유죄 여부와 같은 가변적 상황에서도 가정폭력 관련 처벌은 ‘솜방망이’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 예로 가정폭력 사범이 교도소에 가는 경우는 거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며, 징역형도 평균 21일로 짧았다.

 

지난 달, ‘올해의 호주인’(Australian of the Year)으로 선정된 바 있는 가정폭력 피해자 로시 배티(Rosie Batty)씨는 “호주 전체가 (가정폭력이라는) 심각한 유행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으며, 자유당 상원의원이자 연방 여성부 미셸리아 캐시(Michaelia Cash) 차관도 이 의견에 동조했다.

 

이와 관련, 호주 범죄피해자동맹(Victims of Crime Assistance League)의 로빈 코터렐 존스(Robyn Cotterell-Jones) 대표는 보다 심각한 가정폭력을 당한 피해자를 감안하면 가해자에 대한 법원의 판결이 전혀 딴판이라는 것을 말해준다고 지적했다. 그는 “만일 법원에서 다른 범죄와 마찬가지로 가정폭력 사건을 심각하게 다루지 않는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여전히 ‘공격적 성향의 사람들이 폭력을 일으킨다’는 매우 다른 관점이 남아 있다”면서 “꽤 야만적인 범죄 행위에도 사회봉사 명령과 같은 판결이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사회봉사’ 등과 같은 처벌은 1.45배, 최소한의 징계 또는 명목적 처벌은 1.8배가 늘어났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법정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Women’s Domestic Violence Court Advocacy Service’의 헬렌 브레레튼(Helen Brereton) 대표는 가정폭력 희생자 보호와는 다른 판결이 나오는 모순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이어 “가정폭력의 경우 증명하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피해자에 대한 접근금지 명령(Apprehended Domestic Violence Orders)을 위반하는 사례도 최악”이라고 말했다. 브레레튼 대표는 또한 “현재 폭력 행위에 대해서는 2년의 징역형과 5천500달러의 벌금이 부과되지만 대부분의 사건은 사회봉사 명령 등으로 처리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브래드 하자드(Brad Hazzard) NSW 법무장관실 대변인은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법정 판결에 대한 언급은 피하면서 정부 차원에서 가정폭력에 대한 개혁을 추진할 것이라고만 밝혔다.

 


■ 폭력 관련 수치

-지난 2009년에서 2012년 사이 NSW 주의 개별 폭력 사건에 대한 유죄 판결 64,201건

-이중 4분의 1이 가정폭력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징역형 판결은 전체 사건의 2.14%(이는 다른 폭행사건 중 3.15%와 비교됨)

-가정폭력 가해자로 징역형을 받은 이들의 재소기간은 21일 이하

-연령별로는 높은 연령에서 더 많이 발생

-33세와 35세를 비교해 35세에서 더 많이 발생

-외국인 범죄 비율(17.4%)에 비해 내국인 범죄(18%)가 더 많음

-여성 가해자 비율은 매우 낮음

 


이유경 인턴기자 youkyong@hot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4 호주 “능력 있고, 일하는 ‘우리의 한인회’ 만들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653 호주 “한국의 교육제도 및 경제 발전에 크게 감동받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652 호주 피우진 보훈처장, 호주 거주 독립유공자 가족들 방문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651 호주 “남북간 긴밀한 협력으로 경제교류의 길 만들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650 호주 설경구-전도연 주연의 ‘세월호’ 영화, 시드니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649 호주 ‘오늘을 밝히는 오월, 진실로! 평화로!...’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648 호주 취재수첩- 한인회비 납부자 100명 안팎으로 한인회장 뽑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647 호주 호주서 6년 ‘도피 생활’ 했던 사기단에 동포 피해자도 ‘다수’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646 호주 2019 브리즈번 국제 학생대사 선발, 한국 대표는 이하은씨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645 호주 제32대 한인회장단 선거 ‘투표권’ 부여 사안, ‘임시총회’로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644 호주 시드니의 ‘City Talks’에 박원순 서울시장, 기조연설 맡아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643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홍상우 총영사 부임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642 호주 시드니 동포들, 5.18 민주화 운동 희생자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641 호주 취재수첩- 선거관리위원회 회심의 역작?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640 호주 2019 시드니 월드한식페스티벌 6월에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30.
639 호주 제임스루스농고 김채민, 호주 평화통일골든벨 우승 톱뉴스 19.06.05.
638 호주 ‘한인건강엑스포’ 풍성하고 유익한 의료건강 정보 제공 톱뉴스 19.06.05.
637 호주 채스우드 고공 아파트 살인범 서모씨, 최장 22년 6개월 징역형 톱뉴스 19.06.05.
636 호주 총영사관, 퀸즐랜드 주 순회영사 일정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35 호주 '가상 한국여행'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