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국문학주간 1).jpg

호주 현지에서 한국문학에 대한 위상이 높아지는 가운데 시드니한국문화원이 이달 말부터 2주 동안 ‘한국문학주간’(2023 Korean Literature Week) 행사를 마련했다. 이번 문학 행사에는 호주 도서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는 버켈로우 서점 패딩턴 지점(Berkelouw Books Paddington)이 함께 한다. 사진은 2023 한국문학주간 홍보 이미지. 사진 : 시드니한국문화원

 

호주 희귀서적 유명한 ‘Berkelouw Books Paddington’에서 다수 한국 작품 소개

영화화된 ‘파친코’-황석영 작가의 ‘해질 무렵’ 등... 한국문화 체험 등 부대행사도

 

호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한국문학에 대한 위상이 높아가는 가운데 해외문화홍보원(원장 김장호)과 주시드니한국문화원(원장 김지희, 이하 ‘문화원’)이 한국문학의 우수한 작품성을 보다 적극 홍보한다는 취지로 ‘2023 한국문학주간’(2023 Korean Literature Week) 행사를 개최한다.

이달 27일(월)부터 3월 12일(일)까지 2주 간 계획된 이번 행사는 시드니 도심 인근 패딩턴(Paddington)에 자리한 버켈로우 서점(Berkelouw Books Paddington, 19 Oxford St, Paddington NSW)에서 진행된다.

호주에서 가장 많은 희귀 서적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이 서점은 현지 문학인 및 문학계 종사자들,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는 곳으로, 문화원은 이번 문학주간 기간 동안 어린이 도서에서부터 권위 있는 문학상을 받은 작품 및 전 세계 독자들의 주목을 받은 한국계 해외 작가들의 작품 등 직접 선별한 총 33개 작품을 서점 내 메인 전시 공간에 비치,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보이는 작품에는 한국인 최초로 부커 인터내셔널상(International Booker Prize)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 ‘흰’, ‘소년이 온다’를 비롯해 2022년 애플 TV 시리즈의 원작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 이민진 작가의 ‘파친코’, ‘백만장자를 위한 공짜 음식’, 2022년 부커 인터내셔널상 최종 후보작인 정보라 작가의 ‘저주 토끼’, 황석영 작가의 ‘해질 무렵’, ‘바리데기’, 정유정 작가의 ‘종의 기원’, ‘7년의 밤’, 한국계 미셸 자우너 작가의 ‘H마트에서 울다’, 김애란 작가의 ‘두근두근 내 인생’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호주 현지에서 활동하는 동화작가들의 어린이 도서들까지 만날 수 있다.

문화원은 또한 한국문학주간를 기해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했다. 3월 1일(수) 저녁 6시에는 호주에서 모더레이터로 활발히 활동 중인 미케일라 칼로우스키와 한국계 호주인 코미디언 해리 전의 진행으로,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 북클럽이 진행된다. 3월 4일(토)에는 호주 현지 조각보 전문가인 전태림씨의 진행으로 색동 복주머니 만들기 워크숍과 어린이 대상 한복 종이접기 워크숍 시간이 마련되며 개막일인 2월 27일(월)부터 3월 5일(일)까지 한 주 동안에는 서점 내 ‘버켈로우 카페 1812’에서 한국식 다과가 판매된다.

이와 함께 전 세계 3대 동성애 이벤트 중 하나인 올해 ‘시드니 마디그라’(Mardi Gras) 기간에 맞춰, 한국문학주간 전 행사 기간 동안 서점 전면의 통유리는 한국 전통의 색동으로 장식된다.

 

종합(한국문학주간 2).jpg

시드니한국문화원은 올해 문학주간 동안 버켈로우 서점뿐 아니라 문화원 내 한옥 공간에서도 ‘한옥 북 카페’(Hanok Book Cafe: Books & Vinyl) 이벤트를 진행한다. 사진은 한옥 북카페 홍보 이미지. 사진 : 시드니한국문화원

   

한편 하이드파크(Hyde Park) 인근에 위치한 문화원에서도 한국문학주간 연계행사가 개최된다. 3월 6일(월)부터 10일(금)까지 문화원 내 상징적인 공간인 한옥을 활용한 ‘한옥 북 카페’(Hanok Book Cafe: Books & Vinyl) 행사로 소설, 시, 에세이, 그림책 등 문학주간 라인업에 포함된 다양한 장르의 도서를 이 한옥 공간에 비치하고, 한국적이면서도 편안한 레트로 감성의 LP 음반을 활용하여 참가자들이 독서와 음악 감상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이번 한국문학주간에 함께 한 버켈로우 서점의 자리아 파워(Xsarea Power) 매니저는 “패딩턴 지점에서 한국문학주간을 개최하게 되어 기쁘고 서점에서 판매되는 한국 도서와 한국 색동이 함께 어우러지는 디스플레이가 기대된다”면서 “문화원과 함께 진행하는 이번 특별행사에 많은 분들이 방문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김지희 문화원장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한국문학주간 행사가 시드니 중심부에서 개최되어 기대가 크다”며 “한국 문학을 사랑하는 많은 분들이 행사장을 찾아 독서를 즐기고 한국식 다과와 음악 등 한국 문화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전했다.

한국이 중점국가로 참가하는 ‘2023 브리즈번 작가 축제’를 비롯해 올해 작가 초청, 북클럽 등 다양한 한국문학 행사를 기획하고 있는 문화원은 향후에도 현지 문학 축제 및 유명 서점 등과 폭넓은 협력관계를 더욱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한국문학주간 일정

-기간 : 2023년 2월 27일(월) - 3월 12일(일)

-장소 : Berkelouw Books Paddington(19 Oxford St, Paddington NSW 2021)

-웹사이트 : https://koreanculture.org.au/2023-korean-literature-week/

 

▲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 북클럽

-일시 : 2023년 3월 1일(수) 저녁 6시-7시

-장소 : Berkelouw Books Paddington

-웹사이트: https://koreanculture.org.au/korean-book-club-cursed-bunny-by-bora-chung/

 

▲ 한국문화체험 워크숍

-일시 : 2023년 3월 4일(토)

-장소 : Berkelouw Books Paddington

-일정 : 색동 복주머니 만들기 워크숍(11:00-12:00, 13:00-14:00), 예약 필수 / 종이 한복 만들기 워크숍(14:30-16:00), 어린이 대상, drop-in only

-웹사이트 : https://koreanculture.org.au/2023-korean-literature-week/

 

▲ 한옥 북 카페(Hanok Book Cafe: Books & Vinyl)

-기간 : 2023년 3월 6일(월) - 3월 10일(금)

-장소 : 문화원(GF, 255 Elizabeth St SYDNEY NSW 2000)

-웹사이트 : https://koreanculture.org.au/hanok-book-cafe-books-vinyl/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한국문학주간 1).jpg (File Size:90.6KB/Download:21)
  2. 종합(한국문학주간 2).jpg (File Size:57.9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58 뉴질랜드 오클랜드 제17대 한인회장선거 '홍승필 당선' 일요시사 23.07.19.
3157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인회관 알박기 절대 불허한다. 일요시사 23.07.19.
3156 뉴질랜드 뉴질랜드 태권도의 대부 이정남 회장 所天 이민사회 '교민장'으로 장례 진행 일요시사 23.07.19.
3155 호주 “높게 강하게 도전하라”... 여자 월드컵 한국대표팀, 시드니서 마지막 담금질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154 호주 스토리 메이커이자 화가가 던지는 ‘나는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153 호주 후쿠시마 핵오염수 투기, “국제 해양법 재판소에 즉각 제소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3152 호주 동포 비즈니스 중심 이스트우드, 시드니 전역 20개 이상 ‘Nightlife’ 핫스폿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151 호주 “여름 대표 보양식... 금산의 자랑, 인삼 가득 정성 담은 삼계탕 준비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150 호주 한국전 정전 70년... 우리는 어떻게 호주 참전용사들을 기억해야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3149 호주 한국문화원, ‘시드니영화제’ 협력으로 일련의 한국문화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3148 호주 “긍정적 사회 변화를 위한 활동의 중요한 경험 중 하나... 기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3147 호주 올해 최고 수준의 K-Pop 커버 호주 댄스팀은? 채스우드 콩코스서 경합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3146 호주 “오월의 정신을, 오늘의 정의로!”... 시드니 한인 동포들, ‘5.18’ 의미 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3145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WONDER: Wordless Picture Books’ 전시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3144 호주 한국 외교부, 인천에 재외동포청 설치... 통합민원실은 서울(광화문)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3143 호주 Sydney Korean Festival, 팬데믹 극복하고 다시 Darling Harbour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3142 호주 “한인회관 재계약에 집중하겠다”... 강흥원-김재구 후보, 당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3141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민원 서비스 수수료, 카드로 결제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3140 호주 현 시대 한국 대표 작가들, 올해 ‘브리즈번 작가축제’ 주빈국 게스트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3139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의 두 번째 ‘한국문학주간’, 한국 문학 알리기 ‘성과’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