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호정상회담).jpg

금주 24일 뉴욕 유엔 양자회담장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스콧 모리슨 총리. 사진은 청와대 제공.

 

9월 24일 유엔 양자회담장에서 정상회담… 방산 및 자원개발 협력키로

 

뉴욕 유엔총회에 참석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24일(현지시간) 같은 목적으로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간에 방산과 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현지 및 한국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양국 정상은 약 30분간 진행된 회담에서 한국과 호주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서로 긴밀히 협력해왔음을 높이 평가하면서 앞으로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양국간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2014년 발효된 한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양국의 경제협력이 확대돼 왔다고 언급하며 모리슨 총리에게 호주의 국내 인프라 사업에 대한 한국 기업들이 참여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호주 군에서 추진 중인 방산 사업에 한국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호주는 한국전쟁에 1만7000명 이상을 파병한 전통 우방이자 진정한 친구”이고 “양국의 우정은 활발한 경제 교류와 인적 교류로 이어졌고 자원 및 인프라 분야의 깊은 협력 관계로 발전해왔다”고 평가했다. 또한 “앞으로 국방과 수소경제, 핵심 광물로 협력의 지평을 넓혀 진정한 동반자 관계로 나아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는데, 이에 대해 모리슨 총리는 “방산과 인프라 및 자동차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기술이 매우 우수하다”고 화답했다.

 

이어 양 정상은 한반도 정세에 대해서도 논의했는데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정착에 대한 호주 정부의 지지에 감사드린다”며 “국제사회의 노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가 앞당겨지도록 양국이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한 유해 발굴 사안에 대해 언급하면서 “(화살머리 고지에서) 지금까지 신원이 확인된 유해들은 모두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 호주군 참전자 유해 확인도 양국 간 협의를 거쳐 잘 진행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대해 모리슨 총리는 “유해발굴과 송환에 큰 힘을 쏟고 있는 한국 정부에 깊이 감사드린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성공하도록 앞으로도 변함없는 지지를 보내겠다”고 답했다.

회담에서 모리슨 총리는 “한국 정상이 호주에 온 지 10년이 됐다. 이번에 문 대통령께서 오신다면 많은 사람이 환영할 것”이라며 문 대통령을 호주로 초청했다. 모리슨 총리는 또 “(문 대통령이 방문한다면) 호주 대 한국의 축구 친선경기를 하면 어떨까 한다. ‘프레지던트 컵’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이에 대해 “과거에 한국이 호주에 져서 월드컵에 진출하지 못한 적이 있다. 만일 친선경기가 성사되면 꼭 이기겠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종합(한호정상회담2).jpg

호주 연방 총리실 또한 25일 보도 자료를 통해 모리슨 총리가 이날 회담에서 “한국 대통령을 여러 번 만났고 한국은 우리의 네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라고 말한 뒤, “한국이 참여하고 있는 호주내 인프라 구축 및 방산 조달 등 모든 프로젝트를 포함한 (양국 간) 경제 관계와 희토류 및 희귀 광물들에 대해 폭 넓은 파트너쉽 구축에 관해 상의한 좋은 기회였다”고 평했다고 전했다. 특히 총리실의 로사 스타씨스(Rosa Stathis) 홍보 담당관은 본사 편집부에 전화를 걸어와 이번 모리슨 총리와 문대통령간의 정상회담에 관해 호주 한인사회에 널리 홍보해 줄 것을 당부하는 등 한인사회에 대한 홍보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한국 청와대는 이날 양 정상이 민주주의, 시장경제, 인권 등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양국이 유엔 및 중견국 협의체인 믹타(MIKTA) 등 국제무대에서도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믹타(MIKTA)는 2013년 9월 제68차 유엔총회를 계기로 출범한 중견국 협의체로서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 호주가 소속되어 있는데 한국은 내년 믹타 의장국이다.

 

문 대통령과 모리슨 총리의 정상회담은 지난해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당시의 1차 회담애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자유-국민 연립당이 승리한 올해 5월의 호주 총선을 거쳐 모리슨 총리가 재집권한 이후로는 첫 번째 회담이다.

 

▶ 한-호주 정상회담 관련 청와대 브리핑 전문보기

https://www1.president.go.kr/articles/7254

 

이기태 기자 / francislee@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한호정상회담).jpg (File Size:48.0KB/Download:23)
  2. 종합(한호정상회담2).jpg (File Size:27.6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43 호주 제2회 한호예술재단(KAAF) ‘Art Prize’ 시상 호주한국신문 14.12.04.
2642 호주 시드니 도심 최고층 주거타운 계획 호주한국신문 14.12.04.
2641 호주 반세기만에 이뤄진 네 형제의 기적적인 재회 호주한국신문 14.12.04.
2640 호주 앤드류스의 빅토리아 노동당, 주 선거서 완승 호주한국신문 14.12.04.
2639 호주 “호주 청소년 대부분, 좋은 직장 경력 원한다” 호주한국신문 14.12.04.
2638 호주 NSW 주 정부, ‘베이비 박스’ 설치 검토 호주한국신문 14.12.04.
2637 호주 2013-14 회계연도 호주 경제, 시드니가 견인 호주한국신문 14.12.04.
2636 호주 경찰, ‘엑스터시’ 등 밀수 불법 마약 2.8톤 압수 호주한국신문 14.12.04.
2635 호주 ‘2015 Global Drug Survey’ 개시 발표 호주한국신문 14.12.04.
2634 뉴질랜드 2050' 뉴질랜드 해수면 30센티 상승 file 굿데이뉴질랜.. 14.12.07.
2633 뉴질랜드 이민업계, 무면허 에이전트 단속강화 요청 file 굿데이뉴질랜.. 14.12.07.
2632 호주 한인회, 북한 농아축구팀 환영 자리 마련 호주한국신문 14.12.11.
2631 호주 호주동포 대상, ‘종합 검진 서비스’ 혜택 마련 호주한국신문 14.12.11.
2630 호주 김봉현 대사, 멜번 동포단체와 간담회 호주한국신문 14.12.11.
2629 호주 ‘타임’지, ‘올해의 인물’로 에볼라 진료 의료진 선정 호주한국신문 14.12.11.
2628 호주 “포르노가 남성의 폭력성을 유발시킨다...” 호주한국신문 14.12.11.
2627 호주 “젊은이들, 부모보다 낮은 생활수준 직면할 수도...” 호주한국신문 14.12.11.
2626 호주 “전력사업 민영화되면 전기요금 연 100달러 인상” 호주한국신문 14.12.11.
2625 호주 호주 출신 젊은 교사들, 교사 부족 영국 학교서 ‘인기’ 호주한국신문 14.12.11.
2624 호주 호주 최초의 다리로 추정되는 교각 발견 호주한국신문 1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