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에 석유 및 관련 제품의 수입이 급증해 5년 만에 최대치에 달하면서 무역적자에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발표된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3월 석유 및 석유화학 제품 수입액은 전년 3월보다 88%인 2억9700만 달러가 증가한 6억3400만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2013년 12월의 4억5300만달러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석유류 수입액 증가 중 원유는 아랍에미리트와 말레이시아에서의 수입액 증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휘발유와 경유는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국 관계자는, 석유 및 관련 제품 수입은 자동차와 부품, 기계류 수입에 이은 국내의 3번째 수입 품목이며 보통 수입액이 월 단위로 크게 움직이지만 지난 3월말까지 수입액이 연간57억달러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한편 월간 수출은 전년 3월보다 5.8%인 2억6500만달러가 늘어난 49억달러에 달했는데, 특히 버터와 미가공 목재의 수출이 늘어났다.

 

버터는 전년보다 76%인 9500만달러가 늘어나 2억2100만달러에 달했는데, 특히 이란과 중국으로의 수출이 각각 3600만달러와 2300만달러어치로 두 나라로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이 같은 버터 수출 증가에는 국제적인 가격 상승 추세도 공헌했는데, 한편 임산물 수출은 전년 대비18%인 7000만달러가 증가해 4억6000만달러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전년보다 5400만달러어치가 늘어난 중국으로의 미가공 목재 수출이 큰 영향을 미쳤다.

 

반면 주력 수출품목 중 하나인 밀크 파우더는 월간 0.8% 증가에 그쳤는데, 수출국 중 알제리와 베트남으로의 수출이 늘어나면서 중국 시장에서의 감소폭을 메꿔줬다.

 

한편 3월 전체 무역수지는 86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3월의 월간 실적으로는 지난 2008년 3월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발생한 월간 적자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4 뉴질랜드 카드로나 스키장 “국내 최대 규모로 확장한다” NZ코리아포.. 18.07.12.
683 뉴질랜드 NZ 최저임금 등 인상 향후 5년간 계속... NZ코리아포.. 18.07.13.
682 뉴질랜드 온라인으로 구입한 총기, 문 앞에 그냥 두고 가버린 택배회사 NZ코리아포.. 18.07.14.
681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로 몰려든 전국의 ‘레고(Lego)마니아들’ NZ코리아포.. 18.07.14.
680 뉴질랜드 뉴질랜드 병원 직원들-매일 폭력에 노출되는 사건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679 뉴질랜드 키위 아기를 아프게 하는 매독 감염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678 뉴질랜드 CHCH를 무대로 활동했던 미국 NASA의 ‘하늘 천문대’ NZ코리아포.. 18.07.16.
677 뉴질랜드 무인 양심가게에서 예쁜 꽃들 훔쳐간 도둑 NZ코리아포.. 18.07.17.
676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인도로 가던 20대 나이의 국제선 탑승객, 심장마비로 숨져 NZ코리아포.. 18.07.17.
675 뉴질랜드 경찰의 자동차 추적 건수, 지난 8년간 60%이상 증가 NZ코리아포.. 18.07.17.
674 뉴질랜드 오클랜드 아파트 건설 붐, 올해 안에 2천 7백 세대 신축 NZ코리아포.. 18.07.17.
673 뉴질랜드 펭귄 포함한 남극 생물들, 플라스틱 위협에 노출돼 NZ코리아포.. 18.07.17.
672 뉴질랜드 중국인이 가고 싶은 나라 3위, 뉴질랜드 NZ코리아포.. 18.07.18.
671 뉴질랜드 NZ, 가계 생활비 비용, 지난 한해 동안 3.1% 늘어나 NZ코리아포.. 18.07.18.
670 뉴질랜드 주 4일 근무, 오클랜드의 교통 체증 완화에 도움될 수 있다고... NZ코리아포.. 18.07.18.
669 뉴질랜드 뉴질랜드 젊은이들, 벤처 사업 투자보다 주택 구입 위한 저축 NZ코리아포.. 18.07.21.
668 뉴질랜드 뉴질랜드 과학자들, 식물 유전자 변형 개발 가능성 소개 NZ코리아포.. 18.07.21.
667 뉴질랜드 이민자 간호사, 인종 차별과 문화적 갈등 계속돼 NZ코리아포.. 18.07.21.
666 뉴질랜드 미 달러 대비 키위 달러 가치 하락, 일부 소비재 가격 안정 NZ코리아포.. 18.07.23.
665 뉴질랜드 센터럴 오클랜드 임대 주택 공급 증가, 일부 임대료 인하 NZ코리아포.. 18.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