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Magic table 1).jpg

평평한 표면에서 조명을 통해 대화형 개임과 퍼즐을 즐길 수 있는 혁신적인 프로젝션 장치가 ‘Bankstown Library and Knowledge Centre’에 설치돼 어린이, 고령층, 치매증상이 있는 노인, 장애인 및 간병인 등 모든 연령대 거주민들에게 새로운 흥밋거리를 제공한다. 사진 : City of Canterbury Bankstown 제공

 

일명 ‘매직 테이블’... Bankstown Library and Knowledge Centre에 마련

 

첨단 조명 프로젝션 시스템이 뱅스타운 소재 ‘Bankstown Library and Knowledge Centre’에 설치돼 어린이, 고령층, 치매증상이 있는 노인, 장애인 및 간병인 등 모든 연령대 거주민들에게 새로운 흥밋거리를 제공한다.

이를 마련한 캔테버리 뱅스타운 카운슬(City of Canterbury Bankstown)에 따르면 CB 카운슬 지역의 다양성과 포용적 환경을 조성하려는 시 의회의 확고한 의지를 반영한다.

‘매직 테이블’(magic table) 또는 ‘토버타펠’(Tovertafel)이라는 이름의 이 설비는 평평한 표면에서 조명을 통해 대화형 개임과 퍼즐을 즐길 수 있는 혁신적인 프로젝션 장치이다.

CB 카운슬의 빌랄 엘-하예크(Bilal El-Hayek) 시장은 이 토버타펠이 대해 “사회적 작용, 인지 발달 및 신체 움직임 촉진은 물론 게임의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한다”고 말했다.

시장은 “우리 지역에 이 같은 놀라운 기술이 제공되어 매우 기쁘다”면서 “이는 모든 능력을 가진 개개인의 공통된 경험을 연결하고 새로움을 얻음은 물론 흥미를 제공함으로써 포용성에 대한 시 의회의 헌신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 새로운 조명 프로젝션 기술은 특히 치매, 자폐증 및 학습장애 등 인지 문제를 안고 있는 개인을 대상으로 신체적-정신적 사회활동을 촉진하는 데 맞춰 설계됐다.

고령의 노모를 돌보는 라켐바(Lakemba) 거주민 스티븐 매닝(Stephen Manning)씨는 토버타펠이 제공하는 정신적 자극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어머니가 이 매직 테이블에서 게임을 하며 재미를 느꼈고 손과 눈의 조화된 움직임을 연습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됐다”는 것이다.

 

종합(Magic table 2).jpg

CB 카운슬의 빌랄 엘-하예크(Bilal El-Hayek) 시장은 ‘Tovertafel’(사진)에 대해 지역사회 거주민을 위한 교육, 레저 자원 제공에 주력해 온 카운슬 노력의 하나라고 말했다. 사진 : City of Canterbury Bankstown 제공

   

CB 카운슬은 지역 내 공공도서관 및 지식센터에서 지역사회 거주민을 위한 교육, 레저 자원 등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

엘-하예크 시장은 “토버타펠은 서로간 장벽을 없애고 도서관 방문자 모두의 상호작용을 장려하며 독특하고 매력적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동안 CB 시 의회가 지속해온 이 사명과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Tovertafel’에 대한 상세한 사항 및 이의 가용성에 대한 내용은 카운슬 웹사이트 해당 페이지(cb.city/Tovertafel)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Magic table 1).jpg (File Size:157.7KB/Download:13)
  2. 종합(Magic table 2).jpg (File Size:77.3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6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5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4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3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2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1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0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9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8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7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6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5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4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3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2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1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0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9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8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