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미 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이 문화계와 정치권으로 거세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호주 국내적으로도 직장 내 성희롱 및 성추행 실태에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발표된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직장 역시 성희롱의 무풍지대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지만 미 투 운동이 여성들에게 큰 용기를 심어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드니 대학의 ‘여성과 직장 그리고 리더십 연구원’이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호주 직장 여성 10명 가운데 한 명꼴로 직장 내에서 성희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비슷한 시기에 샤인 로펌의 의뢰로 실시된 ‘센서스와이드’ 조사에서는 응답자 여성의 1/3 가량이 직장에서 성희롱이나 차별을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답했다.

또한 남성 34%, 여성 33%가 직장 동료가 성희롱이나 차별을 겪는 것을 목격했다고 답했으며, 남성 응답자의 1/8은 “성희롱 경험이 있다”고 실토했다.

이런 가운데 두 조사 모두에서 “미 투 운동을 통해 성희롱, 성추행, 성차별을 겪은 여성 직장인들이 자신들의 문제를 공개적으로 제기할 수 있는 용기를 얻은 것”으로 진단됐다.

하지만 피해 여성들의 절반 가량이 여전히 ‘불이익’이나 ‘소용없을 것’이라는 판단 하에 직장 상관에 보고하지 않고 있는 실태임이 확인됐다.   

이들 가운데 다수는 “보고 대상자 역시 성희롱이나 차별의 장본인이기 때문이다”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장애가 있거나 문화적 배경이 다른 경우 혹은 학업중인 여성 직장인들의 경우  성희롱을 경험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시드니 대학의 ‘여성과 직장 그리고 리더십 연구원’의 조사는 직장여성 2100명과 남성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센서스 와이드’ 조사는 2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시드니 대 리더십 연구원 조사에서는 또 대다수의 직장 여성들이 손꼽은 직장 내 최우선 숙제는 존중감 구축인 것으로 파악됐다.

여성 응답자의 80%가 “존중되는 직장 문화가 시급하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직장 상관으로부터 존중 받고 있다고 답한 경우는 2/3에 불과했다.

또한 남녀가 동등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답한 40 세 이하의 직장 여성 응답자는 1/3에도 못 미쳤지만 남성의 경우 절반에 이르렀다.

보고서는 “성희롱을 겪은 여성 직장인들의 대다수는 문제를 제기했을 경우 겪게 될 불이익에 대한 우려와 고용주가 단호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등으로 문제 제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에 발표된 논문의 공동 저자인 엘리자베스 힐 박사는 “직장 여성 성희롱 예방을 위한 정부 차원의 공공정책 수립이 시급하며 젊은 여성들의 포부를 도울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미투 운동(Me Too movement)은 2017년 10월 미국에서 하비 와인스타인의 성폭력 및 성희롱 행위를 비난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를 끌게 된 해시태그(#MeToo)를 다는 행동에서 시작됐다.

이 해시태그 캠페인은 사회 운동가 타라나 버크가 사용했던 것으로, 할리우드 배우 알리사 밀라노에 의해 대중화됐다.

알리사 밀라노는 여성들이 트위터에 여성혐오, 성폭행 등의 경험을 공개해 사람들이 이러한 행동의 보편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독려했던 것. 이후, 수많은 저명인사를 포함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그러한 경험을 밝히며 이 해시태그를 사용했다. 이후 이러한 운동은 전 세계적으로 퍼지게 됐고 대한민국 사회를 강타했다.

한국에서는 현직 검사인 서지현 씨가 JTBC 뉴스룸에 출연해 검찰 내의 성폭력 실상을 고발하면서 전 영역으로 확대됐다.

직후, 연극연출가 이윤택에게 성추행을 당했다는 고발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널리 퍼지면서 '위력에 의한 성폭력' 피해가 대한민국을 강타했다.

이후 시인 고은, 극작가 오태석, 배우 조민기, 배우 조재현, 배우 오달수 등 가해자로 지목된 인물은 20여 명으로 늘어났다.

급기야 2월 2018년 2월 26일 문재인 대통령이 "미투 운동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피해 사실을 폭로한 피해자들의 용기에 경의를 표하고, 미투 운동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

3월 2일에는 미성년자 단원을 성폭행한 혐의의 극단대표 '조증윤'이 구속됐고, 안희정 충남지사가 자신의 수행정무비서인 김지은 씨를 성폭행한 의혹으로 도지사직에서 물러나는 사태로 비화됐다.

 

http://topdigital.com.au/node/5493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57 호주 NSW 주, 해외 입국자 대상 코로나19 검역 절차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6 호주 연방정부, 해외여행자 위한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5 호주 연방정부, ‘비자 취소’ 권한 강화를 위한 ‘인성검사’ 법안, 재도입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4 호주 호주 국경 다시 열린다지만... 유학생들 “호주로 돌아갈 매력 잃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3 호주 연방정부의 디지털 백신접종 증명서, ‘Service NSW'에 통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2 호주 스트라스필드 지역구 조디 맥케이 NSW 주 의원, 사임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1 호주 농업부 장관, "NSW 주의 입국자 검역 폐지, 농장 인력 확보 기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0 호주 봉쇄 조치 기간 중 일자리 찾기 포기 늘어나... 실업률, 소폭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49 호주 주택가격 상승 속도, 다소 둔화… 연간 성장률은 30년 만에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4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헌터스 힐의 낡은 주택, 잠정가격에서 33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47 호주 NSW 공공보건 명령 1단계 완화 조치, 이번 주부터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6 호주 ‘판도라 페이퍼즈’... 해외 불법 자금에 잠식당한 주요 호주 부동산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5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1단계, “지방 지역 여행은 아직 불허...”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4 호주 “면역력 심각하게 저하된 이들, 세 번째 COVID-19 백신접종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3 호주 NSW 주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이벤트, 11월부터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2 호주 호주 국경 제한 완화 발표, 11월 이후 해외여행 가능해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1 호주 부스터샷은 언제 맞아야 하? 또한 백신접종 면제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0 호주 ‘바이러스’ 록다운 상황 속, 소규모 ‘북클럽’ 활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39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정부의 새 내각, ‘안전과 회복’에 초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38 호주 6월 분기 부동산 판매 수익성, 10년 만에 최고 수준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