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감염 1).jpg

모나시대학교(Monash University) 간호-조산학과 부교수인 필립 루소(Philip Russo) 박사팀의 조사 결과 입원 환자 10명 중 1명이 병원에서 요로 감염, 폐렴 등에 감염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이를 모니터하는 국가 시스템이 없어 감염 데이터 및 대응 능력에서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다.

 

모나시대학 연구팀 조사... ‘감염 추적 국가 시스템 부재’ 지적

 

병원은 환자들이 질병의 치료를 위해 찾는 곳이다. 하지만 최근 호주 모나쉬 대학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 결과 국내 환자 10명 중 1명이 병원에서 요로 감염, 폐렴 등 질병에 감염되고 있음이 알려져 호주 의학계와 시민사회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지난 7월 이 문제를 집중 취재한 시드니 모닝 헤랄즈지의 보도를 정리 소개한다. [편집자 주]

 

지난 7월1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의학 저널인 ‘Journal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nfection Control’에 게재된 연구 자료를 인용, 보도하며 “쉽게 예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벌어지는 병원 감염은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고, 환자의 증상을 더 심하게 하는가 하면 병원 자원의 손실도 초래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전했다. 또한 저널을 인용하여 “그럼에도 호주는 모든 유형의 병원 감염을 추적하는 국가 시스템이 없으며, 다수의 병원에서는 UTI(urinary tract infections. 요로 감염증), 폐렴(pneumonia) 등 가장 흔한 집병 감염에 대해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는 지난 2018년 8월부터 11월 사이에 2,767명의 성인 급성 환자를 대상으로 특정한 날, 주요 도시 및 지역 허브 소재 19개 대형 병원의 모든 감염 비율을 조사한 것이다.

조사 결과 환자의 9.9%가 병원 감염이 있는 것으로 확인했으며, 특히 273명의 환자에게서 363건의 감염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일부 환자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질병에 감염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같은 감연 관련 조사는 호주에서 30년 만에 처음 실시된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가장 흔한 감염은 외과 수술로 인한 상처, 요로 감염 및 폐렴이었고, 이 수치는 환자들에게 벌어진 모든 감염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모나시대학교(Monash University) 간호-조산학과 부교수인 필립 루소(Philip Russo) 박사팀이 진행한 것으로, 선임연구원인 루소 박사는 “모든 종류의 감염을 모니터하는 대부분의 OECD 국가와 달리 호주는 병원에서 얻은 UTI와 폐렴에 대한 국가적 감시 시스템이 없어 감염 데이터 및 대응 능력에서 큰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같은 감염은 감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의료 시스템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면서 “호주의 모든 병원에서 병원 감염자를 체계적으로 추적하기 위한 국가 감시 프로그램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루소 박사는 “소규모 시설은 물론 사립 병원, 소아과 및 암 전문 센터 등 모든 의료 시설에서 이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며 “국가적 모니터 프로그램이 없으면 현 예방 전략의 효과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루소 박사에 따르면 혈류 감염을 추적하는 국가 프로그램(특히 슈퍼 박테리아인 황색포도구균-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이 있기는 하지만 특정 감염만 추적할 뿐이고, 또 각 주(State) 및 개별 병원 수준의 감시 프로그램 역시 선별된 몇 가지 유형의 감염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

 

루소 박사팀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의 감염 비율은 싱가포르(11.9%), 일본(10.1%)보다는 낮았지만 스코틀랜드(4.6%), 스웨덴(5.6%), 유럽질병예방센터(European Centre of Disease Prevention. 6% )보다는 크게 높은 수준이었다. 이들 유럽 국가에서는 매 4년마다 국가적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또한 이번 조사에서 대상 환자의 약 10%가 슈퍼버그(superbugs. 항생제로 쉽게 제거되지 않는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했는데, 예를 들어 큰 정맥주사 또는 요도관(urinary catheter) 의료기기가 필요한 환자는 이 장치가 없는 환자에 비해 감염 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중환자실(intensive care units)에 입원한 환자 4명 중 1명은 병원에서 감염이 진행됐다.

루소 박사는 호주 의료 관련 위원회 중 하나인 ‘Australian Commission of Safety and Quality is Healthcare’(ACSQHC)에서 이번 연구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는데 ACSQHC는 감염 예방 및 통제 기준을 전하는 기관이다.

 

ACSQHC의 수석 의료 책임자인 로버트 허크스(Robert Herkes) 박사는 “폐렴 환자를 격리시키고 불필요한 카테터(catheter) 사용을 줄이는 등으로 병원 감염률을 낮추는 것은 오랜 기간 호주 의료 시스템의 주요 초점이었다”면서 “현재 호주 병원의 98%가 항생제의 적절한 사용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고 이는 지난 2010년 첫 번째 표준이 발표되었을 당시의 36% 감염률에 비해 상당히 개선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루소 박사는 “이렇게 수집한 감염 데이터는 결함이 있고 신뢰하기도 어렵다”는 의견이다. “항생제를 처방하지 않은 환자의 감염을 놓칠 수 있으며 조정된 국가 프로그램의 통일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허크스 박사는 국가적 감시 프로그램 도입은 잠재적 이익과 비용이라는 균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무엇보다 우선순위는 각 병원들과 각 주(State) 및 테러토리(Territory) 수준에서 일상적 감시와 감염 관리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감염 1).jpg (File Size:54.7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17 호주 원내이션 당 신임상원의원 ‘먹튀’ 파동….내홍 ‘심화’ 톱뉴스 18.01.26.
3216 호주 ‘설상가상’ 살림 메하저 철장행 …범죄 공모죄 톱뉴스 18.01.26.
3215 호주 시드니 전철노조 29일 파업 계획 취소…불씨는 여전 톱뉴스 18.01.26.
3214 호주 테니스 역사를 뜯어고친 대한민국 청년 정현 톱뉴스 18.01.26.
3213 호주 <2018 올해의 호주인> 물리학자 미셸 시몬스 교수 수상 톱뉴스 18.01.26.
3212 호주 G’Day, Australia Day..호주 최대의 국경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톱뉴스 18.01.26.
3211 호주 NSW 전체 땅 값 ‘$1조7천억 톱뉴스 18.01.26.
3210 호주 수 만 명의 관객이 주목하다, 테너 사이먼 김 톱뉴스 18.01.26.
3209 호주 2018년 자신감의 ‘종결자’는 외모 -외모의 기본은 헤어스타일과 패션 톱뉴스 18.01.26.
3208 호주 책으로 인테리어를, 이렇게 멋질수가! 톱뉴스 18.01.26.
3207 호주 ‘마음을 나눠요’ 캄보디아 뉴스브리핑 정인솔 편집장 톱뉴스 18.01.26.
3206 호주 정현 발바닥 부상 투혼…"물집 속의 물집" 톱뉴스 18.01.29.
3205 호주 보즈니아키, 첫 메이저 대회 우승...할렙 '분루' 톱뉴스 18.01.29.
3204 호주 페더러, 호주오픈 패권…사상 첫 메이저 대회 20회 우승 '금자탑' 톱뉴스 18.01.29.
3203 호주 시드니 명문 사립학교 수업료 3만7천 달러 돌파 톱뉴스 18.01.29.
3202 호주 호주로 몰리는 부유층 이민자…그 이유는? 톱뉴스 18.01.30.
3201 호주 작년 12월 분기, 호주 물가상승 1.8%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200 호주 크라운 그룹, 이스트레이크에 새 도심 휴양지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9 호주 NSW 주 정부, 5세 이하 어린이에 무료 독감예방 주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8 호주 은퇴한 ‘베이비부머’ 등의 이주로 지방 도시 주택가격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