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진화론).jpg

오늘날의 인류는 환경에의 적응 과정을 통해 진화해 온 것인가, 아니면 신(God)의 의도에 따른 것인가. 호주 생물학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지난 32년간의 장기 설문조사 결과는 ‘진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NSW대학교 마이크 아처 교수, 창조론-진화론 장기 조사

 

호주 대학에서 생물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는 흥미로운 조사 결과나 나왔다. 특히 이 조사는 한 시대의 학생들에 대한 인식이 아니라 32년 전인 1986년부터 매년 이어져 왔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이에 따르면 조사가 시작된 첫 해(1986년) 창조론을 부정한 학생은 전체의 25%에 불과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진화를 통해 오늘날의 인류가 존재했다’고 인식하는 이들의 비중이 높아져 지난해 조사에서는 62%에 달했다.

NSW대학교 마이크 아처(Mike Archer) 교수는 지난 1986년부터 각 대학 생물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신(God)이 인류 진화에 기여했는지 여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아처 교수는 “학생들에게 ‘진화의 과학을 가르치는 것이 시간 낭비는 아닌가’ 하는 데 생각이 미쳤고, 그래서 생물학을 전공하는 이들 중 어느 정도가 ‘창조론’을 믿고 있는지에 대해 알고 싶었다”는 말로 이 조사를 진행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아처 교수는 조사를 시작하면서 △1만 년 전 신이 인류를 창조했다(창조론), △신은 수백 만 년 전부터 인류의 진화를 이끌었다, △신은 인류 진화와 관련이 없다,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해 언급할 의견이 없다 등 네 가지 항목을 제시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물었다.

아처 교수는 “첫 해 조사에서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창조론’을 믿는 학생들의 비율이 10%에 달한 것이다. 아처 교수는 “내가 알고 있는 창조론자들은 이 조사 결과를 보고 ‘앞으로 이 비중은 더 높아질 것’이라는 말을 했다”면서 “그래서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보고자 같은 내용의 조사를 계속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 God vs evolution; 호주 대학생(생물학과)들의 생각은?

▲ 신은 진화에 관여하지 않았다

1986 : 25%

1988 : 36%

1990 : 28%

1992 : 37%

1994 : 42%

1996 : 41%

1998 : 37%

2000 : 37%

2002 : 44%

2004 : 46%

2006 : 43%

2008 : 41%

2010 : 48%

2012 : 55%

2014 : 55%

2016 : 62%

2017 : 62%

 

▲ 신이 인류 진화를 주도했다

1986 : 50%

1988 : 47%

1990 : 54%

1992 : 38%

1994 : 43%

1996 : 45%

1998 : 43%

2000 : 43%

2002 : 36%

2004 : 32%

2006 : 36%

2008 : 31%

2010 : 34%

2012 : 29%

2014 : 26%

2016 : 24%

2017 : 25%

 

▲ 신이 인류를 창조했다(창조론)

1986 : 10%

1988 : 17%

1990 : 11%

1992 : 14%

1994 : 12%

1996 : 12%

1998 : 10%

2000 : 8%

2002 : 15%

2004 : 12%

2006 : 11%

2008 : 12%

2010 : 7%

2012 : 8%

2014 : 7%

2016 : 5%

2017 : 4%

 

▲ 잘 모르겠다

1986 : 15%

1988 : 0%

1990 : 7%

1992 : 11%

1994 : 3%

1996 : 2%

1998 : 10%

2000 : 12%

2002 : 6%

2004 : 10%

2006 : 10%

2008 : 16%

2010 : 11%

2012 : 9%

2014 : 12%

2016 : 8%

2017 : 9%

(이 조사는 1986년부터 2017년까지 생물학과에 입학한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한 자료임)

Source: M.Archer. 과학저널 ‘Evolution: Education and Outreach’ 게재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진화론).jpg (File Size:62.3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77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화제의 매물- 도심 인근 숲 속의 외딴 주거지, 카슬크랙 소재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76 호주 ‘NSW Fair Trading’, 소비자 권리 교육자료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75 호주 시드니 부동산 침체와 달리 지방 도시 주택 가격은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74 호주 올해 ‘멜번컵’ 경마대회, 폭우 인한 악천후 속 최악의 경주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73 호주 새 ‘피시마켓’ 최종 디자인 공개... 생선비늘 표현한 지붕 특징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72 호주 호주, 25개월째 사상 최저 기준금리 수준 이어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71 호주 광역시드니, 세입자 비율 높아... 40% 이상 임대주택 거주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70 호주 영국 방문 호주인들, 내년부터 ‘빠른 입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69 호주 농장 임시노동자 임금착취 ‘최악’, 30%가 시급 12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68 호주 시드니 야간 경제 활성화 차원, ‘24시간 쇼핑 구역’ 고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67 호주 “지난 10년 사이 임금상승, ‘안정적’이었다...” 과연 사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66 호주 호주 ‘워킹홀리데이 비자’, 최대 3년까지 체류 가능해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8.
2565 호주 ‘서퍼스 파라다이스’ 1단계 ‘루비1’ 완공, 일반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564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거리 안전’ 위해 3만 달러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563 호주 마약밀매 ‘발리 나인’ 일원 레나이 로렌스, 석방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562 호주 ‘바늘 딸기’ 충격 이어 이번에는 배에서도 바늘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561 호주 올해 최고의 자동차는... ‘Drive Car of the Year’- 2018 Preview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560 호주 ‘에어비앤비’ 숙소들, 임대수요 많은 지역 세입자 ‘압박’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559 호주 글로벌 도시 임대료 조사, ‘피트 스트리트 몰’ 세계 8위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
2558 호주 퀸즐랜드 경찰, 충격의 ‘딸기 바늘 테러’ 용의자 1명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8.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