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노인그룹 1).jpg

85세 이상 고령의 운전자들에게 매 2년마다 운전면허 테스트를 실시하도록 하는 NSW 주 도로교통 규정에 대해 ‘연령 차별’이라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85세의 운전자 셜리 베인스씨. 베인스씨 또한 같은 생각을 가진 이들 중 하나이다.

 

시니어 단체, 문제 지적... 고령 운전자 사고 비율도 만만찮아

 

60년째 자동차 운전을 해 온 셜리 베인스(Shirley Bains)씨는 85세 생일을 앞두고 운전면허 시험을 치러야 했다.

NSW 주가 85세 이상 고령자에게 2년마다 운전면허 테스트를 실시하도록 한 규정에 대해 베인스씨는 “분명한 연령 차별”이라고 주장했다.

베인스씨는 “이는 시간낭비일 뿐”이라며 “나는 내가 운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뿐 아니라 실제로 운전도 잘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나이 든 운전자들의 자동차 사고와 치명적 부상도 늘어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지난주 금요일(9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고령자에게 운전면허 테스트를 강조하는 NSW 주의 규정과 함께 고령자 단체의 주장을 언급, 눈길을 끌었다.

호주 NSW 주와 미국 일리노이(Illinois) 주는 전 세계 국가나 주(state)에서 나이 든 고령자에게 정기적으로 운전면허 시험을 요구하는 두 곳이다.

고령연금 및 수퍼연금 수령자 통합 단체인 ‘Combined Pensioners and Superannuants Association’(CPSA)의 정책조정관인 폴 버스티지(Paul Versteege)씨는 “75세가 되면 자동차 운전을 위해 매년 의사의 검진을 얻도록 요구하는 것은 고령자에 대한 테스트 차별”이라고 주장했다.

NSW 주의 85세 이상 고령 운전자는 약 6만5천명으로 추정된다. 이들 모두가 베인스씨처럼 한 번에 테스트를 통과할 만큼 능숙한 것은 아니다. 매주 운전면허 테스트를 치르는 233명 가운데 58명은 이를 통과하지 못한다. 주된 이유는 과속이나 신호위반 등 도로교통 법규를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다시 치를 수는 있다.

NSW 주 도로안전 서비스 당국인 ‘Centre for Road Safety’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4년 사이 85세 이상 고령의 운전면허증 소지자는 54%가 늘어났으며 이들의 운전 중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300%가 증가했다.

75세 운전자들의 사고도 늘어나고 있다. 이들 중 치명적 충돌사고는 지난 5년 사이 25%가 증가했으며, 60세에서 64세 사이 운전자의 경우 이 같은 사고 비율은 40%가 늘었다.

‘Centre for Road Safety’의 버나드 칼론(Bernard Carlon) 국장은 “베이비붐 세대가 이미 은퇴세대가 되면서 고령의 운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안타깝게도 우리는 이 연령층의 운전자들 사이에서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사고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면서도 “젊은층 운전자 집단에서의 사고가 부풀려 있듯 이 연령대의 교통사고 또한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고령의 운전자들 가운데 90%가량은 85세 이상이 되더라도 계속 자동차를 직접 운전하고자 하는 이들이다. 이에 따라 NSW 주는 집에서 쇼핑센터까지 이동하거나 집 주변을 크게 벗어날 수 없는 또 하나의 운전면허증 발급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 운전면허증은 85세 이상의 고령자가 2년마다 실시하는 테스트와 관계없이 ‘운전 가능’이라는 의사의 검진만 있으면 된다.

이런 가운데 CPSA의 베스티지 대표는 “정부가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부상 및 사망 수치를 부풀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미숙한 운전자를 도로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며 “하나는 75개 항목 이상의 의료 검진, 다른 하나는 이중벌점(demerit points) 제도”라는 것이다. 그만큼 고령이 운전자들이 운전면허를 취득하는 과정이 ‘괴롭힘’ 수준이라는 주장이다.

베인스씨는 “만약 고령자의 운전이 위험하다면 집 주변으로 제한하는 짧은 거리의 운전도 허가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즉 정부가 도로안전을 심각하게 생각한다면, 가벼운 치매증상이나 다른 건강상의 문제를 가진 이들에게 ‘제한된 면허’(집 주변에서만 운전을 허용하는)를 발급하는 허점도 해결해야 한다는 얘기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노인그룹 1).jpg (File Size:37.0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7 호주 지난해 호주 주택가격 상승, 전 세계 평균치보다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256 호주 NSW 주 정부, 테러 대비해 경찰 공권력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 호주 고령자 운전면허 필수 테스트, “연령 차별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254 호주 호주인들이 강변 주택에 매료되는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253 호주 중국 거대자본, 호주 교육-정치계 개입 우려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252 호주 ‘F6 터널’ 환기설비, 학교 인근 설치로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251 호주 ‘Careers Australia’ 파산... 두 학과, 타 학교에 매각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250 호주 ‘Queen’s Birthday’ 연휴로 6월 2주 경매, 다소 침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249 호주 멜번서 총기 인질극... 호주, 테러 공포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48 호주 호주인 10명 중 7명, “자녀의 삶, 더 악화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47 호주 호주 7개 대학, QS 대학평가서 100권 내 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46 호주 발리 마약사범 샤펠 코비는 호주로 돌아왔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45 호주 NSW, 첫 주택구입자 인지세 면제 범위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44 호주 적정가격 주택, 시드니 도심서 75킬로미터 벗어나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43 호주 국세청, “ATO 사칭 세금 사기 조심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42 호주 ‘식량위기’ 불안감 속, 가구당 음식물 낭비 3천800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41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공사 또 지연, 주변 상가들 피해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40 호주 호주 청량음료, 높은 포도당 수치로 당뇨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39 호주 “나이가 많다고? 나는 정직한 노동자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238 호주 ‘6월’ 주말경매 매물 주택, 올해 첫 주 789채 ‘등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