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종교차별 법안 1).jpg

종교적 이유로 인한 차별을 금지하는 내용의 ‘religious discrimination bill’이 의회에 상정했다. 종교적 신념에 따른 행동(다른 이들에게 위협을 가하지 않는 범위에서)에 차별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 법안의 요지이다. 사진은 지난 11월 25일, 캔버라 의회에서 법안을 설명하는 모리슨(Scott Morrison. 사진 중앙) 총리.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개인의 신념,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 다양한 종교적 전통 보호 강화 취지

 

연방 모리슨(Scott Morrison) 정부가 종교적 이유로 인한 차별을 금지하는 내용의 ‘religious discrimination bill’을 의회에 상정했다. 이런 가운데 집권 자유당 내 온건파 의원들은 종교적 이유뿐 아니라 동성애 학생 및 교사들의 보호를 위한 ‘반 성 차별’에 대해서도 정부의 즉각적인 행동을 촉구했다.

종교적 이유로 동성애자 차별을 막는 규정은 현 모리슨 총리가 공약 중 하나로 제시했던 것으로, 이미 수년 전 초안이 작성된 바 있다.

지난 11월 25일(목) 모리슨 총리는 의회에서 이 종교차별 금지 법안을 상정하면서 “신앙을 가진 이들이 성적 선호로 인한 차별로부터 보호받는다는 ‘확고한 자신감’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모리슨 총리는 “다양한 종교적 전통을 가진 많은 호주인들이 학교나 기업 내에서 만연된 ‘왕따 문화’(cancel culture)에 대한 종교적 보호 부족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시크교도(Sikh)가 터번 때문에 차별받아서는 안 되며, 목에 건 십자가를 이유로 마론파 교도(Maronite. 동방 의식을 채용하고 있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일파), 직장에서 업무용 책상 서랍에 기도용 매트를 마련해 두는 무슬림 직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모리슨 총리가 언급한 ‘cancel culture’는 밀레니엄 세대를 중심으로 미국에서 시작된 온라인 ‘왕따’ 형상을 말하며, 보다 정확한 사전적 의미는 ‘공적 인사에 대한 지지를 요구하거나 철회하는 지역사회의 태도’(the attitudes within a community which call for or bring about the withdrawal of support from a public figure)로 정의되지만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특정인을 대상으로 한 따돌림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지난 2019년 호주 국립사전센터(Australian National Dictionary Centre)가 ‘올해의 단어’로 선정한 바 있다.

이번에 상정된 법은 종교적 신념(statements of belief)을 가진 국민을 기존 국가 차원의 ‘반 차별법’(discrimination laws)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그 ‘종교적 신념’이 ‘개인, 집단을 위협하고 괴롭히거나 비난하지 않는 경우’에만 적용된다.

이 법에 따라 특정 종교기관이 설립, 운영하는 학교나 단체는 직원을 고용할 때 같은 신앙을 가진 이를 우선할 수 있지만 해당 기관은 종교적 견해가 어떻게 시행되는지를 설명하는 명확한 공공 정책을 세워야 한다.

모리슨 총리는 이 법안에 대해 “현명하고 균형 잡힌 것”이라고 말했다. 총리는 “신앙과 신념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관용과 성숙한 사회의 산물”이라며 “우리(호주)는 언제나 그렇듯 자유와 그에 따른 책임의 균형을 유지한다”고 강조했다.

 

종합(종교차별 법안 2).jpg

하원 의회에 상정한 종교 차별 금지 법안은 지난 2019년 연방 총선에서 모리슨 총리가 내놓은 공약 중 하나이다. 사진 : Unsplash / Aaron Burden

   

야당 내각의 법무 담당인 마크 드레이퍼스(Mark Dreyfus) 의원은 관련 성명에서 “우리 노동당은 이 법안을 주의 깊게 검토하고 지역사회와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드레이퍼스 의원은 “노동당은 호주인들이 종교적 신념이나 활동으로 인해 차별받지 많도록 하고자 한 연방정부의 차별금지 프레임워크 확장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또한 노동당은 당 소속 상-하원 의원으로 공동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이 법안을 면밀하게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모리슨 정부는 이날 성정한 이 법인이 다음 달 첫 주 하원에서 통과되어 상원에 회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다수 종교단체들은 연방정부의 이 법안을 환영하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LGBTIQ(lesbian, gay, bisexual, trans and gender diverse, intersex, and queer and questioning people) 옹호단체는 특히 동성애 학생, 종교계 학교 교직원들에게 어떤 의미일런지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법안 상정을 발표하면서 모리슨 총리는 “이 법안의 모든 내용은 성적 취향이나 성 정체성을 근거로 한 어떠한 형태의 차별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한다”고 설명했다.

총리는 또한 “이 법안에서 그 같은 내용은 어떤 것도 발견하지 못할 것”이라며 “그런 차별은 우리 교육 시스템에서 용납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총리의 발언에도 불구하고 집권당(자유-국민 연립) 내 일부 온건파 의원들은 지난 2018년 성차별 법을 변경하여 성적 취향이나 성 정체성으로 인해 퇴학 당하는 학생을 보호하겠다는 약속대로 모리슨 총리가 곧바로 행동할 것을 촉구했다.

모리슨 총리는 이 법안 검토를 이미 언급했지만 자유당 백벤처(backbencher. 당내에서 주요 직책을 맡지 않은 평의원) 트렌트 짐머만(Trent Zimmerman) 의원은 “너무 오래 시간을 끈다”고 주장했다. “아직도 학교가 성적 이유(성 취향, 성 정체성)로 학생을 퇴학시킬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 불안하다”는 게 짐머만 의원의 설명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종교차별 법안 1).jpg (File Size:91.6KB/Download:3)
  2. 종합(종교차별 법안 2).jpg (File Size:21.2KB/Download: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97 호주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 속, 호주인의 소비 방식에 ‘극단적 차이’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96 호주 학생들의 ‘읽기 능력’... 국제 평가에서 영국이 호주를 능가한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95 호주 “향후 호주 일자리, 에너지-방위산업-의약품 부문에서 크게 늘어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94 호주 호주 겨울 시즌, 최대 규모 빛의 축제... Your A-Z guide to ‘Vivid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93 호주 종교재단 학교 선호 힘입어 지난 10년 사이, 사립학교 등록 35%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92 호주 시드니 이너웨스트 주택 10채 중 1채는 ‘빈집’... 지방의회, 세금부과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91 호주 원주민 작가 데브라 단크, 논픽션 회고록으로 총 8만5천 달러 문학상금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90 호주 NSW 인지세 개혁... ‘선택적 토지세’ 대신 ‘인지세 면제범위 확대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89 호주 “시드니 밤 문화, 거꾸로 가고 있다”... 이유는 ‘너무 높은 비용과 접근성’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88 호주 한 달 사이 암울해진 고용 수치... 4월 호주 실업률 3.7%로 0.2%포인트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87 호주 알츠하이머 치료를 위한 실험적 약물, 인지기능 저하 35% 차단 판명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6386 호주 높은 주택가격-낮은 임금 상승으로... NSW 거주민들, 이주비율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85 호주 연방정부 예산계획 상의 에너지 비용 경감 방안... 500달러 혜택, 누가 받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84 호주 낮아지는 광역시드니 출산율... 35세 미만 여성 출산 비율, 갈수록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83 호주 “주택 계획 관련, 시드니 ‘NIMBY 지역’ 지방정부에 더 많은 권한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82 호주 심각해지는 임대 위기... 더 많은 민간-공공주택 임차인, ‘가난한 삶’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81 호주 NSW 건축승인 건수, 10년 만에 최저 수준... “임대 위기 지속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80 호주 최악의 부동산 시장 침체 끝? 주택가격 상승 높은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79 호주 RBA의 미공개 내부 분석, “물가 통제하려면 80%의 경기침체 위험 감수...”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78 호주 “시드니의 주택부족, 도시 외곽 개발보다 고층 주거지 개발로 해결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77 호주 QLD 목화산지 ‘서던 다운스 지역’, 또 하나의 농장관광 상품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76 호주 “만성 스트레스 및 우울증 증상, ‘high cortisol’ 탓으로 설명될 수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75 호주 크랜베리 주스, ‘반복적 요로감염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설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74 호주 “국가, 지역사회의 변화 만들어내는 봉사자들에게 감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8.
6373 호주 호주 실업률 3.5% 유지…급격 금리인상에도 일자리 '풍부' 라이프프라자 23.05.16.
6372 호주 Federal budget 2023- 생활비 부담 대책 강화... 일부 복지수당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371 호주 Federal budget 2023- 노동당의 두 번째 예산안 Winners and Losers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370 호주 연방정부, ‘Defence Strategic Review’ 승인... 새로운 전쟁시대 대비 착수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369 호주 세계보건기구, COVID의 ‘글로벌 공공보건 비상사태’ 종식 선언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368 호주 “생활비 압박 겪는 이들, 포키 도박으로 한방 노렸다”... NSW 도박 지출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367 호주 29세의 시드니 기반 예술가 거트만씨, 올해 ‘Archibald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366 호주 호주 최대 빛의 축제 ‘Vivid Sydney’, 올해부터 ‘보타닉 가든’은 유료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365 호주 물가상승률 수치 완화되고 있다지만... 필수 상품가격은 여전히 ‘고공 행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364 호주 The Salvation Army, 연례 ‘Red Shield Appeal’ 모금 행사 시무식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363 호주 연방정부, 모든 비자카테고리 변경 등 현 이민 시스템 전면 재설계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62 호주 올 회계연도 순이민으로 인한 호주 이민 40만 명 증가... 사상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61 호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60 호주 연방정부 ‘Pharmaceutical Benefits Scheme’ 개편 계획... 혜택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59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끝?... 3월 분기 시드니 주택 중간가격 ‘상승’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58 호주 유학생 노동력 의존했던 Aged care 시설, ‘비자 변경’으로 어려움 가중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57 호주 기준금리 다시 인상... 인플레이션 대책 강화? 경기침체 ‘룰렛’일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56 호주 ‘Voice to Parliament’의 헌법 명시를 위한 국민투표, 유권자 여론은 ‘긍정적’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55 호주 호주 어린이들 독서시간 감소... ‘스크린’에 집중하는 시간은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54 호주 COVID-19 새 변이 바이러스 ‘XBB.1.16’, 호주에서도 빠르게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23.05.04.
6353 호주 연방 복지수당 조사위원회, ‘JobSeeker-Youth Allowance’ 지원금 인상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52 호주 연방 자유당 더튼 대표 지지율, ‘Voice 반대’ 이후 사상 최저 수준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51 호주 시민단체-일부 의원들, “직업 없는 홀부모 자녀양육 보조금, 확대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50 호주 팬데믹 당시의 인구감소 지역, 해외 인력 재유입으로 주택수요 ‘빠르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9 호주 NSW 자유당의 온건파 중심 인사 마크 스피크먼 법무장관, 새 지도자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8 호주 베스트셀러 작가 핍 윌리엄스, 새 소설 ‘The Bookbinder of Jericho’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