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IS 1).jpg

대 IS 작전에 참여한 호주도 IS 조직의 무차별 테러 공격 대상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위험성이 고조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사진은 최근 정부 고위 관계자 회의에서 호주의 테러 위협 위험성을 경고한 세계적 테러 전문가 로버트 페이프(Robert Pape) 교수(미 시카고 대학 정치학과).

 

세계적 테러 전문가, 테러 관련 정부-연구원 고위급 회의서 경고

 

이슬람 극단 테러조직인 대 IS(Islamic State) 작전에 적극 가담해 온 호주에 대한 IS의 보복성 공격 위험성이 더욱 높아졌다는 경고가 나왔다.

금주 월요일(7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안전보장 및 테러리즘에 관한 시카고 프로젝트’(hicago Project on Security and Terrorism) 최고 책임자인 세계적 테러 전문가 로버트 페이프(Robert Pape) 교수는 최근 호주 정부 관료 및 테러 관련 연구원 등 고위 관계자 회의에서 이 같이 경고하면서 현재 IS는 미국 주도의 공습에 공조하는 서방 국가들을 노리고 있다고 말했다.

페이프 교수는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와의 인터뷰에서 “호주는 결코 자만해서는 안 되며 IS의 공격권 밖에 있다고 생각해서도 안 된다”고 경고하면서 “호주는 현재 IS의 테러 레이더에 상당히 근접해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IS는 대 IS 공격에 동참한 국가들에 대해 조직적이고 복합적인 테러 공격을 적극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향후 4~6개월간 신중하게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페이프 교수는 이어 호주가 대 IS 전쟁에서 상대적으로 비주류 국가였다 해도 그들의 테러 공격 대상에서 제외 요인이 되지는 않는다면서 “백원을 냈든 만원을 냈든, 얼마나 기여하고 참여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IS는 불행히도 단지 자신들의 공격 논리에 대한 타당성만을 찾고 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페이프 교수는 미 시카고대학의 정치학자이며 특히 국제안전 문제를 전문 분야로 하고 있다. 그와 그의 연구팀은 1980대 이후 모든 자살 공격 관련 테러 활동을 연구해왔으며 최근 출간한 저서 ‘Cutting the Fuse: 국제적 자살 테러 공격에 대한 고찰 및 통제 방법’에서 IS의 테러행위를 집중해 다뤘다.

페이프 교수는 정부 관계자 회의에서 자신의 연구를 기반으로 IS가 서방세계의 공격으로 조직의 세력이 위축됨에 따라 더욱 과격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의 연구팀은 지난 한 해 동안 IS가 벌인 자살 테러 공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시리아와 이라크에서는 공격 건수가 처음으로 감소한 반면 프랑스나 이집트, 터키 및 다른 국가들에서는 오히려 증가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페이프 교수는 “이 결과는 자신들의 영역을 넘어 서구 국가들로 공격의 초점을 변경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IS에 대항하는 국가들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무차별적 공격으로 반 IS 국가들을 굴복시키고 이슬람 원리주의 추종 국가의 젊은이들을 IS 조직에 합류시키는 계기로 만들고자 하는 의도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주 전략정책연구소(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 산하 대테러정책센터(Counter Terrorism Policy Centre)의 야신타 캐롤(Jacinta Carroll) 소장은 페이프 교수의 경고에 대해 “국제 테러단체 알카에다의 시리아 지부인 알누스라 전선(Jabhat al-Nusra) 및 다른 동맹체를 비롯한 IS 세력들이 중동 내에서조차 막대한 압박에 처하게 됨에 따라 중동 지역 외, 그들이 공격할 수 있는 모든 곳, 특히 그들이 목표 대상으로 잡은 국가들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캐롤 연구소장은 이어 “중동 지역에서 대 IS 작전에 참여한 호주는 IS의 이 같은 의도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IS의 주요 테러 현황

(자신들의 소행이라 밝힌)

-프랑스 : 2015년 11월 13일 / 프랑스 전역 7곳에서 총기 난사 및 자살 폭탄 동시 공격으로 129명 사망, 350명 이상 부상.

-레바논 : 2015년 11월 12일 / 베이루트(Beirut) 쇼핑센터에서 자살 폭탄 테러로 인해 44명의 사망자와 239명의 부상자 발생.

-터키 : 2015년 10월 11일 / 앙카라(Ankara) 지역에서 평화집회 도중 2명의 자살 폭탄 테러로 100명 사망, 250명 이상 부상. 2016년 2월 19일 / 앙카라(Ankara)의 국회의사당 근처에서 폭탄 차량 폭발로 최소 28명 사망, 수십 명 부상. 당시 IS 소행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터키와 이란의 국경지역에서 활동하며 세력을 넓혀온 강경파 무장세력 쿠르디스탄 프리덤 호크스(Kurdistan Freedom Hawks, TAK)가 자신들의 소행이라 주장.

-사우디 아라비아 : 2015년 8월 7일 / 사원에서 발생한 자살 폭탄 테러로 12명의 사우디 아라비아 경찰관 포함, 최소 15명 사망.

-이집트 : 2015년 8월 12일 / 한 IS 동맹 조직이 ‘대 IS와의 전쟁’에 참여한 크로아티아에 대한 보복으로 크로아티아인을 참수함. 2015년 8월 26일 / 세 명의 총기 무장 테러리스트들이 경찰 2명을 살해함. 시나이 지역 IS 단체가 자신들 소행이라 주장. 2015년 10월 31일 / 이집트 상공을 비행 중이던 러시아 여객선 공중 폭파 테러로 탑승객 224명 사망. 2015년 11월 4일 / 자살 폭탄 테러로 경찰관 4명 사망.

-예멘 : 2015년 9월 2일 / 사원에서 두 건의 폭탄 테러로 20명 사망. 예멘 IS 동맹 조직이 자신들 소행이라 주장. 2015년 9월 24일 / 이슬람 최대 명절인 Eid al-adha 집회 중이던 사원 밖에서 2회의 폭탄 테러로 25명 사망. 2015년 10월 6일 / 예멘의 대도시 2곳에서 연속적인 폭탄 테러로 25명 사망.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IS 1).jpg (File Size:46.7KB/Download:4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