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World Heritage 위험 1).jpg

유네스코(UNESCO)가 지난 1972년부터 시작한 세계유산(World Heritage) 목록에는 현재까지 1,157개의 자연 및 문화유산이 등재되어 있다. 이 가운데 호주에 있는 20개의 세계유산이 기후변화로 인해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사진은 세계유산 중 하나인 타스마니아의 크래들 마운틴(Cradle Mountain, Tasmania). 사진 : Discover Tasmania / Luke Tscharke

 

CSIRO 주도 연구 보고서, 문화-자연 손상으로 ‘World Heritage’ 제외될 수도

 

인류에게 매우 소중하다고 할 수 있는 장소들 가운데 일부가 ‘기후변화로 인한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현 상태대로라면 ‘세계유산’(World Heritage)으로서의 가치는 물론 그 지위를 잃을 수도 있다는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호주 연방 과학연구기관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CSIRO)이 주도한 최근 관련 연구는 기후변화가 세계유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해당 유산이 어떻게 보존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유엔 산하 기구인 유네스코(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가 1972년 시작한 세계유산 목록(World Heritage List)은 ‘인류에게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니며 ‘미래 세대를 위해 보호해야 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자연과 문화를 인정하는 것이다. 유네스코는 전 세계의 교육, 과학, 문화 보급과 교류를 위해 설립된 유엔의 전문 기구이다.

이 목록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문화 및 자연적 가치를 설명하는 10가지 기준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 현재 유네스코의 이 목록에는 1,157개의 유산이 등재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20개는 호주에 있다.

 

종합(World Heritage 위험 2).jpg

CSIRO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카카두 국립공원의 자연풍경과 원주민 암벽화(rock arts)는 기후변화로 인한 손상 위험이 크다. 사진 : Kakadu National Park

   

여기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산호초 지대인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 시드니 오페라하우스(Sydney Opera House),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에 있는 웅장한 자연 카카두 국립공원(Kakadu National Park), 타스미나이에 있는 죄수 수용소 포트 아서(Port Arthur)가 포함된다.

이 같은 호주의 빼어난 자연, 문화유산을 위협하는 공통의 적은 기후변화이다.

 

특히 위험에 처한

‘문화’ 유산들,

 

이번 연구에 참여한 CSIRO의 선임연구원 브렌다 린(Brenda Lin) 박사는 기후변화가 전 세계 자연유산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기온 상승, 극심한 폭풍, 해수면 상승, 산불 등의 측면이 문화유산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했다.

이번 연구보고서는 “2014년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모든 자연유산의 약 절반을 위협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2020년에는 모든 목록(자연 및 문화유산)에서 인식된 가장 큰 위협으로 제기됐었다”고 경고했다.

CSIRO의 또 다른 연구원인 제시카 멜번-토마스(Jessica Melbourne-Thomas) 박사는 일부 지역의 경우 이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수 지역에서도 가까운 미래 또는 다소 더 장기적으로 타격을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기후변화 영향의 본질에 대해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우리(연구원들)가 확인한 것은 그 영향이 이미 많은 곳에서 느껴지고 있으며 미래에는 더욱 증가하리라는 것”이라면서 “이는 또한 문화유산이 가진 다양한 측면의 악화와 퇴화 비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종합(World Heritage 위험 3).jpg

NSW 서부 먼 내륙에 자리한 'Willandra Lakes Region'. 극심한 가뭄으로 호수는 물이 마른 지 오래됐고, 호수에서 드러난 원주민 유적은 풍화의 위험에 처해 있다. 사진 : UNESCO

   

린 박사는 호주 전역의 여러 곳에서 원주민 문화유산도 위험 상황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NSW 서부 내륙 원주민 문화유산 사이트(이 또한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인 ‘Willandra Lakes Region’(원주민 Muthi Muthi, Ngiyampaa, Barkinji 부족이 만나던 장소로 알려져 있다)을 언급하면서 “오랜 가뭄으로 인해 풍경이 말랐고 바람에 의한 침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침식은 묻혀 있던 원주민 문화유산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며 “우리가 이를 찾아내고 보호할 수 없다면 우리는 얼마 안 가 소중한 유산을 잃을 수도 있다”는 우려를 전했다.

 

“건물 안으로

물이 들어오고 있다”

 

서부호주, 프리맨틀(Fremantle, Westerm Australia)에 있는 ‘Fremantle Prison’, 타스마니아의 ‘Port Arthur’ 등 죄수 시대 사이트 또한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해 있다. 해수면 상승은 두 지역 건축물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바닷물과 염분은 이 건축 구조물인 돌과 모르타르를 악화시키는 상황이다. 린 박사는 “뿐 아니라 건물 안으로 물이 들어와 호주가 가진 많은 역사적 자료를 손상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유산의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특징이 사라지면 해당 장소나 문화유적은 유네스코의 이 목록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종합(World Heritage 위험 4).jpg

타스마니아의 오랜 역사를 보여주는 초기 죄수 수용 사이트인 포트 아서(Port Arthur)는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침투함으로써 이 오랜 건축물의 손상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사진 : Facebook / Port Arthur Historic Site

   

이번 연구보고서는 이 같은 문제를 언급하면서 세 가지 변경사항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원주민들이 세계유산 관리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멜번-토마스 박사는 원주민 참여 이유로 “아주 오랜 기간 이어오면서 이 땅의 역사, 자연의 변화에 대한 이해, 환경과 관련된 토착 지식이 풍부하며, 이를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해결할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그런 한편 과학자들은 세계유산을 결정하는 기준이 기후에 따라 바뀌어야 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다. 린 박사는 “우리는 기후변화가 해당 지역의 모습, 풍경을 바뀌게 하고 있으며, 그리고 그것이 앞으로 50년, 70년, 100년 동안 본래의 모습에 영향을 줄 것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World Heritage 위험 1).jpg (File Size:143.1KB/Download:11)
  2. 종합(World Heritage 위험 2).jpg (File Size:103.3KB/Download:13)
  3. 종합(World Heritage 위험 3).jpg (File Size:97.4KB/Download:13)
  4. 종합(World Heritage 위험 4).jpg (File Size:116.9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800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9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8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7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6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5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4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3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2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1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0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89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8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7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6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5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4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3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2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1 호주 보험-금융 서비스 가격 상승 속, Private health insurance 3% 이상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0 호주 호주 각 학교 교장들, ‘최악’ 수준의 신체적 폭력-협박에 시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9 호주 ‘P-plate’ 상태의 자녀 ‘안전’ 고려한다면, 자동차를 사 주는 대신...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8 호주 계속되는 가계 재정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이 ‘부업’ 찾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7 호주 생활비 압박 지속... 정부, 물가상승률에 맞춰 최저임금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6 호주 순 해외이민자 유입-자연 증가로 호주 인구, 곧 2천700만 도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5 호주 Minns-Perrottet 현직 및 전직 NSW 주 총리, ‘McKinnon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4 호주 정부, 비시민권자 대상으로 보다 수월한 ‘강제추방’ 가능한 법안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3 호주 주택 1sqm 당 프리미엄 가장 높은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2 호주 할리우드 스타덤의 화려했던 순간, 그 기억을 간직한 영화 촬영 여행지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1 호주 자동차 절도-파손 및 가택침입 등 전국에서 ‘household crime’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0 호주 ‘충격적’ 일자리 급증... 실업률, 지난해 9월 이전의 낮은 수준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9 호주 World Happiness Report... 호주인 ‘행복감’, 상위 10위에 올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8 호주 호주 당국, 프랑스 방문 여행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7 호주 COVID-19 전염병 대유행으로 전 세계 기대수명, 1.6년 감소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6 호주 “유아기의 스크린 시청 시간, 부모와의 상호 언어형성 기회 빼앗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5 호주 ChatGPT-기타 인공지능 활용한 고등교육 부문의 부정행위 ‘극성’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4 호주 시니어 대상 pension 및 Jobseeker payments 등 복지수당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3 호주 NSW 예산계획, “바람직한 사회적 결과-투명성 향상에 목표 둘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2 호주 올들어 두 번째의 RBA 통화정책 회의, 이자율 4.35% 유지 결정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1 호주 2023년 NSW-VIC-QLD 주의 매매 부동산 4개 중 1개는 ‘현금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0 호주 tap-and-go 확대... 호주인들, 신용카드 수수료로 연간 10억 달러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9 호주 주택 부족 심화... 부동산 가격, ‘적정 가치’에 비해 얼마나 치솟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8 호주 “화석연료 산업에 보조금 지급하면서 대학 학업에는 비용 청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7 호주 NSW 교육부 장관, 주 전역 공립학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6 호주 연방정부의 새 이민전략 이후 주요 대학 국제학생 입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5 호주 대다수 전문가들이 우려했던 ‘long COVID’,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4 호주 2024 럭비 시즌... CB City의 그린키퍼, ‘Bulldog’ 홈구장 관리 ‘만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3 호주 부유한 은퇴 고령자들, ‘Aged Care’ 비용 더 지불해야 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52 호주 최대 220만 명 ‘기본 권리’ 변경 위한 ‘Work-from-home’ 논쟁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