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학군 1).jpg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인 ‘도메인’(Domain)의 ‘Domain School Zones Report’(2월7일 발표) 분석 결과 시드니 지역 유명 공립학교에 자려를 보내려면 일단 150만 달러를 지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유명 학군 지역 주택가격 상승이 다른 지역에 비해 가파르기 때문이다.

 

페어팩스 미디어 분석, 명문 학군 주변 주택가격 200만 달러 넘어

 

자녀를 광역 시드니 소재 유명 공립학교에 보내려면 어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될까? 사립학교처럼 연간 학비가 들지 않는다 해도 유명 공립학교 인근의 높아진 주택가격을 감안하면 최대 150만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7일(화)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인 ‘도메인’(Domain)이 내놓은 ‘Domain School Zones Report’ 결과(본지 1229호 보도)를 분석한 것으로, NSW 주의 대학입학 수능시험인 HSC 성적으로 순위를 매긴 시드니 지역 상위 20개 학교 주변 주택가격은 지난 한해에만 7%가 상승했으며, 특히 시드니 북부 노던 비치(Northern Beaches)가 포함된 맥켈라(Mackellar) 연방 선거구 지역,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 윌로비(Willoughby) 등은 중간 주택가격이 200만 달러를 넘어섰다.

또한 시드니 지역 셀렉티브 스쿨(selective public school)아 아닌 공립학교 중 HSC 성적 기준 상위 학교인 켈튼햄 걸스(Cheltenham Girls) 인근의 주택가격은 지난 한 해 15.5%가 높아져 중간가격은 170만 달러에 달했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뉴타운(Newtown), 카슬힐(Castle Hill), 버우드 걸스(Burwood Girls) 등 상위 20개 학교 소재의, 중간 주택가격이 비교적 낮은 지역도 시드니 전체 평균가격보다 높은 137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 호주 생산성위원회(Productivity Commission) 경제학자이자 현재 공교육 자문기구인 ‘Save Our Schools’를 운영하는 트레버 콥볼드(Trevor Cobbold)씨는 “높은 주택가격은 부유한 가정 자녀의 교육적 혜택을 더욱 공고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콥볼드씨는 “부유층 지역의 학교들이 사회경제적으로 다소 뒤쳐진 지역 학교들보다 교육에 더 많은 가치를 보태고 있는지, 아니면 높은 (HSC) 시험 결과가 부유한 가정 학생들의 높은 집중력 때문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들게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유명 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200만 달러를 지출하는 것은 자녀의 좋은 성적을 기대하기보다는 부유한 또래 집단과 사귈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게 가능하다”면서 “부유하거나 소득이 높은 가정의 학생들은 부모가 제공하는 혜택으로 인해 다른 학교에서도 좋은 성적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도메인’의 이번 분석에는 시드니 지역 상위 학교 주변 주택 임대료도 포함됐다. 첼튼햄(Cheltenham), 체리부룩(Cherrybrook), 킬라라(Killara) 지역은 높은 주택가격에 비해 일반주택 주(week) 임대료가 700~850달러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부동산 중개회사인 ‘Belle Property Killara’ 사의 제프 딘(Geoff Dean)씨는 “지난 10여년 사이 자녀 교육에 신경 쓰는 중국계 학부모들이 킬라라(Killara) 지역으로 대거 이주했다"고 전했다.

“유명 공립학교인 킬라라 하이스쿨(Killara High) 인근의 주택을 구입하는 중국계 학부모들은 거래가격에 기꺼이 웃돈을 지불하고 있다”고 언급한 그는

“이 지역으로 이주하는 가정은 확실히 자녀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이 때문에 자녀가 열심히 공부하도록 독려하고 추가로 사설학원에도 보내고 있다”며 “이들 학교가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킬라라에 거주하는 제임스 곽(James Kwok)씨는 6년 전 두 자녀와 함게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 현재 곽씨의 두 자녀는 11, 12학년 학생들이다. 그는 “이 지역에 좋은 학교가 있어 행복하다”며 “두 자녀도 좋은 학업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신과 마찬가지로) 자녀를 좋은 학교에 입학시키고자 이 지역으로 이주한 또 다른 가정을 알고 있다”는 그는 “이런 가정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며 “부동산 에이전트를 통하지 않고 직접 나에게 찾아와 주택을 판매할 용의가 없는지 묻는 이들도 계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부터 고려해 좋은 공립학교 지역에 주거지를 마련하는 젊은 부부들도 늘어나고 있다. 시드니 지역 최고의 퍼블릭(public. 초등학교)로 평가된 뉴트럴베이(Neutral Bay)를 비롯해 버클루즈(Vaucluse), 세인트 피터스(St Peters) 지역 주택가격은 지난 한해 무려 26%가 올랐다. 이 지역에 주거지를 마련하는 이들은 좋은 초등학교를 마치고 인근 유명 하이스쿨에 자녀를 진학시키고자하는 이들이다.

크리스 퀘베도(Chris Quevedo)씨와 아내 루시(Lucy)씨는 지난해 4살 된 아들 조슈아(Joshua)의 학교 입학을 고려, 136만5천 달러를 들여 피터샴(Petersham)에 주택을 구입했다. 이 지역에는 좋은 공립 및 사립, 가톨릭 학교들이 집중되어 있어 학교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퀘베도씨 부부는 “이곳 학교들의 순위가 높은 편이고 또 여러 학교들 경계에 주택이 자리해 어느 학교든 아이를 입학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학군 1).jpg (File Size:28.7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1 호주 6월 분기 부동산 판매 수익성, 10년 만에 최고 수준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50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정부의 새 내각, ‘안전과 회복’에 초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9 호주 ‘바이러스’ 록다운 상황 속, 소규모 ‘북클럽’ 활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8 호주 부스터샷은 언제 맞아야 하? 또한 백신접종 면제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7 호주 호주 국경 제한 완화 발표, 11월 이후 해외여행 가능해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6 호주 NSW 주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이벤트, 11월부터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5 호주 “면역력 심각하게 저하된 이들, 세 번째 COVID-19 백신접종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4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1단계, “지방 지역 여행은 아직 불허...”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3 호주 ‘판도라 페이퍼즈’... 해외 불법 자금에 잠식당한 주요 호주 부동산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2 호주 NSW 공공보건 명령 1단계 완화 조치, 이번 주부터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헌터스 힐의 낡은 주택, 잠정가격에서 33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40 호주 주택가격 상승 속도, 다소 둔화… 연간 성장률은 30년 만에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9 호주 봉쇄 조치 기간 중 일자리 찾기 포기 늘어나... 실업률, 소폭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8 호주 농업부 장관, "NSW 주의 입국자 검역 폐지, 농장 인력 확보 기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7 호주 스트라스필드 지역구 조디 맥케이 NSW 주 의원, 사임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6 호주 연방정부의 디지털 백신접종 증명서, ‘Service NSW'에 통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5 호주 호주 국경 다시 열린다지만... 유학생들 “호주로 돌아갈 매력 잃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4 호주 연방정부, ‘비자 취소’ 권한 강화를 위한 ‘인성검사’ 법안, 재도입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3 호주 연방정부, 해외여행자 위한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2 호주 NSW 주, 해외 입국자 대상 코로나19 검역 절차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1 호주 NSW 주의 국제여행자 검역 폐지... 꼭 알아야 알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폐허 수준의 윌로비 소재 주택, 370만 달러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9 호주 광역시드니 주택 임대료, 사상 최고치 기록... 유닛 임대료 다시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8 호주 정부가 주문한 노바백스 백신, 11월 제공 예정... “추가접종 위해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7 호주 델타 변이 바이러스 발병 이후 NSW 사망자 500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6 호주 NSW 주 정부, 학령기 자녀 가정에 ‘레저 활동’ 지원 바우처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5 호주 NSW 주 관광부, 호주 국경 개방 맞춰 대대적 관광 캠페인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4 호주 호주 국제여행 허용... '콴타스‘ 및 ’넷스타‘의 운항 노선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3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화이자 COVID-19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2 호주 호주 부스터샷 승인... 알려진 추가접종 관련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1 호주 불법 마약구매, COVID 이전보다 쉽다?... 팬데믹 기간 중 코카인 사용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그린위치 주택, 잠정가격에서 9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9 호주 NSW 주 지방 지역 임대료 지속 상승, 현지 지역민들 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8 호주 Sydney Water, “이런 물품은 반드시 휴지통에 버려주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7 호주 10대 어린이-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가입, 부모 동의 필요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6 호주 호주 원주민 암각화, 최대 4만3천 년 전 만들어진 것일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5 호주 파라마타 지역구 줄리 오웬 의원, 다음 연방선거 ‘불출마’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4 호주 연방정부, COVID-19 방역 위한 국민들의 ‘해외 출국 제한’ 공식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3 호주 COVID-19 빠른 항원검사 허용... 11월 1일부터 자가 테스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2 호주 호주 백신자문그룹, 2차 접종 6개월 지난 성인 대상으로 추가접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1 호주 ‘풍토병’ 되어가는 코로나 바이러스... ‘리빙 위드 코비드’ 의미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0 호주 NSW 주 정부, COVID-19 공공보건명령 완화 로드맵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09 호주 NSW 주 COVID-19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 변경, 주요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08 뉴질랜드 오클랜드 10월 5일까지 경보 3단계 일요시사 21.11.08.
1207 뉴질랜드 '시설 대신 집에서 자가격리' 10월말부터 시범, $1,000의 요금 지불 일요시사 21.11.08.
1206 뉴질랜드 8월11일 오후 4시 정부 브리핑-일주일 연장 일요시사 21.11.08.
1205 뉴질랜드 새 코로나19 보호 체제 나왔다... 녹색, 황색, 적색 3단계 일요시사 21.11.08.
1204 뉴질랜드 오클랜드 11월 9일 밤 11시 59분부터 경보 3단계 스탭 2 일요시사 21.11.08.
1203 뉴질랜드 Covid-19 11월 2일 새 감염자 126명, 오클랜드 1차 접종률 90% 일요시사 21.11.08.
1202 뉴질랜드 Covid-19 11월 3일 새 감염자 100명 일요시사 21.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