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가격상승 1).jpg

현재 호주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인 침체를 보이지만 지난 10년 사이의 시장 상황을 보면, 특히 시드니의 경우 60% 이상 교외지역(suburb) 주택가격이 두 배 이상 높아졌다. 사진은 시드니 하버(Sydney Harbour) 주변의 주택가. 사진 : ABC 방송 ‘Business’ 프로그램 방송 화면 캡쳐

 

‘CoreLogic’ 자료... 부동산 관계자들, “향후 10년 주기의 가격 성장 반복은 없을 것”

 

올 들어 호주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인 침체를 보이며 가격 하락이 이어지고 있지만 지난 10년 사이 광역시드니의 60% 이상 교외지역 주택가격은 두 배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동산 관계자들은 향후 이 같은 가격 성장이 반복될 가능성은 없으며, 10년 주기로 가격이 두 배가 된다는 근거 없는 정보에 현혹되어서는 안 된다고 조언한다.

부동산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시드니 주택가격은 올해 1월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현재까지 8%가 하락했다. 이는 기준금리가 빠르게 인상되면서 예비 구매자의 대출 능력이 떨어지고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독주택 가격은 지난 10년 사이 107%가 상승했으며, 유닛은 이보다 낮은 62%의 가격성장을 보였다.

‘CoreLogic Australia’의 엘리자 오웬(Eliza Owen) 선임연구원은 “기록적 수준의 낮은 기준금리, 인구 증가, 늘어난 고용기회 및 제한된 주택 공급이 주택가격 성장을 촉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웬 연구원은 “그 동안 시드니 주택시장은 여러 차례 기복을 겪었지만 최근의 (가격 성장) 주기는 특히 강력했다”면서 “이는 지난 2020년 9월 수준보다 36% 높은 가격”이라고 덧붙였다.

그녀에 따르면 저렴한 지역, 라이프스타일(특히 해안 지역) 및 다른 지역과의 연결성이 좋은 서버브(suburb)에서 가파른 가격 성장을 기록했다.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의 우미나 비치(Umina Beach) 및 에탈롱 비치(Ettalong Beach)의 주택가격은 165%가 높아져 현재 중간 가격은 각 110만 달러, 108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나은 가격경제성을 보였던 서부 및 남서부에서도 성장이 두드러져 샬비(Shalvey), 트레기어(Tregear), 레스브릿지 파크(Lethbridge Park), 루스(Ruse) 등의 교외지역은 150% 이상 가격 상승을 보였다.

 

부동산(가격상승 2).jpg

부동산 관계자들은 주택가격이 10년을 주기로 두 배의 가격을 보인다는 근거 없는 정보에 현혹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사진은 한 주택 앞에 판매 완료를 알리는 부동산 에이전트. 사진 : ABC 방송 뉴스 프로그램 화면 캡쳐

 

도심과 가까운 서쪽 교외인 이너웨스트(inner west)도 예외는 아니어서 버우드(Burwood)와 크로이돈(Croydon), 노던비치(Northern Beaches)의 알람비 헤이츠(Allambie Heights), 노스-웨스트의 뷰몬트힐(Beaumont Hills)과 루즈힐(Rouse Hill),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의 본다이(Bondi) 및 도버헤이츠(Dover Heights)도 지난 10년 사이 가격 성장세가 높은 상위 지역에 포함됐다.

보다 큰 범위의 지역(region)별로 보면, 센트럴코스트, 노던비치, 남서부 외곽(outer south-west), 서부 외곽(outer west) 및 블루마운틴(Blue Mountains)에 자리한 80% 이상 교외지역(suburb)에서 10년 사이 두 배 이상의 가격 상승을 보였으며 버큼힐(Baulkham Hills)과 혹스베리 지역(Hawkesbury region)의 조사대상 11개 지역(suburb) 또한 마찬가지였다. ‘코어로직’의 조사는 최근 1년 동안 최소 20건 이상 주택 매매가 이루어진 교외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오웬 연구원은 “센트럴코스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 성장은 특히 COVID 팬데믹 사태를 겪는 가운데 나타난 시드니 거주자들의 ‘sea change’ 바람에 의한 것”이라며 “특히 시드니 도심까지 출퇴근이 가능한 지리적 이유로 젊은 구매자 수요를 유발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가격상승 3).jpg

‘CoreLogic Australia’의 엘리자 오웬(Eliza Owen. 사진) 선임연구원. 그녀는 “기록적 수준의 낮은 기준금리, 인구 증가, 늘어난 고용기회 및 제한된 주택 공급이 지난 10년 사이 주택가격 성장을 촉진했다”고 설명했다. 사진 : ABC 방송 ‘Business’ 프로그램 방송 화면 캡쳐

 

‘코어로직’ 분석에 따르면 남서부 샬비, 트레기어 등은 워낙 저렴했던 이전의 주택가격 덕을 톡톡히 보았으며 버우드의 경우에는 시드니 도심까지의 편리한 접근성으로 주택가격이 크게 오르는 혜택을 누렸다. 가격 성장폭이 컸던 이외 지역은 주택공급이 적었던 것에서 기인한다.

오웬 연구원은 “하지만 이러한 성장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며 “경제성 제약, 높아진 주택담보 대출 이자율을 감안할 때 향후 몇 년 동안 가격 상승은 아주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ANZ 은행의 수석 경제학자 펠리시티 에메트(Felicity Emmett) 연구원은 “기록적 수준의 낮은 이자율과 강한 인구 증가가 주택가격 성장의 주요 동력”이라면서 “제한된 신규 공급, 수요가 높아진 라이프스타일 지역, 비교적 구입 경제성이 좋은 지역으로의 이주 바람도 각 교외지역 가격을 올려놓았다”고 덧붙였다. 에메트 연구원의 진단에 따르면, 오는 2024년까지 기준금리 6% 인상을 가정한다면 주택가격은 20%까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센트럴코스트 기반의 부동산 중개회사 ‘Wilsons Estate Agency’의 이안 윌리스(Ian Willis)씨는 “한때 은퇴한 고령층이 주로 이주하던 센트럴코스트는 이제 시드니 도심 및 인근 지역의 높은 주택가격을 피하려는 젊은이들로부터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금도 원격작업(재택근무) 추세가 이어지면서 젊은 가족들의 이주가 이어지기는 하지만 구매자 수요는 다소 완화된 상황이다.

 

부동산(가격상승 4).jpg

‘CoreLogic Australia’ 자료에 따르면 팬데믹 사태에서 라이프스타일 지역으로의 이주 바람이 해안 등 일부 지역 주택 가격을 크게 올려놓았다. 사진은 시드니의 한 주택 경매 현장. 사진 : Nine Network 뉴스 화면 캡쳐

   

그는 “현재 이 지역 주택가격은 약 10%가량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럼에도 중간가격은 크게 올랐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1960~70년대 지어진 평균 규모의 주택들이 한때는 39만 달러에 거래됐으나 지금은 100만 달러에 달하는 상황이다.

 

■ 10년 사이의 광역시드니 주택가격 상위 상승 지역

(Suburb : 중간 가격 / 2021-22년 상승률 / 연간상승률 / 10년 사이 상승률)

-Umina Beach : $1,107,383 / 6.0% / 10.3% / 165.7%

-Ettalong Beach : $1,077,986 / 3.4% / 10.2% / 164.7%

-Shalvey : $694,842 / 9.5% / 10.1% / 162.4%

-Tregear : $663,815 / 6.6% / 10.1% / 161.4%

-Ruse : $766,714 / 6.7% / 9.6% / 151.2%

-Burwood : $2,265,059 / -1.8% / 9.6% / 151.0%

-Lethbridge Park : $689,500 / 6.8% / 9.6% / 150.2%

-Mount Victoria : $776,647 / 13.3% / 9.6% / 149.5%

-Allambie Heights : $2,188,739 / -10.6% / 9.5% / 148.8%

-North St Marys : $765,459 / 2.7% / 9.5% / 146.7%

-Croydon : $2,128,986 / -2.0% / 9.4% / 145.9%

-Dundas Valley : $1,541,521 / 0.5% / 9.3% / 144.3%

-Heckenberg : $825,986 / 14.3% / 9.3% / 144.2%

-Beaumont Hills : $1,665,383 / 5.8% / 9.3% / 143.8%

-Pitt Town : $1,828,417 / 4.4% / 9.3% / 143.5%

-The Entrance : $1,129,370 / 4.4% / 9.3% / 143.5%

-St Ives Chase : $2,602,904 / 0.3% / 9.3% / 143.5%

-McGraths Hill : $973,941 / 7.9% / 9.3% / 143.0%

-Rouse Hill : $1,506,359 / 4.8% / 9.2% / 141.7%

-Watanobbi : $706,547 / 7.1% / 9.2% / 141.5%

Source: CoreLogic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가격상승 1).jpg (File Size:128.5KB/Download:13)
  2. 부동산(가격상승 2).jpg (File Size:70.2KB/Download:16)
  3. 부동산(가격상승 3).jpg (File Size:39.7KB/Download:15)
  4. 부동산(가격상승 4).jpg (File Size:88.7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01 호주 ‘네거티브 기어링’ 올해 총선 최대 이슈 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0 호주 Things that only happen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099 호주 호주 통계청, ‘2016 센서스’ 현장직원 모집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8 호주 서리힐의 낡은 테라스 하우스, 91만1천 달러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7 호주 NSW 주 경찰, 총기 등 관련 장비 분실 ‘수두룩’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6 호주 연방 재무부, 중국 기업의 호주 최대 목장인수 제안 거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5 호주 호주 기준금리 또 인하... 중앙은행, 사상 최저의 1.75%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4 호주 NSW 주 정부, 카운슬 합병 관련 의회 조사 무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3 호주 스턴 전 영국 재무차관, 러드의 UN 사무총장 도전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2 호주 청소년들, 개인보다는 ‘모두에게 공정한 사회’ 원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1 호주 호주 국적의 IS 주요 전투원 프라카시, 미 공습에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0 호주 턴불의 ‘네거티브 기어링’ 유지 방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89 호주 2016 연방 예산안-경기침체 우려는 뒷전, “총선 의식한 ‘미련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88 호주 2016 연방 예산안- Winners and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87 호주 ‘My Ideal House’ 건축디자인 경연, ‘대상’ 수상 주택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8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화제- 패딩턴 소재 4개 플랫 블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5 호주 ‘마약, 주류 밀반입’ 불법 바이키 갱 간부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4 호주 연방 경찰, IS 테러 조직 합류 시도한 5명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3 호주 ‘맹모삼천지교’... 시드니 학부모 마음도 ‘마찬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2 호주 호주인 직장선호도 1위는 항공업, ‘버진 항공’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1 호주 시드니-NSW 대학생들, ‘교육의 질’ 만족도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0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녹색당, 노동당과 연립 용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79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RBA, ‘네거티브 기어링’ 현 체제 유지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78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지지도 초박빙, 선거 결과 예측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77 호주 The eight things most tourists miss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76 호주 구세군, 올해 ‘Red Shield Doorknok’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5 호주 파이브덕 소재 100년 된 하우스 경매가 137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4 호주 “스몰 비즈니스 지원으로 지속적 경제성장 추진하려는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3 호주 호주 내 테러 위협 계속돼... 18세 남성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2 호주 NSW 주, 호주 최대 ‘룩우드’ 묘지 법정관리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1 호주 QLD 내륙의 한 마을, 통째로 매물 리스트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0 호주 주택가격 상승... 저렴한 주거지 찾아 도심 외곽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69 호주 NSW 주 차선합병에 따른 최악의 정체구간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68 호주 NSW 주 정부, 일부 통합 카운슬 구역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67 호주 구매자들의 주택마련 의욕으로 높은 경매 결과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6 호주 수퍼모델 파올라 버호벤, ‘크라운 그룹’ 새 모델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5 호주 글리브 소재 ‘린드허스트’ 빌라, 700만 달러 이상에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4 호주 ‘밀레니엄 세대 80%, ‘Australian dream’에서 멀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3 호주 ‘Lockout Laws’로 킹스크로스 ‘땅값’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2 호주 호주 대학들의 추악한 비밀, ‘교내 성범죄’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1 호주 40년 후 NSW 주, 근로 인력 크게 줄어들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0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연립 재집권 전망 속, 턴불 수상 지지도 ‘하락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59 호주 호주에서 최고 수익을 거두는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58 호주 Top 10 city-based adventure activities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57 호주 캘러브리안 마피아와 ‘친구 먹은’ 연방 의원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56 호주 도심 지역 대부분 주택들, 잠정가격 이상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5 호주 호주 광산재벌, 강대국에 ‘노동착취’ 근절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4 호주 직장서 ‘커피 마셨다’ 이유로 해고... “부당하다” 결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3 호주 ‘스타트업 비즈니스’, 비용 높아지고 경쟁도 ‘치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2 호주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최저 임금 2.4% 인상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