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낙태1).jpg

지난 6월9일 시드니 젊은이들이 미국의 극우 낙태 법안에 반대하는 거리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사진 AAP

 

최근 시드니 도심서 대규모 반대 시위 벌여 - “Our Bodies Our Choice”

 

한국은 물론 호주 NSW 주 에서도 낙태는 불법이다. 그러나 원치 않는 임신이나 기타 이유로 사실상 낙태시술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성의 몸에 대한 자기 결정권과 태아의 생명 존엄성에 대한 논쟁은 세계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미국의 여러 주에서 강력한 낙태금지법이 도입된 후, 이러한 논란이 세계적으로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2주전 시드니에서 10대 여학생들이 앞장서는 낙태법안 반대 시위가 벌어져 눈길을 끈다. 이 시위를 보도한 지난 9일(일) 데일리 텔리그라프지의 기사를 정리 소개한다. [편집자주]

 

미국의 여러 주에서 낙태금지법이 도입된 것에 항의하는 수백 명의 호주 사람들이 시드니 거리에 모였다. 시위에 앞장선 이들 중 한명은 놀랍게도 올해 17세의 고등학생인 벨라 자이드(Bella Ziade) 양이다. 페이스북을 통해 '미국에 사는 우리의 친구들(our friends in the US)' 그룹과 연대하여 '우리 몸 우리의 선택(Our Bodies Our Choice)'이라는 제목의 거리시위를 주도한 자이드양은 “NSW 주에서도 낙태는 여전히 불법으로 규정돼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모든 사람은 자기 몸에 대한 권리를 스스로 행사할 자격이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함께 싸우고 있다... 낙태를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법은 pro-life 가 아니다. 그들은 임신한 여성들의 삶을 존중하지 않는 anti-choice 일 뿐이다"고 주장한다.

(태아의 생명 존엄성을 말하는 pro-life와 여성의 몸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부정하는 anti-choice는 모두 낙태를 반대하는 말이지만, 전자가 태아의 생명 존엄성을 뜻하는 말이라면, 후자는 여성에게 몸에 대한 자기 결정권이 없음을 전제로 한다 - 편집자주)

 

또 한명의 고등학생인 올해 16세 앰버 켈리(Amber Kelly)는 미국의 낙태금지 법안들이 호주에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을 우려하여 이 집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켈리양은 미국과 트럼프가 여성의 낙태권리를 더 제한한다면 그 영향으로 호주에서 여성의 권리는 큰 후퇴를 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나는 여성이 육체적으로 자율성을 가져야 하며, 교회나 국가가 여성을 대신해 결정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시위가 끝나갈 무렵, 낙태반대 지지자들이 시위 장소에 도착하여 몇몇 시위자들과 언쟁을 벌였는데, 켈리양은 이들과도 성숙한 토론을 벌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같은 반 친구인 타라 파브리스(Tara Fabris) 양도 호주정부가 미국의 이러한 보수적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낙태에 관한 더욱 제한적인 법안을 채택할 것을 걱정한다며 "다른 나라들, 특히 미국의 영향으로 극우적 신념이 우리 삶에 자리 잡는다면 우리가 그동안 그렇게 열심히 노력하여 얻어낸 여성의 권리들이 모두 사라질지도 모릅니다... anti-choice 신념을 가진 사람들이 목소리를 높이고, 이렇게 무리한 법들이 제정될 수도 있다는 게 두렵습니다" 고 말했다.

 

종합(낙태2).jpg

 

지난 5월 미국의 여러 주에서 낙태 금지 법안들이 개정되면서, 비교적 진보적 색채를 유지해왔던 루이지애나 주에서도 최근 낙태금지법을 도입하기도 했으며, 최근 13세 미만 아동 성폭행 범죄 피고인과 근친상간 등 특정 범죄자를 대상으로 하는 화학적 거세 법안을 의회통과 시켜 세계적 논란을 빚은 앨라배마 주정부에서는 태아의 심장박동이 감지되는 임신 6주 이후부터 낙태를 금지하는 '심장박동 낙태 금지법'을 최초로 도입하기까지 했다.

 

이 법은 강간이나 근친상간에 의한 임신까지도 적용되는데, 이 수술을 담당한 의사들은 99년 까지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켄터키, 미시시피, 조지아, 오하이오 등의 주들에서도 비슷한 법안이 발의됐으며 미주리 주하원은 최근 '8주 이후 낙태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이 금지법은 아직 발효되지는 않았으나, 이의가 제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 NSW 주에서도 의사가 여성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에 위험성을 제기한 경우를 제외하면 낙태가 여전히 범죄로 규정돼 있다.

 

이번 집회에 참가한 17세 고등학생 졸리 쿠친스카(Jolie Kucinskas)는 자신이 ‘100% 공감’을 느꼈다고 말한다. "나는 7살 어린이들부터 80살 여성들까지, 많은 사람들과 이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왔어요. 이러다 나중에 내 딸들이 살아갈 세상이 어떻게 될까 걱정하며 잠을 못 이루는 날도 있었어요. 우리와 같은 생각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자기 아이를 낳는 권리에 대한 자유와 선택에 대해 두려워할 것이고 생각한다면 그건 틀린 거예요."

 

이경미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낙태1).jpg (File Size:101.6KB/Download:24)
  2. 종합(낙태2).jpg (File Size:41.1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1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0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9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8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7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6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5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4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3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2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1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바티칸 재정장관 사임 밝힐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8 호주 비판 직면 ‘곤스키’ 교육개혁, 향후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7 호주 주식시장 회복... 상위 부자 자산, 빠르게 늘어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6 호주 시드니 폭풍, 콜라로이-나라빈 지역 ‘심각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유권자 조사, 노동당 지지도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 other signs-2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3 호주 한정된 공급, 주택구입자-투자자 가격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2 호주 뇌졸중 발병 요인, 국가 소득 수준 따라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1 호주 최근 개통 베넬롱 브릿지, 승용차 불법 운행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지역 추가 버스노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9 호주 정규 과정서 제2외국어 선택 학생,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8 호주 빌 쇼튼 대표, “투표로 복지 축소 막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7 호주 “의료복지 예산 삭감, 그 피해는 우리들 모두...”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6 호주 “호주 정부, 지난 20년 넘게 유엔 아동협약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5 호주 “다문화 사회에서 반차별법의 축소나 변경은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4 호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상당’... 평균 38%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2 호주 대화의 기술... 직장 내에서 피해야 할 말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1 호주 모스만의 낡은 주택, 300만 달러도 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20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9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8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7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6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2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1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9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8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7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6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5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4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3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2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